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 르노삼성자동차는 르노그룹의 전략적 핵심 연구기지인 ‘테크놀로지코리아’를 발판 삼아 미래 성장기반을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내년 초 출시될 XM3를 비롯해 차세대 중형 세단 및 SUV를 개발하고 있는 르노삼성은 연구개발 경쟁력을 강화해 그룹 내 역할을 확대할 계획이다.
르노삼성은 15일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중앙연구소)에서 기자 초청행사를 열었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약 100여 명의 기자들이 참석해 충돌시험장 등 주요 연구 시설을 둘러봤다.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AMI태평양으로 지역 본부가 변경된 르노삼성차는 스스로의 능력만으로도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큰 시장의 일원이 됐다”며 “르노그룹의 핵심 연구자원인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도 더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마이크를 잡은 권상순 연구소장은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는 차량 디자인부터 설계와 해석, 각종 테스트, 양산준비를 위한 생산기술 기능을 모두 갖춘 글로벌 연구소”라며 “우수한 연구진들이 국내와 해외 연구소에서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소장에 따르면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는 국내 시장 모델은 물론 그룹의 글로벌 차종(준중형·중형)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르노그룹의 글로벌 연구소는 총 7개가 있지만, 자체적으로 신차를 개발할 수 있는 곳은 프랑스, 루마니아, 한국 뿐이다.
르노삼성은 그룹의 미래차 비전에 맞춰 관련 기술에 대한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앞서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는 오는 2022년까지 자율주행 기술을 40종 이상 모델에 적용하고 12종의 새로운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 참석한 기자들은 XM3 디자인을 맡은 르노 디자인 아시아의 스튜디오를 둘러보고, 충돌시험장에서 LPG 도넛탱크 및 트위지의 안전 테스트 사례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EMC 시험장에서는 차량 내 전자기기들에 대한 전자파 관련 검측 실험에 대한 소개가 진행됐다.
권 소장은 “현재 XM3를 비롯해 신형 캡처(QM3)와 내후년 출시될 신형 카자르의 중국 버전을 개발하고 있다”며 “르노그룹 내의 핵심 연구자원인 르노테크놀로지코리아가 이끌어 갈 미래를 지켜봐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