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CT 정보통신

카카오, 지난해 약 19.1조원 생산유발효과 창출…사회경제적 가치 122개 지표 발표

URL복사

Wednesday, July 09, 2025, 10:07:45

3년간 누적 생산유발효과 51조4000억원…고용유발효과 14만5000명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카카오[035720]가 2024년 카카오 그룹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와 2025년 사회경제적 가치를 설명한 122개의 지표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카카오는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난해부터 산출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카카오 그룹이 직·간접적으로 창출한 경제적 성과는 생산유발효과 19조1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9조1000억원, 고용유발효과 5만4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최근 3년간 누적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51조4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4조5000억원원, 고용유발효과 약 14만5000명에 달하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 결과는 김용규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전현배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한종희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의 자문 및 감수를 받았습니다.

 

이번에 종합 발표된 지표들은 카카오 그룹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객관적 수치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올해는 지난해 10개사의 60개 지표에서 나아가 11개사의 122개 지표로 분석 범위를 넓혔습니다.

 

카카오의 기부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를 통해 조성된 누적 기부금은 2025년 4월 기준 936억원에 달했으며 모금 프로젝트 수는 1만9000개에 이르렀습니다. 임팩트 커머스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한 판로 지원으로 제값을 다한 농축수산물은 6859톤에 달했고 '새가버치 프로젝트'를 통해 새활용된 물건은 912만개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이모티콘 누적 발신 건수는 2800억 건, 출시된 이모티콘 수는 70만개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각사별로 성과를 나열하던 방식에서 나아가 카카오 서비스가 창출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이용자·파트너·사회 등 이해관계자별 기여 가치 기준으로 10가지 분야로 구분해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카카오 그룹이 ▲일상의 편의 제고 ▲사회 안전망 강화 ▲사회·환경문제 대응 ▲국민 건강 관리 ▲소상공인 성장 ▲디지털 전환 ▲소프트파워 생태계 강화 ▲스타트업 육성 ▲이용자 경제 부담 완화 ▲경제 격차 해소 등 10개 분야에서 기여해 온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권대열 카카오 CA협의체 ESG위원회 위원장은 "카카오 그룹은 이번에 확인된 10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가치를 더욱 확대해 나가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며 "특히 카카오만의 유익한 소셜 임팩트를 보다 폭넓게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 및 파트너들과 더 소통하고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