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수도권 아파트 ‘깡통전세’ 위험…‘준공 21~30년’ 단지서 높아

URL복사

Tuesday, September 06, 2022, 16:09:20

부동산R114, 수도권 내 전세가율 80% 초과 아파트 통계 발표
지역별로 인천시가 비중 높아..연식별로는 ‘준공 21~30년’ 과반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전세값과 매매가의 차이가 나지 않는 '깡통전세' 위험이 수도권 일부 단지에서 나타나는 가운데 구축 아파트가 신축 아파트보다 위험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8월말을 기준으로 수도권 내 전세값이 매매가의 80%를 초과하는 아파트는 12만6278가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총 가구수인 337만684가구와 비교했을 경우 3.7% 수준입니다.

 

'깡통전세'는 전세값이 매매가를 앞지르거나 두 가격이 별 차이가 없는 현상을 의미하며, 깡통전세가 발생할 경우 계약 종료 시 보증금 미반환 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보통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하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수도권 지역별로 전세가율이 80%를 초과하는 가구를 지역 총 가구수 대비 비율로 따졌을 경우 인천시가 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인천시는 46만1790가구 중 2만8217가구의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총 172만6393가구로 아파트 가구 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5.5%(9만5558가구)로, 서울은 0.2%(118만2501가구 중 2503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아파트 연식별로 전세가율 초과단지를 살펴볼 경우 입주한 지 21~30년에 해당하는 구축 아파트가 7만5203가구(59.6%)로 조사되며 10가구 중 6가구 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뒤를 이어 11~20년 3만4428가구(27.3%), 6~10년 9663가구(7.7%), 30년 초과 5893가구(4.7%) 순으로 확인됐습니다.

 

매매가격이 비교적 높은 입주 5년 이하 신축아파트는 1091가구(0.8%)로 비중이 낮았습니다.

 

아울러, 30년 초과 아파트 총 59만8007가구 중 재건축 정비사업에 들어간 아파트 20만145가구는 모두 전세가율이 80%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동산R114는 30년 초과 아파트의 경우 매매와 전세간 가격 차가 큰 재건축 단지가 상당수 포함되며 전세가율 80%를 초과한 단지가 적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전세가율은 아파트값 수준이 높은 서울보다는 인천과 경기 아파트가, 대체로 신축에 비해 구축에서 높게 나타나며 집값 호황기에 큰 폭으로 오른 후 가격이 빠르게 조정되는 단지들도 깡통전세 발생 우려가 있다"며 "요즘처럼 거래가 극히 드문 시장에서는 실거래가 만으로는 정확한 전세가율 파악이 어려움을 감안해 시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홍승표 기자 softman@inthenews.co.kr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