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 한미약품이 매출 ‘1조 클럽’에 재진입 했다. 지난 2015년 사노피, 얀센 등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수출을 하며 1조원대 매출을 기록한지 3년 만이다.
한미약품은 연결회계 기준 작년 누적 매출이 1조 16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보다 10.8% 늘어난 수치다. 영업이익은 836억원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42억원으로 50.5% 감소했다.
한미약품측은 “국내제품 매출 증가로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이연법인세 효과로 인해 당기순이익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작년 매출 비중에서 수입산 외국약을 도입해 판매한 비중은 미미한 반면 자체 개발한 제품들 위주로 매출 성과가 컸다”고 덧붙였다.
국내 여러 경쟁 제약사들의 ‘상품매출(외국약 도입 판매 매출)’ 비중이 45~75%까지 이른데 비해, 작년 한미약품은 국내 매출의 93.3%를 자체 개발 제품을 통해 달성했다는 것이다. 한미약품의 작년 ‘상품매출’ 비중은 3.8%이며, 나머지 2.9%는 국내 다른 제약사 제품 도입 판매 비중이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작년 한미약품의 매출 상위 10개 품목은 모두 한미 제제기술이 고스란히 축적된 개량 신약, 복합신약들이다”고 강조했다. 대표 품목으로는 아모잘탄(474억원), 로수젯(489억원), 낙소졸(118억원), 에소메졸(264억원) 등이 있다.

한미약품은 작년 R&D에 매출 대비 19%인 1929억원을 투자하는 등 자체 개발 제품을 통해 얻은 수익을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R&D에 투자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10년 간 매출 대비 평균 15% 이상을 R&D에 투자했으며, 누적 금액은 1조원 이상이다.
우종수 한미약품 사장은 “매출 1조원이라는 숫자 보다, 어떤 방식으로 매출을 달성했는지 훨씬 중요하다”며 “회사 외형을 키우기보다 내실 성장이 R&D 투자로 이어져 한미만의 기술력이 축적되고,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외국산 제품의 국내 의약품 시장 잠식이 매년 점점 커지는 추세”라며 “제약강국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국 토종 제약기업들의 역할과 책임이 더 중요해졌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미약품의 중국 현지법인인 북경한미약품의 실적도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북경한미약품은 작년 2282억원의 매출과 430억원의 영업이익, 370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6.6%, 영업이익은 30.0%, 순이익은 26.6% 성장한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