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ㅣ쿠팡에서 ‘갤럭시노트10’를 예약구매하면 가장 빨리 받아볼 수 있을 전망이다. 쿠팡은 삼성전자의 올 하반기 스마트폰 신상품 ‘갤럭시노트10’ 자급제폰 사전예약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쿠팡 측은 “‘갤럭시노트10’ 자급제폰 사전예약 고객은 20일 사전 개통 시점에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중 가장 먼저 상품을 집에서 안전하게 수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프라인 매장 오픈 시간에 줄을 서서 상품을 받을 필요없이 집에서 편하게, 특히 로켓와우 회원의 경우 새벽배송을 통해 오전 7시 전에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쿠팡은 상품페이지에서 상품 배송 예상 일자를 미리 공지하고, 배송 전날 문자메시지를 통해서 새벽배송·로켓배송 등의 예상 시점도 안내할 예정이다. 갤럭시노트10은 6.3인치 일반모델과 6.8인치 플러스(Plus) 모델로 색상은 아우라 글로우, 아우라 화이트, 아우라 블랙, 아우라 핑크 등 총 4가지로 출시된다. 쿠팡가는 각각 일반 256G 모델 124만 8500원, 6.8인치 플러스 256G 139만원대, 512G 149만원대다. 쿠팡은 ‘갤럭시노트10’…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ㅣ이마트가 말복을 맞아 백숙용 생닭, 장어 등 여름 보양식을 최대 3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이마트는 오는 14일까지 여름 보양식 대전을 대대적으로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백숙용 생닭과 토종닭, 장어·민어·전복 등 프리미엄 보양식 재료가 행사 대상이다. 먼저, 여름 대표 보양식인 백숙용 생닭과 토종닭은 행사카드 구매 때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행사카드는 ▲현대e카드 ▲삼성 ▲KB국민 ▲신한 ▲현대 ▲NH농협 ▲IBK기업 ▲씨티 등이다. 대표상품으로는 우리땅 토종닭(1050g/1마리)을 30% 할인된 6580원에, 자연실록 닭백숙(830g/1마리)은 30% 할인된 4606원, 동물복지 백숙용 생닭(1050g/1마리)은 30% 할인된 5586원에 선보인다. 두마리영계는 20% 할인된 4640원에 판매한다. 장어, 민어, 전복 등 프리미엄 보양식 행사도 함께 진행한다. 조선시대 임금님 진상품인 최고급 보양식 국내산 무태장어는 100g당 5980원에 초복 행사 가격보다 14%가량 더 저렴하게 판매한다. 냉장 양념 민물장어는 정상가 대비 30% 저렴한 9900원(150g/1팩…
인더뉴스 주동일 기자 | GS리테일이 2019년 2분기 편의점 사업에서 영업이익 770억원을 기록했다. 편의점 사업 부문의 높은 성과 덕분이다. 반면 슈퍼마켓은 적자전환하고 H&B스토어 영업손실은 42억원에 달했다. GS리테일은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70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557억원)보다 38.1% 증가했다. 매출액은 2조 3077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2조 1989억원)보다 4.9% 늘었다. 이 같은 성장은 편의점 사업 부문의 높은 성과 덕분인 것으로 보인다. GS리테일 편의점 사업부문 영업이익은 868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33.1% 늘었다. 매출은 5.3% 성장했다. 호텔 사업도 영업이익이 17.4% 증가한 128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슈퍼마켓은 영업손실 11억원을 기록해 적자전환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영업이익은 22억원 줄었다. H&B스토어의 영업손실은 42억원에 달했다. GS리테일은 “편의점의 경우 생품 매익률을 개선하고 판관비를 절감했고, 호텔은 투숙률 및 원가 등을 개선해 영업이익이 늘었다”며 “H&B스토어…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8일 CJ제일제당이 2분기 연결기준 영업 실적을 공시했다. 매출은 5조 5153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3.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53억 원, 당기순이익은 39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 95.0% 감소했다. 사업부문별로 나눠 보면, 그린 바이오와 생물자원을 아우르는 바이오사업부문은 전년비 8% 증가한 매출 1조 2315억 원을 달성했다. 식품 조미소재인 핵산의 시황 호조에 따른 판가 상승, 사료용 아미노산인 메치오닌의 수요 증대에 따른 판매량 확대로 그린 바이오 매출이 전년비 21% 성장했다고 CJ제일제당은 설명했다. 그린 바이오 영업이익은 593억을 기록해, 지난2013년 1분기 이후 분기 최대치를 달성했다. 고수익 제품의 시장 지배력 확대 및 지속적인 원가 절감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생물자원 사업은 글로벌 사료 판매 증가에도 베트남 ASF 발병에 따른 조기 출하 및 소비 위축으로 축산가가 하락하며 매출이 7% 감소했다. 식품사업부문은 1조 954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출시한 비비고 죽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비비고 국물요리…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8일 한미약품은 자사가 개발한 경구용 항암신약 ‘오락솔’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 윤곽을 발표했다. 기존 정맥주사용 항암제 보다 효능과 편의성이 우수하고, 주요 부작용(신경병증) 발생 빈도도 획기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한미약품 파트너사 아테넥스는 7일(현지시각) 오락솔 임상 3상의 핵심 연구 결과(1차 유효성 평가 목표 달성)를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빠른 시일 내 FDA에 Pre-NDA Meeting(신약허가 사전미팅)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락솔은 정맥주사용 항암제 파클리탁셀을 경구용으로 전환한 혁신 항암신약으로, 한미약품이 개발한 플랫폼 기술 ‘오라스커버리(ORASCOVERY)’가 적용됐다. 한미약품은 지난 2011년 미국 바이오제약 기업인 아테넥스에 이 기술을 라이선스 아웃 했다. 아테넥스는 총 402명의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두 집단으로 나눠(오락솔 265명, 정맥주사용 항암제 137명) 임상 3상을 진행했다. 지난 7월 25일까지 분석된 임상 결과에 따르면, 오락솔은 1차 유효성 평가지수인 ORR(객관적 반응률)이 36%로, 정맥주사 투여군…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8일 신세계면세점은 국내 면세 업계 최초로 중국 대표 메신저 ‘위챗(Wechat)’의 미니 앱인 ‘샤오청쉬(小程序)’ 내 멤버십 클럽 서비스를 오픈하고, 중화권 개별관광객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신세계면세점 측은 중국인 중 해외여행객은 1억 3000만명 가량인데, 이들의 여행 판도가 기존 단체관광에서 점차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자유여행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여행 인텔리전스 전문 업체 포워드키즈(ForwardKeys)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개별 개별 관광이 12.7%나 증가했다. 이에 신세계면세점은 위챗 미니앱을 통해 중국 고객과 밀착 소통으로 중국 개별관광객 유치뿐 아니라 재방문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소위 ‘미니앱’ 혹은 ‘미니프로그램’으로 불리우는 ‘샤오청쉬’는 지난 2017년 중국 최대 IT 기업인 텐센트가 위챗을 플랫폼으로 삼아 개발한 앱인앱 서비스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위챗 사용자들은 별도의 앱을 다운로드 하지 않고 검색 또는 QR 코드 스캔만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밖에도 여러 미니앱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간편…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SPC그룹은 오는 29일 서울 광화문에 개점 예정인 ‘쉐이크쉑 종각점’에 호딩(Hoarding, 공사장 주위의 임시 가림막)을 설치하고, 사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쉐이크쉑 종각점은 광화문·종로 근방의 ‘그랑 서울’ 1층에 자리잡았다. SPC측은 “이번 쉐이크쉑 종각점 호딩은 광화문·경복궁·세종대왕 동상·숭례문 등 종로를 대표하는 장소를 쉐이크쉑 아이콘과 조합해 제작한 아트 그래픽으로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쉐이크쉑은 이번 10호점 개점을 기념해 사전 이벤트인 ‘커뮤니티 데이(Community Day)’를 진행한다.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당첨된 360명에게는 오는 28일 쉐이크쉑 종각점에 초대해 쉐이크쉑 메뉴를 마음껏 즐길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이벤트 당일에는 당첨 고객들을 대상으로 자율적인 기부금 모금 활동도 진행된다. 모금액은 결식아동·독거노인 등 저소득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종로구 푸드뱅크·마켓 센터에 전액 기부될 예정이다. 참가신청은 20일까지 쉐이크쉑 인스타그램을 통해 가능하며, 쉐이크쉑 종각점 호딩의 큐알코드를 통해서도 참여할 수 있다.…
인더뉴스 주동일 기자 | 프랑스 밀맥주 ‘크로넨버그1664 블랑’(1664블랑)이 캔 패키지를 리뉴얼한다. 기존 병제품과 비슷한 파란색과 흰색으로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다. 하이트진로(대표 김인규)는 ‘1664블랑’ 패키지를 리뉴얼했다고 8일 밝혔다. 브랜드 디자인 통일성을 위해 병 제품과 비슷하게 캔 제품을 디자인했다. 하이트진로는 “1664블랑의 메인 컬러인 블루와 부드러움을 연상시키는 화이트를 조화롭게 디자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이트진로는 지난 2013년 1664블랑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후 1664블랑은 매년 평균 300% 판매 신장세를 보이며 2017·2018년 본국인 프랑스를 제치고 전 세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2013년부터 올해 7월까지 1664블랑의 누적 판매량은 1억 6800만캔(330ml캔 기준)을 넘어섰다. 하이트진로 측은 “2016년부터 생맥주를 출시함으로써 프렌치다이닝, 펍 등 유흥시장으로 판매 채널을 본격 확대한 것이 주효했다”고 평했다. 1664블랑의 인기에 힘입어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크로넨버그1664’ 라거타입도 본격 출시했다. 하이트진로 유태영 상무는 “국내 소…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ㅣ이마트의 색조 화장품 브랜드인 스톤브릭이 홍대에 이어 강남권에 진출한다. 스톤브릭(Stonebrick)은 오는 10일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지하 1층 ‘파미에스트리트’에 40㎡(12평) 규모로 입점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 2월 선보인 1호점 홍대점에 이은 2호점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 2월 개점한 단독매장 1호점 홍대점이 신규 브랜드로서 이름을 알리는 ‘안테나샵’ 역할을 했다면, 2호점 강남점은 스톤브릭만의 콘셉트를 알리고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스톤브릭이 2호점으로 신세계 강남점을 택한 이유는, 백화점-면세점-호텔이 연결돼 있는 쇼핑 허브로써 구매력 있는 국내외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터미널과도 연결돼 있어 전국 각지의 고객들과도 첫 대면 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 스톤브릭은 강남권의 랜드마크 격인 신세계 강남점에 2호점을 오픈함으로써 기존보다 넓은 고객층과 대면하며, 색조 화장품 브랜드로써의 입지를 다진다는 전략이다. 대표상품인 스톤브릭 립 제품 가격은 1만 6000원, 2만원으로 중가 수…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ㅣ편의점 GS25의 지난해 가맹점 신규개점이 전년에 비해 41% 급락했다. 7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공개시스템에 등록된 GS25(대표 조윤성)의 정보공개서에 따르면, GS25의 지난해(2018년 말) 가맹점 수는 1만 2973개로 나타났다. 전년(1만 2293개) 대비 5.53%(680개) 증가했다. 가맹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3262개)로, 전년(3023개) 대비 7.9%(239개) 늘었다. 그 다음으로 서울(2860개), 경남(942개), 부산(735개), 인천(716개) 순이었다. 가맹점 변동 현황을 보면, 신규개점이 1201개, 계약종료 399개, 계약해지 122개, 명의변경 1455개로 나타났다. 2017년(2048개)과 비교하면 신규개점이 41.35%(847개) 감소했다. GS25 가맹점 수는 2015년(1309개)부터 2016년(1740개), 2017년까지 꾸준히 상승해 왔다. 이와 관련, GS25 관계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편의점 입점 후보지가 줄어드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가맹점사업자의 지난해 점포당 평균 매출액은 6…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7일 CJ그룹의 식자재 유통 및 단체급식 전문기업 CJ프레시웨이(대표이사 문종석)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7565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약 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0% 늘어난 194억 원, 당기 순이익은 77억 원으로 흑자 전환됐다.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1조 5042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영업이익의 경우 단체급식 부문에서 신규 수주와 함께 운영 효율화가 뒷받침되고 있고, 경기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외식 경로에서도 수익성 중심 전략이 주효하면서 이익 개선에 기여했다는 것이 CJ프레시웨이의 분석이다. CJ프레시웨이 측은 “전반적인 경기침체 영향에도 불구하고 주력사업인 식자재 유통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약 5% 증가한 6116억 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경로 별로는 자회사인 프레시원 매출이 전년 동기 12% 증가하며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며, 외식 및 급식 경로도 소폭 상승했다. 단체급식 부문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신규 수주 실적으로 바탕으로 작년 대비 약 14% 증가한 1199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밖에…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오리온그룹(회장 담철곤)은 사업회사 오리온이 2019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393억 원, 영업이익 504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7%, 영업이익은 27.3% 성장했다. 한국 법인은 신제품과 간편대용식 등 신규사업을 바탕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3%, 12.8% 성장했다. 3년 만에 재출시된 ▲치킨팝을 비롯해 ▲썬 갈릭바게트맛 ▲섬섬옥수수 ▲닥터유 단백질바 등 신제품이 소비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고, 마켓오 네이처 ▲오!그래놀라 등 간편대용식 제품 매출도 안정적인 궤도에 올랐다는 설명이다. 오리온은 하반기에 고기능성 ‘미네랄워터’ 제품 론칭을 비롯해 다양한 제과 신제품을 출시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파이·스낵·젤리 등의 카테고리에서 기존 인기 제품들의 새로운 맛을 공격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오리온 측은 “지난 5월 가성비를 높여 출시한 ‘오!그래놀라 카카오&유산균볼’이 어린이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는 가성비 라인업을 확대해 그래놀라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해나가고, ‘초코파이 하우스’도 공항 내…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SPC삼립은 자사의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미각제빵소’가 출시 2개월만에 300만 개 판매를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다른 신제품과 비교했을 때 약 2배 높은 수치로 SPC삼립 대표제품으로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다.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은 설목장 유기농 우유를 사용해 부드럽고 촉촉한 ▲카스텔라 롤이며, 이어 ▲크림치즈식빵 ▲크림치즈데니쉬 순이다. SPC삼립은 ‘미각제빵소’의 이러한 인기가 프리미엄 제품을 마트·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했다. 기존 제품보다 높은 가격의 프리미엄 제품임에도 시장의 반응이 좋은 것은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취향과 입맛이 점점 고급화되고 있다는 것. SPC삼립은 지난 5월말 ‘본질에 충실한 빵’을 콘셉트로 엄선된 원료와 전문 공법을 적용한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미각제빵소’를 론칭하고 현재까지 10종의 제품을 선보였다. 회사 측에 따르면 ‘미각제빵소’는 청정지역 대관령 설목장에서 키운 ▲설목장 유기농 우유를 비롯해 ▲뉴질랜드산 천일염 ▲호주산 크림치즈 ▲벨기에산 코코아매스 ▲…
인더뉴스 주동일 기자 | 티몬이 ‘신규 파트너 판매수수료 0%’ 정책을 도입한다. 신규 파트너사 중 올해 8월 이후 등록한 사업자에 한해 판매 수수료를 최대 60일까지 면제해준다. 티몬(대표 이진원)이 신규 파트너사에게 판매수수료를 최대 60일까지 면제해 주는 ‘신규 파트너 판매수수료 0%’ 정책을 도입한다고 7일 밝혔다. 티몬은 이를 통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새로 도입한 ‘신규 파트너 판매수수료 0%’ 정책은 올해 8월부터 사업자를 내고 티몬에 입점을 희망하는 파트너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승인일로부터 익월 말일까지 판매수수료를 면제해 주기 때문에 최대 60일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단 PG사(Payment Gateway·결제 대행업체) 수수료는 제외된다. 티몬은 신규 창업자들이 시장 안착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점을 고려해 이번 플랫폼 수수료 면제 정책을 펼쳤다. 티몬은 “업계의 일반 파트너들의 평균 판매 수수료가 10% 이상”이라며 “이 같은 완전 수수료 면제 정책은 파격적”이라고 설명했다. 티몬은 파트너들과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해 왔다. 대표적으로 파트너…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ㅣ교촌치킨이 오는 31일부터 내달 1일까지 이틀 동안 열리는 산악자전거대회 참가자를 모집한다. 치킨프랜차이즈 교촌에프앤비(주)는 ‘2019 교촌 레드 산악자전거대회’를 개최하고 오는 13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6일 밝혔다. ‘2019 교촌 레드 산악자전거대회’는 자전거 스포츠의 활성화와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교촌에프앤비가 주최하고 한국산악자전거협회에서 주관하는 행사다. 이번 대회는 오는 31일부터 내달 1일 이틀 간 강원도 평창에 위치한 용평리조트 MTB경기장에서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오는 13일까지 한국산악자전거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종목별로 접수가 가능하다. ‘2019 교촌 레드 산악자전거대회’는 지난해에 이어 종목 확대를 통해 더욱 익사이팅한 경기를 선보인다. 이번 대회는 크로스컨트리(XC), 다운힐(DH), 슈퍼디(SD), 듀얼슬라럼(DS) 등 4가지 종목과 함께 크로스컨트리 릴레이(XCR), 챌린지(XCM)까지 2개 종목을 신설해 총 6가지의 종목을 마련했다. 특히, 이번에 새롭게 채택한 팀 내 5명 선수를 선발해 한 사람씩 1km코스를 릴레이 형식으로 진행되는 크…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습니다. 계약기간은 지난 24일부터 2033년 12월31일까지입니다. 이번 계약 규모는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인 300조8709억원의 7.6%에 해당합니다. 삼성전자는 경영상 비밀 유지를 위해 계약 상대방과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유통업계가 마케팅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는 시도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일상에 깊이 스며든 AI를 적극 활용하면 개인 맞춤형 판매 전략을 세울 수 있고 이를 통해 브랜드 친밀도와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Z세대를 겨냥해 생성형 AI 기반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실시간 챗봇·음성 합성 기술을 활용한 참여형 이벤트를 선보이는 등 AI를 활용한 다양한 소통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공식몰 ‘CJ더마켓’에서 생성형 AI 기술 기반의 ‘대화형 자연어 검색’ 서비스 ‘Fai(파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Fai는 식품(Food)과 인공지능(AI)의 합성어로 식품 트렌드와 최신 기술을 접목해 개인화, 차별화된 고객 가치 경험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기존 검색 기능이 상품명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는 ‘목적형 구매’에 최적화돼 있다면 Fai는 질문 한 줄로 시작하는 대화형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특정 제품을 검색하는 것 외에도 ‘고단백이면서 저칼로리인 간편식은 없을까?’와 같이 탐색 중심의 니즈가 동시에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게 특징입니다. 주요 기능 중 ‘개인화된 AI 큐레이션’을 통해서는 구매 후기, 검색 패턴 등 사용자 데이터를 AI가 학습해 개인 식습관, T.P.O에 맞춘 제품 큐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캠핑 갈 때 먹기 좋은 간식 추천해줘.”라는 질문에 맞춤형 상품 리스트를 제안하는 식입니다. 오비맥주 버드와이저는 최근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여름 캠페인 ‘버드 네버 고즈 얼론’ 영상을 선보였습니다. 이번 영상은 ‘함께 듣는 음악’의 가치를 강조하는 캠페인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전파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도심·클럽·페스티벌 등 다양한 공간에서 음악을 즐기는 순간들을 연결해 하나의 화면에 담았습니다. 특히 고도로 진화된 AI 영상 기술을 적용해 장면을 사실적으로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앞서 버드와이저는 2018년 월드컵 기간 글로벌 메신저 스냅챗과 함께 응원 소리에 반응하는 증강현실(AR) 렌즈를 선보인 바 있습니다. 또 지난해 '버드엑스월드투어' 캠페인에서는 페스티벌을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생성형 AI로 구현하는 체험형 콘텐츠를 운영했습니다. 오븐구이 프랜차이즈 굽네치킨은 최근 소비자가 직접 AI 기술로 CM송을 제작하는 ‘굽네 장각구이 AI CM송 콘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참여자가 28자 이내의 짧은 가사를 작성한 뒤 EDM, K-POP 등 장르를 선택하면 브랜드 모델 추성훈의 음성으로 구현한 AI 음원이 자동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굽네치킨은 지난해에도 AI 음원 기반 광고 ‘여름엔 굽네 고마오’를 선보였고 공개 45일 만에 1000만 조회수를 돌파했습니다. 이 광고는 ‘2024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대상’ AI 크리에이티브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또 배스킨라빈스는 자체 앱에서 AI를 활용해 데이터 기반으로 이용자의 취향에 가까운 제품과 플레이버를 추천해 주는 기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겐다즈는 지난 5월 MZ세대를 겨냥해 AI 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한 필터 챌린지 ‘#하겐in유럽’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빙그레는 AI 챗봇과 이미지 생성 기술을 기반으로 브랜드 팬덤과 디지털 세계관을 연결하는 캠페인 ‘빙그레 비밀학기’ 시즌2를 전개합니다. AI챗봇과 실시간으로 대화하며 자신만의 강의를 생성할 수 있으며 AI가 자동으로 프로필 이미지를 제작해줍니다. 생성된 시간표에는 본인만의 강의가 반영됩니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바나나맛우유, 메로나, 붕어싸만코 등 빙그레 주요 제품 10종 배지를 실물 굿즈로 제작합니다. 캠페인 내 SNS 이벤트 참여자 중 추첨해 배지 1종을 한정 수량 증정합니다. 빙그레 제품 배지는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서울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등 오프라인 부스에서 실물로 먼저 선보였습니다. 빙그레 관계자는 "지난해 73만명이 ‘빙그레 비밀학기’에 참여하면서 시즌1이 성황리에 마무리돼 이에 보답하고자 시즌2를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매년 참신한 캠페인 경험을 제공해 ‘빙그레 비밀학기’가 빙그레의 대표 기업 브랜드 캠페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은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이 934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작년 동기 대비 0.3%, 직전인 올 1분기(6167억원) 대비로는 무려 51.6% 큰폭 증가했습니다. 2분기 기준 최대 순이익입니다. 다만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1조5513억원으로 1년전보다 11.6%(2042억원) 감소했습니다. 우리금융은 "2분기 순이익은 은행 순이자마진(NIM) 추가 개선과 수수료이익의 양호한 성장세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3000억원 늘었다"며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와 내수경기 둔화 등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에서도 은행·비은행 부문의 고른 성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창출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특히 2분기말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2.76%(예상치)로 작년말보다 0.63%p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CET1비율은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주주환원 기반으로 이해됩니다. 우리금융은 "임종룡 회장의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자산리밸런싱과 위험가중자산수익률(RORWA) 중심의 성장전략을 통한 자본적정성 강화에 집중한 결과"라며 "연말 목표 12.5%는 물론 13% 달성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습니다. 이날 우리금융 이사회는 분기균등배당정책에 따라 2분기 배당금을 1분기와 같은 주당 200원으로 결정하며 안정적인 주주환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주요 금융지주 중 올해 상반기 유일하게 외인매수세가 확대됐고 주가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며 "하반기에는 동양생명·ABL생명을 편입해 종합금융그룹을 완성한 만큼 은행·비은행 부문의 균형있는 성장과 계열사간 시너지로 그룹 수익 기반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우리금융은 신성장기업 등 자금지원을 확대해 금융 본연의 역할을 강화하고 중소·중견기업 지원플랫폼 '원비즈플라자' 무상제공 및 서민금융상품 지원 확대로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포용금융 실천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또 시중은행 최초로 신용대출 업무에 'AI뱅커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본격화하며 AI 기반 금융환경 대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위원회는 25일 관계기관 합동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대출금액 5억원(법인대출) 및 1억원(개인사업자대출) 이하 사업자대출에 대해 일정비율 이상의 샘플을 추출해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위는 지난 6월말 수도권·규제지역내 주택구입목적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가계부채 관리강화방안'의 우회수단으로 사업자대출이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에 강력대응 방침을 거듭 밝히고 있습니다.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에 처음 참석한 온라인연계투자금융협회도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 대출이 규제우회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주담대 한도를 관리하고 과잉·과장광고를 제한하는 등 자율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회의 참석자들은 7월 가계대출 증가세가 전달대비 둔화되고 서울 주요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축소된 것으로 미뤄 6·27대책과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7월1일)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주택가격 상승압력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이달 21일부터 수도권·규제지역내 전세대출 보증비율이 80%로 강화된 만큼 전세대출 취급현황 등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 금융위는 부동산시장 과열시 바로 추가규제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금융위는 "이번 대책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일부 둔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감소세에 상당부분 기인한 것"이라며 "향후 주택시장 과열과 주담대 증가추세가 더욱 안정화될 때까지 이번 대책의 이행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필요하다면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추가 강화, 거시건전성 규제 등 준비돼 있는 추가조처를 즉시 시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올해 2분기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6조1619억원) 대비 9.7% 감소했고 올해 1분기(6조2650억원) 대비 11.2%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953억원) 대비 152.0%, 올해 1분기(3747억원) 대비 31.4% 증가했습니다. 2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Tax Credit) 등의 금액은 4908억원입니다. 이를 제외한 2분기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6개 분기만에 흑자 전환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매출은 안정적인 EV향 제품 판매와 미시간 홀랜드 신규 ESS 공장의 양산 시작으로 북미 지역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정책 변동성 확대에 따른 고객 구매 심리 위축과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판가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며 "손익의 경우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고수익 제품∙프로젝트 물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효율화 및 재료비 절감 등 원가 혁신을 통해 IRA Tax Credit 등을 제외한 기준으로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열린 실적설명회에서 ‘하반기 사업 환경 및 대응 전략’을 밝혔습니다. 우선 가장 핵심적인 환경 변화 요인으로 북미 관세 강화 및 대규모 감세법안(OBBBA)을 꼽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 국가 대상 10% 보편관세 및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산 배터리(EV용 73%∙ESS용 41%)에 고관세를 적용하며 대중국 견제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기 일몰 우려가 있었던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는 32년까지, ESS 설치 프로젝트 관련 ITC(투자세액공제) 조항도 2035년 내 착공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유지됐습니다. PFE(금지외국단체) 조항도 신설됐습니다. PFE 기업은 미국 내 배터리 시설 투자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이 외 생산자들도 PFE산 원재료 비중을 축소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중국 등 PFE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반면 EU는 역내 배터리 생산 프로젝트에 8억5000만유로의 투자를 발표했으며, 영국 또한 약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재개, 자국산 중심의 전기차 수요 촉진에 나서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러한 관세 정책 및 정책적 변화는 단기적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나 AI∙자율 주행 서비스 확산으로 장기 EV 수요 모멘텀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에 대해 "유의미한 수주성과를 달성하며 성장 모멘텀을 지속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지난 6월 중국의 체리기차와 체결한 46시리즈 공급계약이 대표적인 수주 사례로 꼽았습니다. 자국 배터리 선호도가 강한 중국 OEM과의 첫 원통형 수주 계약으로, 신규 폼팩터인 46시리즈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고객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자평했습니다.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 본격 양산에 돌입한 것 또한 주요한 성과로 평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북미 ESS 생산 역량을 강화, 고객들의 현지 생산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ESS 추가 수주를 이어 나간다는방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 녹록치 않은 경영 환경에도 실적 개선을 흐름을 지속하기 위해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응, ESS 및 신규 폼팩터∙중저가형 신규 케미스트리 양산 확대를 통해 가동률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신규 투자 최소화와 내부 자원 재배치를 통해 고정비를 감축하고 염가 소재 확보∙각 소재별 공급망 최적화 전략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복안입니다. 사업 포트폴리오도 한층 강화합니다. 북미 시장 현지 생산 ESS 수요 확대에 맞춰 올해 연말까지 17GWh, 2026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북미 현지 Capa를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유럽 시장에서는 중저가 전기차 수요에 맞춰 하반기 폴란드 공장에서 고전압 미드니켈(Mid-Ni), LFP 등 경쟁력 있는 제품 양산을 시작합니다. 혁신 기술 개발 또한 지속한다. EV용 LFP는 신규 공법과 건식전극 공정을 적용한 셀을, ESS용 LFP는 고밀도∙고집적 설계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신규 케미스트리 LMR은 LFP 대비 30% 이상 에너지밀도를 개선, 2028년 핵심 고객사의 차세대 EV 탑재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2028년 10분 내 충전 기술을 제품에 도입하고 건식전극 또한 연내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양산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축적된 역량과 단단한 내실을 기반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끊임없는 도전과 변화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실현해 나간다면 다시없을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