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삼성전자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자율주행 관련 반도체 안전 인증을 획득하면서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를 포함한 솔루션 수출이 보다 수월할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13일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독일 ‘TUV 라인란드’에서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 표준 ‘ISO 26262 기능안전관리(FSM·Functional Safety Management)’ 인증을 취득했다고 이날 밝혔다. 삼성전자 차량용 반도체 개발·관리 과정이 ISO 26262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뜻이다.
이번 인증으로 해외 고객사들이 요구하는 기능안정에 맞는 차량용 반도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자동차는 자율주행 기술 등을 갖춘 전자기기로 변화하는 추세다. 이에 발맞춰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안전 등급 중요성도 주목받고 있다.

ISO 26262는 차량에 탑재되는 전기·전자 시스템 오류로 발생하는 사고를 막고자 2011년 ISO에서 제정한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 규격이다. 지난해에는 자율주행 시스템에서 반도체 안전성이 강조되면서 반도체 적용 가이드라인이 추가됐다.
TUV 라인란드 마뉴엘 디에즈(Manuel Diez) 글로벌 매니저는 “삼성전자는 자동차 회사들의 기능안전 요건에 맞춘 반도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기능 안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차량용 반도체 ISO 26262 인증을 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한규한 삼성전자 부품플랫폼사업팀 상무는 “ISO 26262 인증을 바탕으로 자동차 핵심 부품으로 자리 잡은 반도체 기능 안전 확보와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자동차 품질 경영시스템 ‘IATF 16949’와 자동차용 반도체 신뢰성 평가 규격 ‘AEC-Q100’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용 ‘엑시노스 오토 V9’과 ‘16Gb LPDDR4X D램’, ‘256GB eUFS’, LED조명 제품 등 차량용 반도체 솔루션을 갖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