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수입 전기 승용차가 2개월 연속 월간 수입 승용차 판매량의 10%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 9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는 2만2565대로 집계되며 전년 동월 기록한 2만3928대보다 5.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월인 8월 판매량인 2만3350대보다는 3.4% 줄었습니다. 브랜드별로는 메르세데스-벤츠가 6971대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판매량 1위에 올랐습니다. BMW는 6188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메르세데스-벤츠에 이어 2위를 유지했습니다. 이어 ▲볼보(1555대) ▲아우디(1416대) ▲폭스바겐(1114대) ▲렉서스(916대) ▲미니(738대) ▲토요타(712대) ▲포르쉐(695대) ▲쉐보레(563대) ▲랜드로버(315대) ▲지프(296대) ▲폴스타(292대) ▲포드(181대) ▲푸조(172대) 등의 순으로 판매량이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구분할 경우 유럽이 1만9633대(87.0%)로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일본이 1733대(7.7%)로 2위를, 미국이 1199대(5.3%)의 판매량으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미만이 1만1979대(53.1%)로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캐딜락은 전 차종 대상 금융 프로그램에 더해 특별한 출고 기념품을 증정하는 9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일 밝혔습니다. 캐딜락에 따르면, 9월 프로모션을 통해 전 차종을 대상으로 모델 및 트림에 따라 현금할인 및 무이자 할부, 무이자 리스 등 고객 맞춤형 금융 프로그램 및 출고 기념품 등을 제공합니다. 우선 XT4 구매 고객에게는 ▲현금할인 ▲60개월 무이자 할부(선수금 30%) 및 서비스 옵션 ▲36개월 무이자 리스(보증금 30%) 및 서비스 옵션 등 금융 옵션을 지원합니다. XT5 구매 고객에게는 ▲현금할인 ▲48개월 무이자 할부(선수금 30%) ▲36개월 무이자 리스(보증금 30%) 등의 구매 혜택 옵션을 제공합니다. XT6를 구매하는 고객은 ▲현금할인 ▲36개월 무이자 할부(선수금 30%) ▲36개월 무이자 리스(보증금 40%) 중 하나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에스컬레이드(ESV포함) 구매 고객에게는 ▲36개월 3.9% 저금리 할부(선수금 40%) ▲60개월 3.3% 저금리 리스(보증금 40%) ▲워런티 플러스(보증기간 2년/4만km 연장) 등 다양한 구매 옵션을 지원합니다. 법인 고객을 대상으로는 특별 추가 할인 혜택을 지원합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의 청약 경쟁률이 상승하는 가운데 오는 9월 1만가구의 분양 물량이 예정돼 있어 수요자를 비롯해 부동산 업계의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3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서울 분양 예정물량은 1만95가구입니다. 전월인 8월 예정물량인 7352가구 대비 37.3% 증가한 동시에 올해 예정된 월별 물량 중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서울은 최근 분양시장 분위기가 달아오르는 상황입니다. 8월 평균 9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최근 2년 만에 서울에 공급된 '래미안' 브랜드의 경우 3만7024명의 1순위 청약자를 배출하는 등 청약 열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9월 분양 예정물량 가운데 가장 주목해 볼 만한 단지는 이문3구역 재개발을 통해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이 4321가구의 초대형 규모로 공급하는 '이문 아이파크 자이'입니다. 단지는 지하철 1호선 외대앞역 초역세권에 공급돼 서울 주요 지역으로 이동이 편리하며, 각종 인프라도 풍부해 생활 편의도 높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1265가구), 관악구 봉천동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 등도 9월 서울서 분양을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오는 9월 수도권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이 올해 월간 최저치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오는 9월 수도권 입주예정 물량은 8431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48% 감소한 동시에 올해 월 단위 최저 수치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전까지 올해 수도권 월간 최저 입주예정 물량 수치는 지난 1월 9376가구였습니다. 수도권 물량은 경기도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의 9월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5944가구로 수도권 전체의 70.5% 비중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인천은 2455가구가 입주에 나설 예정이며, 서울은 나홀로 소규모 단지로 공급되는 강북구 '수유시그니티(32가구)'에서만 집들이가 진행됩니다. 경기도의 경우 광명시 광명동 '광명 푸르지오 포레나(1187가구)'와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한화포레나 수원장안(1063가구)', 양평군 양평읍 '양평역 한라비발디 1,2단지(1602가구)' 등이 주요 입주예정 아파트로 꼽히고 있습니다. 인천은 연수구 선학동 '한화포레나 인천연수(767가구)', 서구 원당동 '검단우미린리버포레(민간임대, 765가구)' 등에서 입주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자동차[005380]의 지난 10월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12.2% 증가한 34만7324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일 현대차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판매량 6만736대, 해외 판매량 28만6588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총 34만7324대의 판매량을 올렸습니다. 전년 동월과 판매량을 비교할 경우 국내는 5.1%, 해외는 13.9% 증가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세단이 1만7266대, RV는 1만6971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단은 아반떼가 5615대, 그랜저가 4661대, 아이오닉 6가 3667대, 쏘나타가 3323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RV는 팰리세이드가 4147대, 캐스퍼가 3908대, 싼타페가 2722대, 아이오닉 5가 2169대, 투싼이 1729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와 함께, 포터는 9020대, 스타리아는 3461대의 판매량을 올렸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727대가 판매됐습니다.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는 1만1291대의 국내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차종별 판매량을 볼 경우 G80이 3082대, G90이 2818대, GV70이 2413대, GV80이 19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 9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전년 동월 대비 17.3% 증가한 2만3928대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6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이하 KAIDA)에 따르면, 올해 9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는 2만3928대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 9월 신규등록대수인 2만406대보다는 17.3% 증가했으며, 지난 8월 2만3850대와 비교할 경우 0.3% 늘어난 수치입니다.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BMW가 7405대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메르세데스-벤츠 5481대 ▲아우디 1812대 ▲폭스바겐 1470대 ▲쉐보레 1162대 ▲지프 1025대 ▲볼보 881대 ▲렉서스 860대 ▲미니 745대 ▲토요타 682대 ▲포드 492대 ▲포르쉐 333대 ▲폴스타 295대 ▲랜드로버 285대 ▲혼다 263대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미만 1만809대(45.2%), 2000cc~3000cc 미만 6810대(28.5%), 3000cc~4000cc 미만 1731대(7,2%), 4000cc 이상 554대(2.3%)로 조사됐습니다. 전기차는 4024대(16.8%)를 기록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유럽 1만9130대(79.9%), 미국 2993대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르노코리아자동차의 지난 9월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28.3% 증가한 1만8922대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르노코리아는 올해 9월 국내 5050대, 수출 1만3872대 등 글로벌 판매량 1만8922대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 국내 판매량은 14.7%, 수출 판매량은 34.1%가 증가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QM6가 2909대가 판매되며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가운데 XM3(1715대), SM6(316대), 르노 Master(11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SM6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106.5%의 판매량 증가로 국내 판매 차종 가운데 최고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국내서 판매된 QM6 가운데서는 LPe 모델이 QM6 전체 판매의 약 79%인 2302대를 기록했습니다. 트림 별로는 상위 트림인 RE 시그니처와 프리미에르가 QM6 전체 판매의 64.6%(1879대)를 차지했습니다. 수출 실적의 경우 XM3(수출명 르노 뉴 아르카나)가 1만1730대로 판매량의 84.6%를 차지한 가운데 QM6(2060대), TWIZY(82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XM3는 올 가을 국내 출시 예정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71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국지엠의 지난 9월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 동월보다 77.6%가 늘은 2만4422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지엠은 올해 9월 국내 4012대, 수출 2만410대 등 글로벌 판매량 2만4422대를 올렸다고 4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할 경우 수출 판매량이 무려 106.6% 증가하며 지난달 실적 향상을 이끌었습니다. 국내 판매는 지난해 같은 달 보다 3.6%가 늘었습니다. 수출 시장에서는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가 동일 차량 플랫폼을 공유하는 뷰익 앙코르 GX와 함께 1만4818대의 판매량으로 전년 동월 대비 62.1%의 증가세를 기록하며 수출 실적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판매의 경우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1379대)와 스파크(1031대)가 실적을 리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쉐보레 볼트EV, 볼트EUV가 고객 인도에 속도를 내며 각각 279대, 521대가 판매돼 세 달 연속 증가세와 함께 올해 들어 월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카를로스 미네르트 한국지엠 부사장은 "쉐보레의 다양한 라인업에 대한 국내외 고객들의 관심이 여전히 높다"며 "특히 10월은 GM 한국 출범 20주년을 맞는 달인만큼 올해 들어 최대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기아[000270]의 지난 9월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11.0% 늘어난 24만9146대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아는 올해 9월 국내 4만9대, 해외 20만9137대 등 글로벌 판매량 24만9146대를 올렸다고 4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국내 판매량은 11.8%, 해외 판매량은 10.9% 증가한 수치입니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준중형 SUV인 스포티지가 4만2168대로 글로벌 시장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셀토스(2만8847대), 쏘렌토(2만122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 판매량 만을 놓고 볼 경우 쏘렌토가 5335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습니다.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경우 승용 모델은 1만3000대, RV 모델은 2만1325대, 상용 모델은 5684대가 판매됐습니다. 승용 모델의 경우 K8 3990대, 레이 3860대, K5 2055대, 모닝 1940대 순으로 판매량이 집계됐으며, RV 모델은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쏘렌토를 비롯해 스포티지 4441대, 셀토스 3513대, 니로 2361대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5303대로 판매량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자동차[005380]의 지난 9월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24.4% 증가한 35만5040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차는 지난달 국내 판매량 5만6910대, 해외 판매량 29만8130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총 35만5040대를 판매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할 경우 국내 판매는 29.8%, 해외 판매는 23.4% 증가한 수치입니다. 국내 판매량을 살펴볼 경우 세단은 1만6334대, RV는 1만7059대를 판매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세단은 그랜저가 4643대, 소나타가 4585대, 아반떼가 4454대, 아이오닉 6가 2652대의 판매량을 올렸습니다. RV는 캐스퍼가 4032대, 팰리세이드가 3464대, 투싼이 2452대, 아이오닉 5가 2396대, 싼타페가 2327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와 함께, 포터는 8503대, 스타리아는 2814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554대가 판매됐습니다.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는 9646대의 국내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차종별 판매량을 볼 경우 G80이 2863대, GV70이 2348대, G90이 2217대, GV80이 1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한화생명이 미국 증권사 ‘Velocity Clearing(이하 ‘벨로시티’)’ 지분 75% 인수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넘어 북미 자본시장으로 전략적 확장을 본격화합니다. 이번 벨로시티 인수는 국내 보험사가 ‘글로벌 자본시장의 중심부’인 미국 증권시장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입니다. 이로써 한화생명은 미국 현지 금융사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우수한 글로벌 금융 상품을 글로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했습니다. 뉴욕을 거점으로 한 벨로시티는 금융거래 체결 이후 자금과 자산이 실제로 오가는 과정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역량(청산·결제)을 갖춘 전문 증권사입니다. 2024년말 기준 벨로시티는 총자산 약 12억달러(한화 약 1조6700억원)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2022~2024년) 매출 기준 연평균 성장률(CAGR) 25%를 기록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당기순이익 또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인수 이후에도 지속적인 수익성 확대가 예상된다는 설명입니다. 한화생명은 기존 벨로시티 경영진과의 협업을 통해 조기 사업안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한화자산운용 미주법인, 한화AI센터(HAC) 등과 협력해 금융과 기술이 결합된 시너지를 키워 나갈 방침입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한화생명이 금융의 핵심지인 미국 시장에서 한국 금융사로서 역량을 펼칠 수 있는 계기를 확보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금융 기술과 글로벌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간 연결을 강화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벨로시티 마이클 로건(Michael Logan) 대표는 “한화생명의 글로벌 비전과 네트워크가 더해져 벨로시티의 성장속도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양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화생명은 각 지역의 금융환경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동남아에서는 리테일 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주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투자기능을 고도화하면서 전략적 거점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한화생명은 앞으로는 디지털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결합해 글로벌 고객에게 종합금융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신세계면세점이 중국 대형 유통기업들과 만나 한국 상품 판로 확대 및 관광객 유치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신세계면세점은 명동점에서 중국 우상그룹(WUSHANG GROUP)과 왕푸징그룹(Wangfujing Group) 주요 경영진과 교류 행사를 열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양측은 하반기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재개에 따른 협업 가능성 등을 공유했습니다. 우상그룹은 중국 중부 지역 최대 규모의 쇼핑몰·마트 등을 운영하며 570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왕푸징그룹은 백화점·면세점·온라인몰 등을 아우르는 전국 단위 유통망을 보유한 기업으로, 회원 수는 약 2500만 명에 달합니다. 이날 행사에는 양호진 신세계디에프 영업본부장(전무), 문현규 본점장(상무), 곽종우 마케팅담당과 함께 판홍샹 우상그룹 동사장, 후용 왕푸징그룹 부총재, 윤기섭 KOTRA 우한무역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신세계디에프 본사 컨퍼런스룸에서 한국 면세산업의 현황과 트렌드를 공유했습니다. 이들은 명동점 10층의 K-컬처 복합 쇼핑 공간, K-뷰티존, 미디어파사드 등 주요 매장 공간을 둘러보며 직접 체험했습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중국 대표 유통기업들과의 교류를 통해 한국 면세시장의 매력을 전달하고 다양한 마케팅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관광객 유치와 고객 기반 확장을 위한 협력 방안을 적극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마련한 12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발급된 지 일주일이 지난 가운데 주요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용처에 해당하는 가맹점들은 올 하반기 소비쿠폰 활성화에 따른 추가 매출 상승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소비쿠폰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 내수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됐습니다. 두 차례에 걸쳐 1인당 25만~55만원을 지급하며 연 매출 30억원 이하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신청자 본인의 주소지 기준 지역 내 오프라인 매장에서 쓸 수 있습니다. 직염점을 제외한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은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임을 알리는 포스터를 붙이며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여기에 자체 프로모션까지 더해 매출 효과를 높이려는 움직임도 활발해졌습니다. 소비쿠폰 대표 수혜처로 꼽히는 편의점은 최근 1주일간 가정간편식(HMR) 매출이 급증했습니다. 여름을 맞아 아이스크림, 과일 등 매출 증가세도 눈에 띕니다. 양곡류 등 실제 가정에서 소비율이 높은 식재료와 생활용품 같은 비식품을 근처 편의점에서 구매한 소비자 또한 많았습니다. GS25는 소비쿠폰 발급이 시작된 7월 22일부터 28일까지 국·탕·찌개(냉장+냉동) 매출이 전주 동기 대비 341% 급증했습니다. 국산 우육 매출은 256% 늘었고 국산 과일은 56% 신장했습니다. 생활용품 중에서는 롤티슈가 62%, 세탁세제가 46% 각각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CU에서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양곡으로 91% 증가했습니다. 채소와 정육은 각각 22%, 19% 올랐고 자체 건강기능식품 확대에 힘입어 건강식품 매출도 39% 늘었습니다. 주류도 19% 올랐는데 양주(위스키) 43%, 하이볼 33%, 맥주 29%, 소주 12%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비식품 중에서는 세탁세제가 47%, 티슈가 37% 매출이 늘었습니다. 세븐일레븐은 여름 관련 상품이 잘 팔렸습니다. 소비쿠폰 발급 첫주 매출이 얼음 90%, 아이스크림 80%, 생수 50% 각각 올랐습니다. 쌀·잡곡 매출도 60% 증가했습니다. 이외에도 기저귀 60%, 가정용품(세제 등) 40%, 위생용품(티슈 등) 30% 각각 매출이 증가하며 편의점 장보기 수요 확대를 반영했습니다. 편의점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 이후 생필품 등을 중심으로 편의점 장보기 고객들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객단가가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고객들의 알뜰 쇼핑을 돕기 위한 업계의 대대적인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어 민생과 밀접한 품목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도 소비쿠폰 효과를 누렸습니다. bhc는 이달 22~29일 치킨 매출이 7월 평균 동기 대비 약 10% 증가했습니다. 특히 주말이었던 26~27일 매출만 비교하면 전년 동기 대비 25% 신장했습니다. 제너시스BBQ도 같은 기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습니다. 회사 측은 창사 30주년 이벤트를 진행하는 마지막 주와 소비쿠폰 지급 시작 주가 맞물렸고 또 FC바르셀로나 서울 매치 티켓 증정 프로모션에 많은 고객이 참여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버거 프랜차이즈에도 손님이 몰렸습니다. 롯데리아는 7월 22~28일까지 7일간 매출이 전주 동기 대비 약 20% 신장했습니다. 맘스터치에 따르면 공공배달앱 ‘땡겨요’에서 발생한 매출은 전주 동요일 대비 52% 증가했습니다. 노브랜드버거는 소비쿠폰 발급 첫주 매출이 전주 동기 대비 17% 늘었고 주말 기준으로는 직전 주 대비 20%가량 증가했습니다. 커피 전문점 중에서는 이디야커피가 7월 22일부터 27일까지 매출이 전주 동기 대비 25% 올랐습니다. 빽다방도 22~27일 6일간 매출이 전주 같은 기간보다 31% 뛰었습니다. 메가MGC커피는 정확한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지난 주말 가맹점 방문 고객이 전주 대비 늘어난 게 체감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빽다방, 한신포차, 홍콩반점0410, 새마을식당 등을 운영하는 더본코리아는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했던 지난 22일부터 6일간 가맹점 일 평균 매출이 전주 대비 평균 16% 증가했습니다. 의류 가맹점도 소비쿠폰 덕을 봤습니다. 패션그룹형지는 소비쿠폰 사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 22일과 23일 이틀간 여성복 브랜드 올리비아하슬러 매출이 전주 동기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크로커다일레이디는 25%, 샤트렌은 20% 매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물론 이러한 매출 상승을 소비쿠폰만의 효과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폭염 같은 날씨 이슈나 성수기 시즌 운영 상품에 따라 프랜차이즈는 매주 매출 변동이 크기 때문입니다. 초복 및 자체 프로모션이 겹친 이유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업계는 소비쿠폰이 체감 가능한 소비 진작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소비쿠폰을 신청받기 시작한 지 일주일(21~27일) 만에 예상 지급 대상자의 78.4%인 3967만명이 신청하고 7조1200억원이 지급됐습니다. 소비쿠폰 지급과 사용이 이제 겨우 한 주 지난 만큼 프랜차이즈업계는 올 하반기 소비쿠폰 활성화가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버거 프랜차이즈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이 가맹점 중심으로 운영되는 치킨 등 외식 매장에서는 확실히 소비쿠폰 효과가 체감되고 있다”며 “업계는 이러한 고객 유입 흐름에 맞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프로모션 다각화에 주력하는 분위기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지상 방산의 수출 확대와 자회사인 한화오션의 고수익 선박 매출비중이 늘면서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6조2735억원, 영업이익 8644억원을 올렸다고 31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69%, 156% 증가한 수치입니다. 사업별로 보면 지상방산 부문은 매출 1조7732억원, 영업이익 554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113% 증가했습니다. 특히 다연장로켓 천무의 신속한 공급으로 해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3%가 늘어난 1조834억원을 차지했습니다. 항공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6489억원으로 20%가 늘었으나 적자전환 됐습니다. 자회사인 한화오션은 상선사업부의 고수익 액화천연가스(LNG)선 판매가 확대되며 매출 3조2941억원, 영업이익 3717억원을 달성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매출 7682억원, 영업이익 33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2분기는 지상방산 부문 실적 호조와 한화오션의 안정적 실적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며 "하반기는 중동과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고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을 통해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