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최연재 기자ㅣ유안타증권은 10일 아스트에 대해 글로벌 항공산업의 회복이 시작됐다면서 가시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가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아스트는 한국항공우주(KAI)의 스트링거(Stringer) 사업부문에서 나온 뒤 설립된 항공부품 제조업체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기종인 B737과 E2의 핵심 부품을 독점 공급하고 있다.
허선재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항공산업의 회복은 이미 시작됐다”면서 “이연된 여객·항공기 수요가 폭발할 시점이 멀지 않았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업황이 개선되기 시작하면 급속도로 좋아져 지금부터 아스트를 주의 깊게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보잉은 올해 1분기 737Max 증산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1분기 10대, 올해 1분기는 31대로 21대나 늘어난 수치다. 737Max향 매출 비중이 높은 아스트로서는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허 연구원은 “보잉의 증산 계획 발표는 단기적 불확실성이 발생해도 예정된 생산량에 맞춘 항공부품의 조달을 의미한다”며 “델타 변이 확산으로 연내 항공기 인도가 감소해도 최소 내년까지 아스트의 공급량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안타증권은 아스트의 올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54.9% 증가한 844억원, 영업손실 95억원으로 적자폭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부터 보잉 737Max 생산 증대에 따른 Section48 등 주력 부품 수주 확대가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허 연구원은 “올해 예상 매출액은 2019년의 60% 수준이며 본격적인 회복은 내년부터 이뤄진다”며 “내년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311억원(YoY +55.3%)과 97억원(YoY 흑전)”으로 추정했다. 이어 “델타변이 확산으로 구체적 회복 시점이 일부 지연될 수는 있겠으나 업황이 좋아지는 방향성은 이미 확인됐다”면서 “인내와 믿음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