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빅테크 등 IT·금융 기업과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에 반대해온 시중은행들이 자체 플랫폼 만들기로 새로운 대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그동안 은행권은 카카오페이와 토스 등 빅테크 기업 등이 주도하는 대환대출 공공 플랫폼을 구축 참여에 상품 수수료와 종속 문제 등의 이유로 거부 반응을 보여왔습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시중은행이 참여하는 대환대출 공공 플랫폼 구축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은 앱(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은행, 보험 등 여러 금융사의 대출금리를 한 꺼번에 비교하고, 금리가 낮은 곳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금융당국이 모든 가계대출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만들어 서민들의 이자 부담을 줄이자는 취지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그간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주도권을 두고 이견을 보여왔습니다. 카카오페이와 토스 등 민간 빅테크 기업이 주도할 경우 시중은행은 상품만 제공하고, 중개 수수료만 부담하는 등 들러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단순히 대출금리를 비교하는 플랫폼에 과도한 수수료 지급과 함께 핀테크 업체 중심으로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들여다보면 핀테크 앱은 중개하는 역할이고, 앱 안에서 대출 실행은 없다”며 “대출 관련 뒷단의 일은 모두 해당 은행에서 발생하는데 굳이 빅테크 플랫폼에 들어갈 이유가 있겠느냐”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취지는 긍정적이고, 참가하겠다는 의지는 있다”면서도 “다만, 운영 방식을 포함해 수수료의 문제, 빅테크 업체와 협업 문제 등 사업방식에 대해서 애로사항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여러 이유로 IT·금융권 통합 플랫폼 참여를 꺼린 시중은행은 은행연합회가 운영하는 ‘금리비교·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을 추진합니다. 다만, 시중은행은 은행연합회에서 주도하는 대환대출 자체 플랫폼에 이어 빅데크가 만든 플랫폼에도 참여하는 투트랙 전략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진행하는 핀테크 중심의 대환대출 플랫폼과 은행연합회에서 진행하는 플랫폼 모두 참여하는 등 가능성은 열어둘 수 있다”며 “대환대출 플랫폼이 구축되면 금융 소비자 측면에서는 금리 비교와 함께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