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이동통신 5G 가입자 수가 100만명(6월 10일 기준)을 넘어섰다. 지난 4월 3일 세계 최초로 사용화한지 69일 만이다.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과기정통부 회의실에서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단말·장비)가 참여하는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TF‘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자리에서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개선과 관련한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5G 기지국은 지난달(5월 8일 기준) 대비 3980국 증가(6.9%)한 6만 1246(6월 10일 기준, 장치수 14만 3275개, 지난달 대비 1만 8586개 증가)이 구축된 것으로 파악됐다. 5G 서비스 수신 가능범위(커버리지) 등 서비스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역사, 대형 쇼핑센터와 전시장 등 전국 120여개 인구밀집 건물 내에서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이다. 350여개 영화관·체육경기장·대형마트 등을 추가 선정해 하반기 내 시설 공동구축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전국 지하철 각 노선별로 5G 기지국 구축 작업이 진행 중이며 조속한 서비스 개시를 위하여 노선별 담당기관과 긴밀히 협의 중이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도 지난 5월 29일 서울교통공사를 방문해 지하철 내 5G 기지국 구축 작업이 안전하고 차질없이 진행할 것을 요청했다.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는 “수 회에 걸친 소프트웨어(SW) 보완패치 보급과 지속적인 망 연동 최적화를 통해 데이터 끊김현상과 속도저하 등의 문제를 상용화 초기 대비 대폭 완화했다”고 말했다.
또한, LTE 서비스를 이용 중임에도단말 상태표시줄에 5G로 표기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단말 패치는 5월 중 배포(LG전자 5월 14일~삼성전자 5월 27일~)됐다. 이동통신사 등은 이용자의 약 85% 이상이 업그레이드를 완료(6월 9일 기준)했다.
이동통신사는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지 않은 이용자에게 푸쉬 알림 등을 통해 패치 다운로드‧적용을 지속적으로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조사는 지속적으로 5G 스마트폰을 출시할 예정이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5G 가입자들이 내실 있는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와 제조사에 지속적인 품질 개선 노력과 적극적인 서비스 다변화를 요청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민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민에게 최고 품질의 5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