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대한통운(대표 강신호)은 TES(Technology, Engineering, System & Solution) 기반의 자동화 물류시스템을 동남아 물류센터에 지속적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동남아에서는 상품의 입고부터 피킹·포장·출고·재고조사까지 모든 물류과정을 사람이 직접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동남아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이 2025년까지 연평균 23%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물류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CJ대한통운은 국내에서 검증이 완료된 TES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 및 운영방식을 현지에 맞게 접목시켜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레이시아에 위치한 생활용품 물류센터에서는 자체 개발한 ‘MPS’를 도입했습니다. MPS는 고객주문정보를 전달해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피킹·분배·출고 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을 지원해주는 다목적 물류지원시스템입니다. IT기술을 접목해 실시간 정보전달과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특히 MPS와 연계된 무선 단말기 MPI를 보관선반에 부착하면 자동으로 상품과 수량 등 관련 정보를 알 수 있어 업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실제로 말레이시아 물류센터에서 MPS 도입을 통해 피킹작업 생산성을 3.2배가량 높였으며 투입인력을 55% 줄였습니다.
베트남에서 운영 중인 리테일 물류센터에는 ‘DAS’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DAS는 소품종 다량상품을 피킹하고 출고하는 물류센터에 적합한 자동화 분류 시스템으로 국내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또 자동화 설비 통합 관리 제어시스템 ‘WCS’ 등 동남아 현지 맞춤 기술들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국내 도입으로 효율성이 입증된 첨단 물류기술을 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 등 동남아 사업장에 접목하고 있는 중”이라며 “TES 기반의 전문 컨설팅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최상의 맞춤형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