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꼭 KBS만 가야겠다고?

URL복사

Sunday, February 09, 2014, 23:02:53

[언론고시 특강] ⑬

언론계 입문을 위한 지상 특강. 국내 유일, 국내 최다 12만명의 회원수를 자랑하는 <언론고시카페-아랑>의 운영진의 협조를 받아 <인더뉴스>의 청춘 독자들께 촌철살인 언론사 취업팁을 전합니다. [편집자주]

 

[아랑카페 운영자] “네가 어느 매체에 있는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아. 좋은 기사를 쓰면 출입처에서 알고, ‘선수들이 인정해 주는 기자가 될 수 있지 않겠어? 어느 회사에 있는 지보다, 어떤 기사를 쓸지를 생각해봐.”

 

필자가 어렸을(?) 때, 한 선배가 필자에게 해줬던 말이다. 맞는 말이기는 하다. 어느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지에만 몰입돼 제대로 취재와 기사작성을 하지 못하고 어깨에 힘만 잔뜩 들어가 있는 기자님들이 꽤 있는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어느 매체에서 근무하는 지도 무시할만한 요소는 아니다. 필자에게 위와 같은 훈계를 했던 선배는 5년 정도 근무한 뒤 모 지상파 방송국으로 이직했다.

 

언론계 취업을 고민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꼭 어떤 곳에 가겠다는 목표는 계륵같다. 지인 A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꽤 이름이 알려진 케이블 방송에서 언론인 생활을 시작한 A는 하지만 6개월 남짓 다니다 퇴사했다. 자신은 KBS에 가야 할 인재라고 생각했는데, 정작 다니던 회사는 그리 마음에 들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 이후 시험에서 계속 떨어져, 다른 매체에 입사했다. 역시 6개월 정도 다니다 말았다.

 

이후 A는 계속 공부를 하기로 결심한다. 소위 메이저라 불리는 회사에만 원서를 내고, 떨어지면 계속 스터디 그룹에 올인했다. 하지만 결과는 그리 좋지 않았다. A30대 수험생이 됐고, A의 동료 수험생들 중 일부는 케이블 방송에서의 경력을 거쳐 지상파에 입성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회사로 이직하기도 했다.

 

물론 자신이 원하는 회사에 입사하는 것이 최선이다. 지역신문에서 시작해 전국지로 옮겨가는 식의 경력 채용이 일반화돼 있는 미국의 언론사 채용 방식과 달리, 한국에서는 수습사원 공개채용을 통한 인재 육성이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다. 수습으로 큰 회사에 들어가는 것은 경력채용으로 가는 것보다 전체적으로 노력이 덜 들기도 한다. PD의 경우 경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바늘 구멍을 막은 뒤 다시 뚫어 들어가는 정도로 어렵다.

 

하지만 계속 탈락을 하는 마당에 특정 언론사를 고집하다가 시간이 몇 년씩 지나가 버릴 가능성을 무시하기도 어렵다. 당장 3~4년을 허송세월로 보낼 수도 있다. 따라서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

 

반대의 케이스도 많다. 어떤 회사에서든 근무하면 방송경력이 되겠다는 생각에, 다양한 회사에서 꾸준히 단기 MC 활동을 하지만 공채에서 실패하는 지망생들도 수두룩하다. 이런 경우에는 목표를 확실히 설정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합격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 맞다.

 

요컨데, 적절한 눈높이를 갖고 집중해서 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무작정 경력을 쌓는다고 이 회사 저 회사를 전전하거나, 한 회사만 바라보고 공부만 하다가는 시간낭비가 될 수 있다. (여러 사람과)연애를 하다가 결혼을 하게 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아랑카페 운영자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G마켓, 1시간 한정 특가 방송 ‘오늘만산다’ 인기…MZ 취향 노린다

G마켓, 1시간 한정 특가 방송 ‘오늘만산다’ 인기…MZ 취향 노린다

2025.09.02 09:30:12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G마켓은 한정 특가 라이브방송 '오늘만산다'가 '1시간 한정 특가 방송, 품절 시 방송 조기 종료'라는 포맷을 기반으로 회당 평균 거래액 약 2억원을 기록, 신규 고객 유입 효과를 입증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오늘만산다'는 G마켓의 라이브방송 채널인 'G라이브'에서 새롭게 선보인 프로그램으로 생활밀착형 상품 총 10종을 엄선해 1시간 동안 특가에 판매합니다. 방송 중 준비 수량이 모두 소진되면 조기 종료합니다. 지난 3월 론칭한 이후 지금까지 총 14회 방송을 진행했으며 방송 1시간 동안 평균 거래액은 1억9000만원, 회당 평균 조회수는 77만뷰에 달합니다. 특히, 구매고객 중 2030세대 비중은 35%로 G라이브 전체 평균(30%)보다 5%p 높아 MZ세대에게 반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만산다' 역대 최고 실적은 지난 달 25일자 '신학기 시즌' 방송으로 1시간 동안 9억원이 넘는 판매고를 달성했습니다. 당시 신학기 개강일에 맞춰 노트북, 조립형 PC, 컬러복합기 등 디지털기기를 중심으로 인기 상품 10종을 최대 56% 할인가에 판매했고 1시간 내 대부분의 품목이 매진됐습니다. 'MSI 게이밍 노트북'은 방송 개시 10여분 만에 준비 수량이 매진됐고 추가 주문 요청에 따라 당초 목표 판매량 대비 4배 이상 판매되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오늘만산다' 방송을 통한 신규 가입자 수는 G라이브 평균 대비 6배 높은 수준으로 신규 고객 유입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G마켓 관계자는 "짧은 시간 안에 긴장감을 주는 방송 포맷과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는 '헝거마케팅'(시간, 수량 등을 제한해 소비욕구를 일으키는 마케팅)을 살린 기획력이 성공적으로 맞물리며 흥행을 기록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