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Zoom in 줌인

'호갱'되기는 싫다, 든든한 '대비책'은 좋다

URL복사

Wednesday, October 29, 2014, 17:10:22

[창간 첫돌 기획] 나에게 보험이란_㉖ 메이크업 아티스트 서채원

 

[메이크업 아티스트 서채원] 처음 보험을 가입하고 접하게 된 건 20대 중반쯤이다. 그 시절 사람들은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 보험에 가입하는 걸 꺼려했던 걸로 기억된다.

 

어느 새 많이 달라졌다. 보험의 상품이 다양해지고 인식의 변화가 오면서 보험가입은 필수가 됐다. 아파서 병원에 입원하면 입원비와 치료비가 나오고, 사고가 나면 알아서 처리해 주니 참으로 편리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보이기도 한다.

 

나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보험에 가입했다. 처음에 가입한 보험은 암과 질병에 관련된 상품이었고, 마지막으로 가입하게 된 보험은 OO보험이다. 처음 가입한 보험과 마지막으로 가입한 보험은 모두  필요해서가 아니라 지인들의 권유로 가입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보니 그들은 내게 맞는 상품을 설계를 해준 것이 아니라 본인에게 이윤이 많은 상품들에 가입시켰다. 게다가 매달 납입하는 보험료가 비싸 장기적으로 납입하기가 힘들었다. 애초부터 보험설계가 잘못됐던 것이다.

 

이 후 개인사정으로 인해 보험을 해지하게 됐다. 여지껏 납입했던 금액의 절반도 받지 못 했다. 그럴 때마다 속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이득보단 손실을 많이 보게 되면서 보험에 가입하는 것 보다 꾸준히 적금을 부어 미래를 대비 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을 했다.

 

보험은 말 그대로 미래에 닥칠 사고나 병으로부터 대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보험 광고를 보면 암에 걸릴 확률을 얘기하면서 불안감을 조성한다. 그런 광고를 보고 있으면 조만간 나도 암에 걸릴 것 같은 기분마저 드는 게 사실이다.

 

적지 않은 보험료를 지금까지 납부해왔지만  실질적으로 아직까지 혜택을 본 건 없다. 물론 건강해서 병원을 가는 일이 없는 게 가장 좋은 일이지만 한편으론 매달 빠져나가는 보험료가 아까운 건 어쩔 수 없다.


그런데, 우리 가족은 보험 덕을 본 적이 있다. 아버지께서 암에 걸리셨고 보험금으로 항암치료비와 생활비를 충당 할 수 있었다. 만약 아버지가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더라면 항암치료기간 동안 가족들이 힘들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보험이란 게 좋은 일이 생겨서 받는 돈이 아니기에 항상 두 가지의 상황에서 고민하게 된다. 미래를 위한 대비책을 갖느냐, 그렇지 않으면 보험회사를 살찌워주는 '호갱(호구 고객)'이 되느냐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보험의 '양면성'에 대한 판단은 늘 어렵다.

 

이런저런 경험을 비춰 보면, 보험설계사들의 역할이 큰 것 같다. 보험 설계사들이 상품을 소개할 때 정확한 상품설명과 각각의 사람에게 맞는 상품(나이, 직업, 재성상태 등) 설계를 잘 해준다면 사람들은 기쁘게 보험에 가입할 것이다. 진실로 나에게 필요한 상품에 가입했다고 생각하면 보험 회사와 설계사의 신뢰도도 높아질 것이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2025 2분기 실적] ‘고래잇’ 이마트, 영업익 216억…흑자전환

[2025 2분기 실적] ‘고래잇’ 이마트, 영업익 216억…흑자전환

2025.08.12 14:26:54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가 통합매입 효과와 주요 점포 리뉴얼을 통해 객수를 늘리며 2분기 적자를 벗어났습니다. 하반기도 본업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냅니다. 이마트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순매출은 7조390억원으로 0.2% 소폭 감소했습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4조2906억원으로 11.8% 증가했고 영업이익 15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2분기 할인점 매출은 2조7701억원으로 0.5% 늘었고 영업손실은 3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1억원 개선했습니다. 이마트 측은 2분기 실적 호조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통합매입을 통한 원가절감과 이를 고객 중심의 재투자로 연결해 고객수를 늘린 결과라고 봤습니다. 여기에 스타필드 마켓으로 대표되는 미래형 포맷 점포 확대와 신규 점포 출점 등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성과로 가시화됐다는 분석입니다. 이마트는 통합 매입을 통해 확보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올해 초부터 대규모 할인행사 ‘고래잇 페스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상반기 고객 감사제로 진행된 6월 고래잇 페스타 기간의 매출과 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각 33%, 18% 증가했습니다. 점포 리뉴얼도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스타필드 마켓 1호점인 죽전점은 올해 2분기 매출과 객수가 전년 대비 각각 104%, 82% 늘었습니다. 지난 6월 2호점으로 리뉴얼 오픈한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도 오픈 이후 7월 25일까지 한 달간 전년 대비 매출이 39%, 방문객 수는 67% 증가했습니다. 트레이더스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객수는 4% 이상 늘었습니다. 할인점 역시 2분기 고객수가 0.3% 증가했습니다. 주요 오프라인 자회사들도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신세계프라퍼티는 스타필드 고양, 스타필드 코엑스 등 주요 점포의 매출 호조에 힙입어 전년 대비 45억원이 늘어난 5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푸드는 원가개선 등을 통해 39% 신장한 13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이마트는 하반기 차별화 상품 확대와 신규 포맷 매장 리뉴얼 강화에 집중합니다. 지난 7월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을 리뉴얼 오픈했으며 오는 9월 트레이더스 신규점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온라인 부문에서는 SSG닷컴이 통합매입을 기반으로 그로서리 가격 경쟁력 강화에 나섭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해 온 상품·가격·공간 혁신을 통한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가격 투자 및 구조 혁신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초격차 전략을 통해 성장과 수익 개선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