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SK텔레콤이 AI(인공지능) 중심 회사로 대전환과 글로벌 수준 거버넌스(지배구조) 확립을 올해 변화방향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를 위해 ESG 경영 의지가 반영된 정관을 신설하고, 분기배당 근거를 마련해 주주가치를 높이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사회 역할을 강화하고, CEO 추천과 보임 결정도 이사회가 주도한다는 방침입니다.
25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을지로 본사 T타워에서 제37기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2020년 재무제표 확정 ▲사내이사 및 감사위원 재선임 ▲정관 일부 변경 등의 안건을 승인했습니다.
이번 주총에서 SKT 박정호 CEO와 5대 사업부 주요 경영진(유영상 MNO사업대표, 최진환 미디어사업부장, 박진효 S&C사업부장, 이상호 커머스사업부장, 이종호 티맵모빌리티대표)은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5G 및 New ICT 사업 성과와 경영 비전을 주주들에게 설명했습니다.
박 CEO는 이날 프레젠테이션에서 2021년 SKT의 변화 방향으로 ‘AI 컴퍼니로 트랜스포메이션’과 ‘글로벌 수준 거버넌스 확립’을 제시했습니다. 박 CEO는 “각 사업부 별 성장 방향성을 설명하면서 5대 사업부를 기반으로 New ICT 포트폴리오를 성장시켜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SKT는 유영상 MNO사업대표를 사내이사로, 윤영민 고려대 교수를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으로 재선임했습니다. SKT 이사회는 사내이사 2인, 기타 비상무이사 1인, 사외이사 5인 등 총 8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또 SKT는 연내 지배구조 개편을 공식화했습니다. 박 CEO는 “올해 반드시 지배구조 개편을 진행할 것”이라며 “올 상반기 구체화되는대로 따로 세션을 만들어 전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금 주가 수준은 우리 전체 사업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충분히 커버 못하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개편해야 한다고 오래 전부터 고민했고, 올해 실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엿습니다.
◇ 올해 SKT 변화 방향은 AI컴퍼니 전환
박정호 CEO는 프레젠테이션에서 올해 SKT의 핵심 변화 방향과 관련 “올해를 기점으로 큰 방향의 전환을 앞두고 있다”며 “SKT는 ‘명실상부’한 AI 컴퍼니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SKT는 AI를 중심으로 핵심 사업인 MNO를 비롯한 미디어, 보안, 커머스 등 전체 ICT 패밀리의 상품·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물론 이를 외부 제휴사로 확장해 혁신적인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덧붙였습니다.
◇ 글로벌 수준의 선진화된 거버넌스 확립
박 CEO는 SKT의 올해 두 번째 변화 방향으로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선진화된 거버넌스 구축을 강조했습니다. 박 CEO는 “우리 회사는 이미 전문성과 다양성을 겸비한, 독립된 이사회 중심의 경영체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며 “이해관계자들의 더 많은 인정과 지지를 얻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거버넌스로 한 단계 진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KT는 이를 위해 정관에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신설하여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에 대한 의지를 반영했습니다. 또 SKT는 독립적이고 투명한 이사회 중심 경영이 되도록 이사회 산하 위원회를 4개로 재편해 역할과 권한을 확대합니다. 4대 위원회는 ▲미래전략위원회(중장기 방향성) ▲인사보상위원회(미래 경영자 육성) ▲감사위원회(공정하고 투명한 기업 운영) ▲ESG위원회(ESG 경영활동 제고)로 구성돼, 이사회 중심 경영을 지원하게 됩니다.
특히 인사보상위원회는 앞으로 대표이사 추천과 보임을 이사회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게 되며, 대표이사를 포함한 사내이사에 대한 평가와 보상 수준을 독립적으로 결정할 예정입니다. 기존의 기업시민위원회에서 확대 개편된 ESG위원회는 환경·사회·거버넌스와 관련해 SKT의 역할을 강화하게 됩니다.
SKT는 2012년부터 대표이사와 이사회의장을 분리해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화해 왔으며, 2018년에는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해 다양성을 높여왔습니다. 또 사외이사를 과반 구성하도록 한 상법 개정(2012년, 상법 제542조)에 앞서 2009년부터 사외이사를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등 이사회 선진화에 앞장서 왔습니다.
SKT는 지난해 대기업 최초로 온라인 주주총회 중계를 선보인데 이어 올해도 현장 진행과 실시간 중계를 병행했습니다. 이에 앞서 지난 2018년부터는 전자투표를 선제적으로 도입하는 등 주주 친화적인 경영을 선도해왔습니다.
올해에도 주총 전날까지 사전 접수 받은 질문에 대해 주총 현장에서 경영진들이 직접 답변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중계하는 등 경영진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