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 인수 후에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하는 등 대대적인 지배구조 개선에 나설 뜻을 밝혔습니다.
하이브는 "이사회 전문성·투명성 확보를 통한 지배구조 선진화 방안을 골자로 하는 SM 주주제안에 나섰다"며 "이는 SM 주주 권익을 제고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는 내용을 담은 주주제안을 이수만 SM 전 총괄 프로듀서를 통해 SM엔터테인먼트에 제출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하이브는 우선 정관 변경안을 통해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한다는 방침입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거버넌스위원회를 설치해 이사회의 독립성·전문성·효율성도 높입니다. 3인 이상의 이사로 이뤄질 이들 위원회는 3분의 2 이상이 사외이사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반드시 사외이사로 선임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이사회 구성원들의 이사회 참석을 원활히 하고, 의안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도록 하며, 실질적인 양성평등 구현을 포함한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에도 노력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이브는 특히 배임이나 횡령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이사로 선임될 수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밖에도 ▲ 준법지원인 제도 명문화 ▲ 전자투표제 도입 ▲ 적극적 공시 IR(기업설명) 활동 ▲ 감사위원회 설치 ▲ 등기이사 등 주요 임원 보수를 경영성과와 연계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하이브는 "이미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가장 선진적이라고 평가 받는 지배구조를 갖춘 하이브인 만큼, SM 역시 이사회의 기능·역할·책임을 강화하고 다양한 위원회와 준법지원인 제도를 도입해 이해상충 이슈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사내이사 후보로는 이재상 하이브 아메리카 대표, 정진수 하이브 CLO(최고법률책임자), 이진화 하이브 경영기획실장 등 3명을 지정했습니다. 사외이사 후보로는 강남규 법무법인 가온 대표변호사, 홍순만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임대웅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 한국대표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기타 비상무이사 후보로는 박병무 VIG파트너스 대표, 비상임감사 후보로는 최규담 회계사를 각각 지정했습니다.
'방탄소년단'의 소속사로 유명한 하이브는 지난 10일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 겸 총괄 프로듀서의 지분 14.8%를 매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주주제안은 당시 하이브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 사이의 계약에 따라 이수만 측이 하이브가 지정한 인사가 담긴 안을 제출하는 형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는 주주제안서에서 "SM을 가장 모범적인 지배구조가 실현되는 기업으로 도약하게 하고, 주주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 본인의 책임을 다하는 자세"라며 "이로써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가 함께 제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