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코웨이(대표 서장원)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9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1조62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9.2% 감소한 107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2분기 코웨이 국내 환경가전사업 매출은 5904억원으로 2.9% 증가했습니다. 정수기를 비롯해 공기청정기, 매트리스 등 다양한 제품군 판매가 호조를 보였습니다. 해외법인 매출은 37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신장했습니다. 해외법인 성과를 견인한 말레이시아 법인과 미국 법인 매출은 2856억원, 611억원으로 각각 3.9%, 13.7% 늘었습니다. 태국 법인 역시 매출 245억원으로 전년 대비 25.7% 증가했습니다. 김순태 코웨이 CFO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제품 개발 노력, 전략적 마케팅 전개 등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 실적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내외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브랜드 비렉스를 중심으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코웨이의 올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1조9545억원, 영업이익은 6.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제과와 롯데푸드가 합병한 롯데웰푸드가 식품사업 부진에도 건과, 빙과 고수익 제품군 판매 확대로 2분기 영업이익이 늘었습니다. 인도 등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도 순항했습니다. 롯데웰푸드는 2분기 영업이익이 4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1조406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58.7% 감소한 12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롯데제과가 지난해 7월 롯데푸드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롯데웰푸드가 이날 발표한 2분기 실적에는 합병 이전 롯데푸드의 실적이 제외돼 표기됐습니다. 이에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합병 영향을 보정한 2분기 실적을 바탕으로 비교했습니다. 제과사업(껌, 캔디 등 건과·빙과·베이커리) 매출은 4729억원으로 7.4% 늘었고 영업이익은 407억원으로 81.5% 증가했습니다. 껌, 초코 등 고수익 카테고리 수요 확대로 건과 매출이 11.2% 증가했고 제로 신제품 출시 영향으로 빙과 매출도 5.4% 신장했습니다. 유제품·소맥분·설탕류 등 원재료 부담과 물류비, 인건비 등 판관비가 늘었지만 건과, 빙과 매출 증가분이 이를 상쇄했습니다. 생산 및 영업 효율화를 통해 제조비용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프레시웨이(대표 정성필)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7795억원으로 전년 대비 8.1%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4.6% 줄어든 20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CJ프레시웨이는 고객 수와 고객당 매출을 모두 확대하는 구조적 성장을 통해 매출이 증가한 반면, 사업 확장을 위한 물류 및 제조 인프라 투자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줄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식자재 유통 사업 매출은 57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습니다. 외식 경로에서는 ‘파이브가이즈’ 등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면서 고객사 수가 1만1000여개를 넘어섰고, 고객당 매출 규모도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15% 늘었습니다. 급식 경로에서는 PB(자체 브랜드), 독점상품 등 판매 확대가 실적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아이누리(키즈 식자재), 튼튼스쿨(학교급식), 헬씨누리(케어푸드) 등 PB 매출이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체급식 사업 매출은 1841억원으로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한 수치입니다. 안정적인 식수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가 역기저와 소비 침체, 고정비 증가가 겹치며 2분기 부진했습니다. 신세계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4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2% 감소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1조575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0%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787억원으로 4.3% 줄었습니다. 신세계는 지난해 2분기에 기록한 분기 최대 실적이 올해 역기저효과로 나타나며 부진했습니다.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소비 심리가 위축된 반면 운영을 위한 고정 비용은 늘었습니다. 코로나19 기간 백화점 성장을 이끈 명품 및 패션 매출 성장세가 주춤했습니다. 백화점은 매출이 6284억원으로 0.8% 증가하면서 지난 2021년 1분기 이후 10분기 연속 외형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강남점 등 오프라인 공간 리뉴얼과 선물하기, 반찬구독 등 온라인 콘텐츠 강화가 주효했다는 설명입니다. 영업이익은 관리비, 판촉비 등의 증가로 23.9% 감소한 92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연결 자회사들은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면세점과 호텔 부문에서 실적 개선을 이뤘지만 패션 및 가구 브랜드를 운영하는 자회사들은 부진했습니다. 면세점 사업을 하는 신세계디에프의 2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자사 의약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2023년 상반기 우수기업연구소'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습니다. 우수기업연구소는 기업 연구개발(R&D)의 근간인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도입된 제도입니다. 대웅제약은 핵심보유기술·연구인력·연구환경 항목 등에서 자가진단 및 분야별 전문가들의 3단계 심사 결과 우수 기업연구소로 선정됐습니다. 우수 기업연구소 지위는 향후 3년간 유효하며 국가 연구개발 사업 선정 우대, 정부 포상기회 확대 등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 대웅제약 의약연구소는 지난 2020년 이후 2회 연속 우수기업연구소로 지정됐습니다. 대웅제약은 꾸준히 연 매출액 중 10% 이상을 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인력 확보에도 적극 나서 대웅제약의 박사 인력은 2021년 전체 연구소 인력의 17%에서 지난해 28%로 증가했습니다. 2년 연속 신약 개발에도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펙수클루’에 이어 올해 5월 당뇨병 치료 신약 ‘엔블로’를 출시했습니다. 올 상반기에는 2건의 신약 기술을 수출했습니다. 현재 대웅제약은 신약 후보물질 15종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와 SSG닷컴은 8월 10일부터 9월 18일까지 총 40일간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9일 밝혔습니다. 행사카드로 구매 시 최대 40% 할인하며 구매 시기와 결제 금액대(30만~1000만원)에 따라 최대 150만원의 신세계상품권을 증정합니다. 이마트는 샤인머스캣 혼합 세트의 경우 5만원대 이하 세트 물량을 40% 늘렸습니다. 구매 부담을 더 낮추고자 처음으로 2만원대 샤인머스캣 세트를 선보입니다. 지난해 추석 매출이 20% 이상 뛴 곶감 세트와 건견과 세트도 5만원 미만 저가형 라인을 강화했습니다. 축산에서는 10만원 미만 선물 세트가 총 12종으로 기존 대비 물량이 65% 늘었습니다. 10~15만원대 축산 세트의 경우 총 14종을 운영합니다. 대표 상품으로 ‘한우 플러스 소한마리 세트(1.2kg)’를 20% 할인 판매합니다. 조미료·통조림 세트도 2~4만원대 세트 상품수와 물량을 각각 10% 확대했습니다. ‘국산 호두말이 곶감세트(920g)’는 젊은층 사이에서 인기인 곶감 호두말이를 일반 곶감과 함께 구성한 세트로 30% 할인 판매합니다. ‘피코크 한우 갈비살 구이 세트(1.6kg)’는 구이 선호 트렌드에 맞춰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쿠팡이 고물가에 따른 경기침체와 이커머스 경쟁 심화에도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면서 올해 연간 흑자 달성 목표에 순항하고 있습니다. 9일 쿠팡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2분기 매출이 7조6749억원(58억3788억달러, 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1314.68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2분기 영업이익은 1940억원(1억4764만달러)으로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에는 6714만달러 적자를 낸 바 있습니다. 전분기인 올해 1분기 영업이익(1362억원)과 비교해도 42% 증가했습니다. 쿠팡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4개 분기 연속 흑자 경영을 이어갔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908억원(1억4519만달러)으로 1년 전 952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2분기에 쿠팡에서 한번이라도 물건을 구매한 활성 고객 수는 1971만명으로 전년 동기(1788만명) 대비 약 10% 늘었습니다. 조정 EBITDA(이자·세금·감가상각 전 순이익)는 3억22만달러로 처음으로 3억달러를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원그룹의 사업 지주사 동원산업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0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9%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2조1978억원으로 전년 대비 5.3%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60.4% 줄어든 4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동원그룹에 따르면 2분기 수산·식품 사업 호조에도 원가부담으로 포장·건설 사업이 부진하면서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동원산업 사업부문은 어가 상승과 어획 호조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288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영업이익은 500억원으로 46.9% 늘었습니다. 앞서 동원F&B는 2분기 매출 1조520억원, 영업이익이 274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9.1%, 22.4%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B2B 전문 식품기업 동원홈푸드 등 자회사가 성장했고, 물류 사업 부문을 맡고 있는 동원로엑스는 유통 물류 운영 효율화로 영업이익이 148% 증가했습니다. 포장, 건설 사업은 수출 부진과 원가 부담이 이어지며 다소 부진했습니다. 동원시스템즈는 미주 시장 알루미늄 수출 감소에 따라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0% 가량 줄었습니다. 동원건설산업의 경우 건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푸드(대표 송현석)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3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고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4.8% 감소한 6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원부자재 가격 상승 및 대외 환경 악화로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으며 인건비나 물류비 등 이러한 외부 요인은 영향이 계속 있을 것 같다는 게 신세계푸드 측 설명입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전사적으로 각 부문별로 특징에 맞게끔 업무 효율을 개선하는 데 집중하고 부문 간 시너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현대백화점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5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9%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970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8% 감소했고 당기순이익도 256억원으로 52.3% 줄었습니다. 백화점 사업이 부진했습니다. 엔데믹과 해외여행 확대로 코로나19 기간 백화점 실적을 뒷받침했던 명품 소비가 감소하는 등 역기저와 함께 소비 침체가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9월 화제로 문을 닫은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 실적이 부재하면서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108억원 감소했습니다. 백화점 별도 매출은 59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5.9% 감소한 61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2분기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로 영패션, 아동, 식품 상품군 등 호조로 매출이 늘었지만 판촉비, 인건비 등 고정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면세점 매출은 1942억원으로 전년 대비 65.9% 줄었습니다. 다만 지급수수료, 프로모션 축소 등 영업 효율화와 공항점 매출 증가로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129억원 증가했습니다. 2분기 영업적자가 역대 최저인 9억원인 만큼 올 하반기 공항점 규모 확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GS리테일이 호텔과 수퍼 사업이 순항하며 2분기 영업이익이 1년 사이 2배가량 늘었습니다. 수익 중심 운영을 통해 프레시몰 및 자회사 적자를 대폭 줄인 것도 주효했습니다. GS리테일(대표 허연수)은 올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9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5%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2조9578억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9.0% 늘어난 53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부별로 보면 호텔 부문 매출이 1236억원으로 51.1% 증가했습니다. 외국인 관광객 수 확대와 MICE(부가가치가 높은 복합 전시 산업) 행사 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이 신장했습니다. 방한 외국인 증가에 따른 투숙율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170.4% 증가한 21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편의점 사업 매출은 2조9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늘었습니다. 신규 점포 수가 늘고 FF 및 가공식품 등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652억원입니다. 운영점 확대에 따른 감가비 증가와 일회성 소모품비, 인건비 등이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수퍼의 2분기 매출은 3574억원으로 전년보다 14.1%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지누스가 올해 2분기 국내 사업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발주 제한 영향으로 전체 영업이익이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가구·매트리스 기업 지누스는 올 2분기 영업이익이 51억6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2% 감소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2분기 매출은 21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6.9%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27.8% 증가한 5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1분기에 이어 미국 주요 고객사의 재고 축소를 위한 발주 제한 정책으로 DI부문에서 큰 폭의 매출 하락이 발생했고 2분기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습니다. 인도네시아 3공장 가동 준비와 판매관리비(85억원) 증가로 영업이익도 줄었습니다. 법인세 감소 및 외환차익 증가로 당기순이익은 늘었습니다. 다만 국내 사업은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2분기 국내 매출은 238억원(소매판매가 기준)으로 1년 전보다 54% 증가하면서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올 상반기는 주력 유통 채널인 온라인(44% 증가)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출도 106% 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한국 사업 소비자 판매액은 전년 대비 50% 증가했습니다. 현대백화점 측은 하반기 업그레이드 제품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휴온스가 전문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성장에 힘입어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휴온스(대표 송수영·윤상배)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407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4%, 64.5%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49억원으로 98.2% 증가했습니다. 2분기 실적은 전문의약품 사업부문이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전문의약품은 매출 66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2% 신장했습니다. 마취제, 순환기계, 항생제, 소염진통제 등 처방 매출 전반이 늘었습니다. 특히 마취제 대미 수출액 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했습니다.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등 미국 FDA(식품의약품) ANDA(의약품 품목허가) 승인을 받은 4개 품목은 올 상반기 매출이 127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 123억원을 넘어섰습니다. 뷰티∙웰빙 사업부문 매출은 494억원으로 전년 대비 9% 늘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사업 매출은 200억원으로 신제품 ‘메노락토 프리미엄’과 ‘전립선 사군자’ 출시 효과를 누리며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수탁(CMO)사업 매출은 168억원입니다. 2분기 영업이익률은 12.7%를 기록했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랜드그룹 주얼리·테마파크 계열사 이월드의 골드주얼리 브랜드 로이드는 ‘모어 퍼펙트, 뉴 다이아몬드’ 캠페인을 선보인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오는 15일부터 31일까지 얼리버드 고객을 대상으로 ‘1캐럿 다이아몬드’를 할인가에 구매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이랜드에 따르면 로이드 1캐럿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 씨앗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실험실에서 키워낸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로 천연 다이아몬드와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으로 동일합니다. 가격은 천연 다이아몬드의 30~40% 수준입니다. 로이드 온라인 공식몰 및 전국 매장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이랜드 로이드 관계자는 "로이드에서 결혼예물 뿐만 아니라 셀프선물로도 좋은 1캐럿 다이아몬드 고객감사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얼리버드 고객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bhc그룹이 운영하는 수제버거 브랜드 슈퍼두퍼는 대표 메뉴 4종(슈퍼 싱글&슈퍼 더블 버거, 트러플버거, 베이컨 에그 온 버거) 누적 판매량이 22만개를 넘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11월 강남에 국내 첫 슈퍼두퍼 매장을 연지 9개월 만입니다. 이 중 슈퍼 싱글 버거와 슈퍼 더블 버거는 약 14만개 이상 팔렸으며 매달 평균 1만5000명 이상이 구매한 셈입니다. 두 제품은 비프패티에 체다치즈와 토마토, 적양파를 토핑하고 시그니처 소스로 맛을 더한 버거입니다. 트러플 버거와 베이컨 에그 온 버거도 각각 4만개 이상 판매됐습니다. 슈퍼두퍼 관계자는 "슈퍼두퍼는 새로운 문화와 음식의 경험을 원하는 MZ세대부터 기존 햄버거와는 차별화된 수제버거에 대한 호기심으로 방문하는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들 입맛을 충족시키고자 한다"며 "미국 본토의 맛은 물론 한국 현지화 메뉴를 개발하고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슈퍼두퍼는 지난 4월 bhc그룹 R&D 센터에서 직접 개발한 치킨 패티 속에 이탈리아 자연산 모짜렐라 치즈를 채운 ‘꼬르동 블루 버거’를 출시한 바 있습니다. 한정 메뉴로 출시됐으나 단기간 내 1만개가 팔리며 정식 메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매년 가을, 서울의 밤하늘을 수놓는 ‘한화와 함께하는 서울세계불꽃축제’가 단순한 불꽃놀이를 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을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부터 이어진 이 축제는 매년 100만명이 넘는 관람객을 불러 모으며 국내 최대 단일 불꽃축제로 성장한 겁니다. 이에 대해 서철현 (사)문화관광진흥연구원 이사장은 “서울세계불꽃축제가 관광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꽃축제 기간 약 295억원 규모의 직접적 경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숙박·교통·식음료 매출 증가뿐 아니라 카페·편의점·배달 등 생활편의 서비스 수요 확대, 임시 인력 고용 창출 등으로 지역 경제 전반에 활력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서울세계불꽃축제는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집계에 따르면 2025년 서울에서는 70여개 축제가 열리지만, 단 하루에 100만명 이상을 끌어모으는 축제는 불꽃축제가 유일합니다. 방문객의 절반 이상이 서울 외 지역에서 찾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 비중도 꾸준히 늘고 있어 글로벌 관광자원으로서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입니다. 서철현 이사장은 “불꽃이 주는 감각적 경험은 관광객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주기 때문에 세계 3대 불꽃축제처럼 서울세계불꽃축제도 해외 관광객을 유치할 강력한 잠재력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DIFF 2025’ 불꽃축제에는 전 세계 관광객이 몰려 행사 기간 숙박객이 9만 8000명을 기록, 전년 대비 6%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이는 불꽃축제가 도시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는 분석입니다. 안전과 환경 관리도 해마다 개선되고 있습니다. 서울세계불꽃축제는 안전 대책과 환경 보호 방안을 투명하게 공개하면서 시민들에게 책임 있는 축제로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동시에 불꽃축제가 만들어내는 방문객 수, 상권 매출 증가, 고용 창출 등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서철현 이사장은 “불꽃축제가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문화·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도시의 자산이라는 인식을 시민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 상권과 연계한 프로그램, 주민 참여 확대 등을 통해 축제가 지역과 함께 성장한다는 공감대를 확산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지속 가능한 축제로서 고유성과 정체성을 확립할 때, 시민 모두가 자부심을 느끼는 ‘우리 도시의 상징’이자 다시 찾고 싶은 이유로 남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쇼핑은 15일 서울 잠실 시그니엘 서울에서 ‘2025 CEO IR DAY’를 열고 ‘트랜스포메이션 2.0’ 가속화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롯데쇼핑에서는 김상현 부회장을 비롯해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이사, 강성현 롯데마트·슈퍼 대표이사, 박익진 롯데e커머스 대표 등이 참석했습니다. 올해 CEO IR DAY는 100여명이 참석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가운데 이 자리에서 김상현 부회장은 2030년 매출 20조3000억원 및 영업이익 1조3000억원 달성을 위한 신규 성장동력 확보 전략과 본원적 경쟁력 강화 방안, 재무 건전성 제고 및 주주가치 향상 계획 등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신규 성장동력 확보 방안으로 글로벌 사업 확장을 꼽았습니다. 오는 2030년까지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같은 프리미엄 복합단지를 베트남 주요 도시에 2~3개 신규 출점할 예정입니다. 롯데마트는 동남아 시장에서 샵인샵 매장인 ‘롯데마트 익스프레스’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신규 사업을 통해 2030년 해외사업 매출액 3조를 달성한다는 목표입니다.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리테일 테크 신사업 발굴·육성 전략도 밝혔습니다. AI가 업무를 주도하는 ‘에이전틱 엔터프라이즈’를 실현해 쇼핑/MD/운영/경영지원 분야에서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내년 제타 부산 CFC 가동으로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에서 차별적 우위를 확보해 외형 확대와 수익 극대화를 달성한다는 전략입니다. 백화점 주요 상권 마켓 리더십 재구축, 그로서리 전문점 전환, 이커머스 및 자회사의 수익성 중심 성장 등 사업부별 본원적 경쟁력도 강화합니다. 백화점은 주요 상권을 ‘롯데타운’으로 형성해 차별화 경쟁력을 갖출 계획입니다. 쇼핑몰·아울렛은 사업부 간 오프라인 매장 컨버전스를 통해 영업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롯데마트·슈퍼는 ‘그랑그로서리’ 모델을 바탕으로 그로서리 전문 매장 전환을 추진하고 상품 다양성, 원가 우위, 시그니처 제품 육성 등을 적극 추진합니다. e커머스는 버티컬 커머스 경쟁력 강화, 롯데그룹 온라인 게이트웨이 역할 집중 및 수익성 중심 운영으로 2026년 연간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노리고 있습니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말 실행한 자산 재평가 이후 주요 재무지표의 개선 효과를 거뒀습니다. 부채비율은 129%로 61%p 낮아졌고 차입금 의존도는 38%로 11%p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롯데쇼핑은 최소 배당금으로 제시한 3500원을 상회하는 배당금을 지급했으며, 올 7월 유통업계 최초로 중간 배당을 시행했습니다. 김상현 롯데쇼핑 대표이사 부회장은 "롯데쇼핑만의 트랜스포메이션2.0 가속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해 고객의 첫 번째 쇼핑 목적지로서의 입지를 굳히겠다"며 "롯데쇼핑을 찾아 주시는 고객뿐 아니라 주주·투자자, 파트너사에게도 신뢰받는 롯데쇼핑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현대건설이 이라크에서 약 4조원 규모의 초대형 해수 처리 플랜트 공사를 따내며 글로벌 플랜트 강자의 입지를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이라크 총리실에서 이라크 석유부, 프랑스 토탈에너지스, 카타르 에너지 등이 공동 투자하는 해수공급시설(WIP)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번 공사는 바그다드에서 남동쪽으로 약 500km 떨어진 코르 알 주바이르 항구 인근에 하루 500만 배럴 규모의 해수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생산된 용수는 바스라 남부 주요 유전에 주입돼 원유 증산에 활용됩니다. 총 사업비는 약 30억 달러(한화 4조원 이상) 규모로, 공사 기간은 49개월입니다. 이라크는 국가 수입의 90% 이상을 원유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번 프로젝트는 원유 생산량을 하루 420만 배럴에서 2030년까지 800만 배럴로 끌어올리려는 전략의 핵심 사업입니다. 현대건설은 지난 1978년 바스라 하수도 공사를 시작으로 이라크에 진출해 카르발라 정유공장, 발전소, 철도 등 40여 건의 주요 사업을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이번 수주는 2023년 준공된 카르발라 정유공장 이후 최대 규모 프로젝트로, 현대건설의 오랜 신뢰와 시공 능력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는 평가입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전쟁과 팬데믹 속에서도 책임 있는 시공으로 신뢰를 쌓은 것이 이번 수주의 배경”이라며 “앞으로도 정유·전력·주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주될 사업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최근 미국 건설 전문지 ENR이 발표한 ‘2025 인터내셔널 건설사’ 순위에서 해외 매출 98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10위에 올랐습니다. 이는 국내 건설사 역대 최고 순위로, 중동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초대형 플랜트 사업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15일부터 16일까지 양일간 '삼성 AI 포럼 2025'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삼성 AI 포럼'은 매년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입니다. 이번 포럼에는 ▲딥러닝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 연구의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 UC 버클리 교수 등 글로벌 AI 전문가들이 기조 강연에 나섭니다. 전영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영역에 AI 기술을 적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라며 "올해 삼성 AI 포럼은 산업계와 학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을 모시고 AI가 사회와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하고 함께 지혜를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 DS부문이 주관하는 1일차 포럼은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삼성전자 The UniverSE에서 진행됐습니다. 이날 포럼에는 사전 초청자 200여명이 참석해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논의했습니다. 기조 강연에 나선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는 기존 AI 모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간 통제 회피', '악의적 사용'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설명하고 안전장치 역할을 할 새로운 모델 '과학자 AI'를 소개했습니다. 그는 "과학자 AI 모델은 인간을 모방하거나 기쁘게 하려는 의도 없이 검증된 사실과 데이터를 근거로 정직한 답변을 제공한다"라며 "안전성과 과학적 발견의 가속화 측면에서 과학자 AI 기술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반도체 설계 자동화 회사인 지멘스 EDA의 아밋 굽타 부사장은 'AI 기반 전자 설계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반도체 전자 설계 자동화 도구에 AI를 통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특히 AI의 잠재력을 완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워크플로우에서 작동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시스템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용호 삼성전자 DS부문 AI센터장 부사장과 강석형 포항공대(POSTECH) 교수, 문일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진행한 기술 세션에서는 반도체 설계 및 제조 분야의 최신 AI 응용 연구 성과와 미래 전망이 논의됐습니다. 송 부사장은 "AI는 칩 설계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가 됐으며 제조 분야에서도 제조 복잡성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AI가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이날 진행된 '삼성 AI 연구자상' 시상에는 ▲니콜라스 파프르노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로즈 유 UC 샌디에이고 교수 ▲르렐 핀토 뉴욕대 교수 등 3명이 선정됐으며 수상자들의 현장 강연도 진행됐습니다. 16일에 진행하는 2일차 포럼은 삼성전자 DX부문이 주관하며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를 주제로 온라인 운영됩니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은 "생성형 AI는 이미 일상과 산업 전반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다"라며 "삼성전자는 본격화되는 에이전틱 AI 시대에 맞춰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둘째 날 기조 강연에는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 연구의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 UC 버클리 교수 ▲AI의 자율적 계획 수립과 의사결정 분야 전문가 수바라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 ▲확산 방식 언어모델(DLM) 기술을 공개한 스타트업 인셉션의 공동창립자 겸 스탠퍼드대 교수 스테파노 에르몬 등이 나섭니다. UC 버클리 곤잘레스 교수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에이전트 능력 고도화 연구 사례를 발표합니다. 또 사용자와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 사이에 발생하는 공백 시간을 활용해 에이전트가 추론·학습·계획을 수행하는 '슬립타임 컴퓨트' 패러다임도 소개합니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는 기존 거대언어모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규모 추론 모델(LRM)' 연구 결과를 공유합니다. 그는 언어 모델에서 해결돼야 할 주요 과제로 ▲정확성 보장 ▲상황 적응형 계산 ▲중간 추론 해석 제공 등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에르몬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미지·영상·오디오 생성에 활용되던 확산 모델을 언어에 적용한 '확산 언어 모델(DLM)'을 발표합니다. 이 기술은 순차적 텍스트 생성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언어 모델의 패러다임을 제시할 전망입니다.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리서치 연구원들이 ▲카메라 색온도 자동 조절 AI 기술 ▲지식 증류를 활용한 효율적인 거대언어모델 학습 기법과 적용 사례 ▲스마트폰, TV 등 전자제품에 거대언어모델을 탑재하기 위한 온디바이스 기술 ▲실제 목소리로 더빙 음성을 자동 생성하는 AI 기술 등 최신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합니다. 또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다양한 보고서를 분석하고 자동 생성하는 '딥 다이브' 기술 ▲다양한 형식의 문서를 거대언어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자동 변환시켜 주는 '문서 AI' 기술 ▲제품에 탑재되는 생성형 AI 모델들의 개발 주기를 단축하는 '온디바이스 AI 스튜디오' 등 사내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과 적용 사례도 공개됩니다. 2일차 '삼성 AI 포럼 2025'는 삼성전자 개발자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은 멕시코 제약사 실라네스와 당뇨 복합제에 대한 라이선스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에 따라 한미약품은 제형 기술과 생산 역량을 기반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실라네스는 멕시코 내 허가, 유통 및 판매를 담당합니다. 양사는 2019년부터 전략적 파트너십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1943년 설립된 실라네스는 멕시코를 대표하는 제약사이자 중남미 주요 제약사 중 하나입니다. 특히 당뇨병 치료제 분야에서는 현지 기업 중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입니다. 실라네스는 환자의 복약 순응도와 편의성을 높이는 한미약품의 복합제 기술에 관심을 보여왔습니다. 2023년부터 ▲아모잘탄큐(고혈압·고지혈증 복합제), ▲아모잘탄플러스(고혈압 치료제), ▲구구탐스(전립선비대증·발기부전 복합제)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협력 제품군을 지속 확대해왔습니다. 양사 간 협력의 일환으로 실라네스 BD팀은 지난 5월 한미약품 본사와 팔탄 스마트플랜트를 방문해 첨단 제조 설비와 품질 관리 시스템을 확인했습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도 이번 계약 체결에 앞서 실라네스 본사 및 생산시설을 찾아 제조 공정과 품질 관리 체계를 직접 확인하며 현지 시장 환경을 파악했습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당사 복합제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라며 "멕시코 시장 진출을 발판으로 해외 사업 확장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인공지능(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과 물류 자동화 기술을 도입, ‘미래형 조선소’ 구축을 위한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HD현대삼호(대표 김재을)는 15일 자사 판넬공장에서 LG CNS, HD현대로보틱스와 ‘휴머노이드 및 물류자동화 기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협약식에는 김재을 HD현대삼호 대표, 현신균 LG CNS 대표, 김완수 HD현대로보틱스 대표,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용접뿐 아니라 측정·성형·관제 등 다양한 생산 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과 자율이동로봇(AMR)을 활용한 조선소 물류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합니다. 이 과정에서 HD현대삼호는 제조 데이터 확보와 현장 인프라를 담당하고, LG CNS는 AI·데이터 융합 플랫폼을, HD현대로보틱스는 특화된 AI 모션 제어 기술을 개발·제공합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용접·시뮬레이션 등 제조 기술을 지원합니다. 이들 회사는 이를 통해 기존 자동화 설비와 협동로봇의 한계를 넘어 복잡한 용접·조립·의장·검수 공정의 자동화를 실현하고, 작업자 안전과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HD현대삼호는 2022년 자동화혁신센터 출범 이후 협동로봇, 수중선체청소로봇 도입 등 고위험 작업 대체 기술을 확대해 왔습니다. LG CNS는 초거대 언어모델을 활용한 피지컬 AI 기반 관리 시스템 구축 역량을, HD현대로보틱스는 조선 현장에 특화된 로봇 제어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산업현장이 필요로 하는 AI 혁신과 디지털 전환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완수 HD현대로보틱스 대표는 “조선 산업 현장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산업용 AI 로봇의 새로운 지평을 열겠다”고 강조했고, 김재을 HD현대삼호 대표는 “AI와 로봇 기술의 현장 적용을 통해 안전과 품질,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미래 조선소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칠성음료는 지난 2022년 9월 처음 선보인 제로 슈거 소주 ‘새로’가 출시 3주년을 앞둔 지난 7월 기준 누적 판매량 7억병을 돌파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새로는 출시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5000만병을 넘어섰으며 7개월 만에 누적 판매 1억병을 기록했습니다. 새로는 기존 소주 제품과는 달리 과당을 사용하지 않은 ‘제로 슈거’ 소주로 출시됐습니다. 주류 제품의 영양성분 표시를 선제적으로 적용하기도 했습니다. 또 연예인 모델 대신 새로 앰베서더 ‘새로구미’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광고 콘텐츠를 중심으로 소통을 시도했습니다. 새로는 출시 이후 지난 달까지 총 43편의 동영상 콘텐츠를 유튜브에 공개해 총 8600만여뷰를 기록했습니다.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제로 슈거 새로, 새로 맛집은 새로, 얼굴 맛집은 새로구미’ 편은 약 1100만뷰를 넘어섰습니다. 다양한 광고 시상식에서도 인정받아 ‘대한민국 광고대상’을 포함한 '유튜브웍스', 'K디자인 어워즈'에서 수상했습니다. 동시에 올해 4월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 권위의 광고제인 ‘스파익스 아시아 2025’에서 크리에이티브전략 부문 동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의 브랜드 체험형 팝업 스토어에 다이닝, 인근 상권과의 협업 마케팅을 결합한 ‘새로도원’을 운영했으며 약 5개월 동안 4만여명이 다녀갔습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출시 3주년을 맞은 새로에 보내주신 사랑에 감사드린다"며 "소주 성수기라 할 수 있는 4분기에는 ‘새로구미’의 확장된 세계관이 중심이 된 새로운 콘텐츠와 함께 새로만의 새롭고 차별화된 브랜드 체험이 가능한 프로모션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