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오는 4월부터 90세 노인도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금융위원회는 11일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 가입연령과 보장연령을 확대해 고령화시대 의료비 보장기능을 강화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노후 실손보험은 9개사,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13개사가 판매중입니다. 유병력자 실손보험 가입연령은 70세, 노후 실손보험은 75세 이하로 보장연령은 100세까지입니다.
노후 실손보험은 고령층 특화상품입니다. 입·통원 구분없이 연간 1억원을 보장하는 고액 의료비 중심의 높은 보장한도가 특징입니다.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일반 실손 대비 가입심사 항목을 축소해 경증 만성질환 또는 치료이력 있지만 일정기간이 지난 유병력자도 가입 가능합니다. 가입심사항목은 6개로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자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령층의 실손보험 가입률은 저조합니다. 70대의 실손보험 가입률은 38.1%, 80세 이상은 4.4% 수준입니다. 가입연령 제한이 노령층의 실손보험 가입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제기가 나오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지적을 받아들여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 가입연령을 90세로, 보장연령은 110세로 확대해 고령화 시대 노년층의 의료비 보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가입·보장연령이 확대된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은 오는 4월부터 출시됩니다. 보험사 방문, 다이렉트 채널, 보험설계사를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보장연령이 100세인 기존 계약은 재가입(3년주기) 시기에 맞춰 110세로 자동연장됩니다.
금융위는 앞서 올해 업무계획를 발표하면서 국민 노후대비를 위한 '노후지원 보험 5종세트'를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번 개선안과 함께 사망보험금 유동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및 연금계좌에 의료저축계좌 기능 부여, 보험계약대출 우대금리 항목 신설, 신탁업 활성화가 그것입니다.
금융위는 "앞으로도 보험업계와 협력해 국민 노후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상품을 발굴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