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올해 하반기 호황기에 진입해 내년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전체 매출액이 내년 1804억 달러(약 204조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울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기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최대 매출은 ‘반도체 슈퍼 사이클’이 있었던 2018년 1633억 달러(약 185조원)였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지난 2018년 사상 최대 기록을 세운 뒤 하락국면에 진입하면서 2019년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약 32% 감소한 1104억 달러(약 125조원)까지 곤두박질쳤고,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IC인사이츠는 올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D램 가격의 빠른 상승세에 힘입어 작년 대비 23% 증가한 1552억 달러(약 175조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호황기는 내후년에 정점에 이를 전망입니다. 내년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올해 대비 16% 상승한 1804억 달러(약 204조원), 내후년 매출은 내년 대비 22% 더 오른 2196억 달러(약 249조원)로 예상됐습니다.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올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매출 기준 D램이 56%, 낸드플래시가 41%를 차지하며 양분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올해부터 ‘반도체 장기 호황’이 전망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2분기 이후 메모리반도체 업황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매출 기준 전 세계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약 42%로 1위, SK하이닉스가 29%로 2위인데요. 낸드플래시 역시 삼성이 약 32% 점유율로 1위이고, SK하이닉스는 인수를 앞둔 인텔 낸드 사업부와 합산하면 20%대 점유율로 2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