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News Plus 뉴스+

“BMW가 주방에”...超프리미엄 주방 가전, 데이코 하우스에 방문해보니···

URL복사

Tuesday, October 29, 2019, 21:10:34

럭셔리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데이코..디지털프라자 대치점 4,5층에 데이코 하우스 운영
6가지 다른 주방서 데이코 가전 경험..쇼룸 마치 전시관·PB센터 같아..11월 1일부터 예약 방문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나의 또 다른 BMW는 주방에 있다.”

 

주방산업분야의 저명한 작가 겸 디자이너 케빈 켈리(Kevin Kelly)가 프리미엄 빌트인 주방 브랜드 ‘데이코’와 협업하면서 한 말이다.

 

프리미엄 데이코 빌트인 가전 쇼룸 전시장인 디지털프라자 메가스토어 삼성 대치점을 방문했다. 이 쇼룸은 예약제로 운영되며, 하루 최대 9팀이 방문할 수 있다. 쇼룸이 있는 4층에 도착하니 마치 주택의 야외 테라스 같은 공간이 나타났다. 건물 한 가운데 물과 나무가 있어 마치 전시장에 온 느낌이었다. 데이코 하우스는 건축가 배대용 대표가 설계했다.

 

배대용 B&A 디자인 대표는 “단순히 멋진 공간이 아니라 데이코의 브랜드 가치를 고객들이 제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이를 위해 주방은 물론 거실과 침실까지 갖춘 하나의 완벽한 집을 설계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북미 정통 럭셔리 빌트인 가전 데이코(dacor)를 국내에 소개하기 위해 브랜드 체험 공간인 ‘데이코 하우스(dacor House)’를 마련했다. 데이코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빌트인 가전 브랜드다. 지난 2016년 삼성전자는 데이코를 인수해 글로벌과 국내 판매 및 서비스 전반을 담당하고 있다.

 

데이코 하우스는 4층과 5층으로 구성돼 있다. 삼성전자는 “데이코가 지향하는 새로운 주방 문화를 국내 고객들이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단순 쇼룸을 넘어서 실제 집을 지었다”고 설명했다.

 

우선, 4층은 170평으로 규모로 6개 하이엔드 형식의 주방을 경험할 수 있다. 불탑(Bulthaup), 보피(Boffi), 포겐폴(Poggenpohl), 지메틱(SieMatic), 라이히트(Leicht), 다다(Dada) 등 럭셔리 주방 가구와 함께 데이코 빌트인 제품으로 꾸며졌다.

 

현재 국내에 출시된 데이코 라인업은 냉장고, 오븐, 인덕션, 후드, 식기세척기로 구성돼 있다. 이 중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합쳐진 앙상블(Ensemble)과 냉동고, 김치냉장고, 와인냉장고 등 전문 기능을 가진 카덴차(Cadenza)로 구분된다.

 

 

냉장고의 경우 내부가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메탈 냉장고를 당기거나 슬쩍 누르면(푸시 기능 탑재) 부드럽게 열리는데, 내부가 포슬린(도자리) 혹은 메탈로 구성된다.

 

특히 포슬린의 경우 4단계의 공정을 거쳐 탄생해 100% 수작업으로 이뤄진다. 앙상블 형식의 냉장고의 경우는 냉장과 냉동뿐만 아니라 소프트 프리징(soft freezing) 기능이 있어 치즈 등을 보관하는데 용이하다.

 

냉동고는 두 가지 크기의 얼음이 나오는데, 제빙기가 포함돼 있어 얼음이 소진되면 자동으로 채우는 기능도 더해졌다. 김치냉장고의 경우 국내에선 처음으로 프리미엄 브랜드 라인업이다. 와인냉장고는 총 100병의 대용량을 보관할 수 있으며, 층별로 온도 조절이 가능해 레드, 화이트, 스파클링 와인을 따로 보관할 수 있다.

 

오븐도 두 가지로 나뉜다. 전자레인지 기능을 탑재한 24인치 오븐과 30인치의 오븐 전용 제품 중 선택할 수 있다. 오븐엔 스팀분사 기능이 있어 요리 중에도 수분이 보충돼 염분이나 불필요한 지방이 배출돼 건강한 음식을 만들 수 있다.

 

김아름 컨설턴트는 “오븐 전용의 경우 위, 아래층의 온도조절이 가능해 두 가지 다른 요리를 한 꺼번에 할 수 있다”며 “이 오븐은 내부 온도를 380도까지 올려 잔여 물질을 태워버려 별도 세척이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인덕션은 요리 동영상을 보면서 요리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인덕션의 가운데 밑에 영상을 작동할 수 있는데, 실제 미국에서 인기 있는 레시피를 보면서 음식을 만들 수 있다. 후드와 블루투스로 연결돼 켜짐과 꺼짐을 컨트롤할 수 있다.

 

각기 다른 6가지 주방을 둘러본 후 5층으로 올라갔다. 5층엔 요리를 할 수 있는 오픈 주방과 야외 테라스로 구성됐다. 오픈 주방은 데이코 하우스를 방문하는 고객들이 직접 요리를 하면서 주방 가전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방문 고객이 만든 음식은 야외 테라스에서 함께 즐길 수 있다.

 

데이코 하우스를 둘러본 소감은 마치 금융기관의 PB센터를 방문한 듯한 느낌이었다. 주방가전 컨설턴트와 함께 최고급 라인의 주방을 경험해 본 후 구매를 원하는 고객은 제품 상담 후 구매할 수 있다. 빌트인 가전이기 때문에 주방 가구와 함께 맞춤으로 제작되며, 설치까지 1개월 이상 걸린다.

 

초 럭셔리 브랜드인 만큼 가격도 상상초월이다. 냉장고의 경우 1200만원부터 시작되며, 최고가는 3000만원 상당이다. 오븐은 400만~1000만원, 와인 냉장고 1500만원, 인덕션 500만원, 식기세척기와 후드 라인업이 각각 300만원에 판매된다. 주방 가전 6종을 최고급 라인업으로 구성한다면 약 7000만원 가량 된다.

 

데이코 하우스는 래미안 리더스원, 나인원 한남, 서울 아크로포레스트에서 주방 가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데이코 하우스를 방문을 원하는 소비자는 데이코 홈페이지와 전화로 사전 예약 후 11월 1일부터 방문이 가능하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삼성, 2025년 하반기 공채…19개 계열사 내달 3일까지 지원서 접수

삼성, 2025년 하반기 공채…19개 계열사 내달 3일까지 지원서 접수

2025.08.26 15:28:3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이 우수 인재 확보와 양질의 취업기회 제공을 위해 27일부터 올해 하반기 공채를 실시한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이번 공채에 나선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생명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중공업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카드 ▲삼성증권 ▲삼성자산운용 ▲삼성서울병원 ▲제일기획 ▲에스원 ▲삼성웰스토리 등 19곳입니다. 지원자들은 27일부터 내달 3일까지 삼성 채용 홈페이지 삼성커리어스에서 입사를 희망하는 회사에 지원서를 접수할 수 있습니다. 채용절차는 직무적합성 평가(9월) → 삼성직무적성검사(10월) → 면접(11월) → 건강검진 순으로 진행됩니다. 소프트웨어(SW) 직군 지원자는 삼상직무적성검사(GSAT) 대신 실기 방식의 SW 역량 테스트를 치르며 디자인 직군 지원자들 역시 GSAT를 치르지 않고 디자인 포트폴리오 심사를 통해 선발됩니다. 삼성은 1957년 국내 최초로 신입사원 공채를 도입한 이래 근 70년간 제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 1993년 대졸 여성 신입사원 공채를 신설했으며 1995년에는 지원 자격 요건에서 학력을 제외했습니다. 이에 더해 공정한 선발을 위한 GSAT를 자체 개발해 도입하는 등 채용 제도를 혁신해 왔습니다. 삼성은 국내 청년 일자리 확대 외에도 다양한 인재 육성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SW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무상으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삼성청년SW·AI아카데미(SSAFY)'를 서울, 대전, 광주, 구미, 부산 등 전국 5개 캠퍼스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SSAFY 수료생 가운데 8000여명이 국내외 기업 2000여곳에 취업했습니다. 삼성은 올해 교육을 시작한 SSAFY 13기부터 교육 대상자를 기존 대학교 졸업생에서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생까지 확대했습니다. 또 국가 차원의 AI 인재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SSAFY 커리큘럼을 AI 중심 교육으로 전면 개편했습니다. 삼성은 마이스터고 학생 중 장학생을 선발해 방학 동안 인턴 실습을 한 뒤 졸업 후에는 삼성에 입사할 수 있는 '채용연계형 인턴 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