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Zoom in 줌인

"저는 바보입니다"..어느 보험 가입자의 고백

URL복사

Thursday, October 23, 2014, 11:10:12

[창간 첫돌 기획] 나에게 보험이란_㉓ 30대 회사원 김시재

 

[30대 회사원 김시재] 아직 최종 합격의 흥분이 가라 앉지도 않은 취업 발표 다음 날, 나는 전화 한 통을 받았다. ‘음에 정확히 맞춘 하이톤의 여성이 나에게 반갑게 말을 걸어 왔던 것.

 

안녕하세요? 고객님. 저는 000보험의 000입니다. 이렇게 전화를 드린 것은 다름이 아니라블라 블라 블라 블라.”

 

지금 같으면 . 괜찮습니다. 죄송하지만 지금 회의 중이라서요, 통화가 힘듭니다.”하고 정중히 거절했을 전화였지만, 취업 성공 후 부푼 가슴을 안고 미래에 대한 계획(사실 계획이라기 보다 앞으로 내 통장에 로그인 할 월급을 어떻게 로그아웃 실킬까에 대한 막연한 공상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한 듯하다.)을 세우고 있던 나는 텔레마케팅 상담원과의 대화에 집중했다.

 

고객님. 혹시 회사원이신가요?”

. 이번에 합격했습니다.^0^” 자랑스러운 나의 대답.

너무너무 축하 드립니다. 고갱님~ 이제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셔야 할 때 인건 아시죠? 취업까지 하셨으니 보험은 필수라는 말 많이 들으셨죠? 이번에 새로 나온 상품은 법이 바뀌기 전 마지막 찬스로블라 블라.”

 

상당원과 대화 중에 생각했다. ‘그래. 어른들도 기본적으로 종신보험이랑 실비보험은 있어야 된다고 그랬어. 어차피 가입할 거 법 바뀌기 전 혜택이 있을 때 가입하는 게 좋겠지? ~ 역시 난 가치 소비쟁이야.’ 스스로를 대견해 하며 나는 너무도 쿨하게 종신보험에 가입했다.

 

등기로 계약서와 약관 등 각종 서류를 받았을 때에도 나는 그냥 서랍 한 구석에 고이 모셔 두었다. 그렇게 몇 달이 지나고 어머니께서 전화를 하셨다.

 

니 보험들어야제? 친한 친척이 보험한께 그거 들어라. 보험도 들 겸 집에 한 번 온나.”

어머니의 기도 살려드릴 겸 나는 또 쿨하게 보험에 가입했다.

 

그것이 무슨 보험인지도 모른 채, 친한 친척이니까 믿고 대충 알아서 해 주시라는 당부와 함께 난 멋지게 계약서에 사인을 휘갈겼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나는 왜 그렇게 경제관념이 없고 계획성이 없었을까 싶지만, 그때는 가치소비 했다는 스스로에 대한 대견함과 멋지게 취업에 성공해서 어머니의 기까지 살려 드렸다는 뿌듯함이 내 이성을 마비 시켰던 건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몇 년이 흘렀다. 보험료는 자동이체로 빠져 나가고 있었고, 텔레비전에서 암이나 각종 질병에 대한 뉴스가 나올 때 마다 속으로 든든함을 느꼈다.

 

그렇게 시간은 흘러 흘러 취업 후 4년이 되었을 때, 친한 친구가 보험을 한다며 컨설팅을 해주겠다고 했다.

 

워낙 친한 친구라 보험 하나 들어 줘야겠다는 생각에 그 녀석의 친절에 보답하는 의미로 보험 계약서를 내밀면서 컨설팅을 부탁했다.

 

한참을 이리 뒤적, 저리 뒤적 하던 내 친구는 고개를 연신 갸웃거리며 나를 한 번, 계약서를 한 번, 또 나를 한 번, 계약서를 한 번몇 번을 그렇게 보더니 물었다.

 

왜 종신보험이 두 개나 되냐? 그리고 너 상황이랑 너무 안 맞는데?”

 

나는 그 말을 들으면서도 무슨 말인지 몰랐다. 한참을 친구의 설명을 듣고 나서야 내가 전화로 가입한 보험과 친한 친척분께 가입한 보험이 회사가 다른 종신 보험인 것을 알았으며, 세세한 보장을 뜯어 봐도 나와는 크게 상관이 없는 보장들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친구의 컨설팅을 자세하게 듣고, 나는 기존의 보험을 모두 해지했다. 원금 손실을 감수한 채, 눈물을 흘리며, 비싼 수업료를 냈다고, 더 늦기 전에 알아서 다행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하면서그렇게 나는 사회 초년생의 호기로 가입한 보험을 모두 해지했다.

 

그리고 친구와 머리를 맞대고 진짜 내 보험을 가입했다. 사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보장 내용이 가물 가물 하지만, 어쨌든 가입 당시 나는 많은 고민을 했고, 진짜 내 보험을 가입한 것이다.

 

그렇게 내 보험 1막은 새드앤딩으로 막을 내렸고 친구와 함께 2막을 시작했다. 혹시라도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밝히는 것은, 이 글이 절대 텔레마케팅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며, 보험업을 하시는 많은 분들의 기분을 언짢게 해 드리기 위한 것은 더더욱 아니다.

 

단지 아무것도 모르고 관심도 없이 그냥 막 보험에 가입한 그 당시 나의 어리석음을 만 천하에 고백하고 가슴의 짐을 조금이라도 덜어 버리려는 것이다. 참 바보 같았던 그때, 보험을 통해 나는 하나의 깨닳음을 얻었다.

 

모든 것은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것을. 그게 그거지. 대충 아는 사람한테 맡기고 말지. 하는 순간 나는 바보가 된다고. 마지막으로 어느 한 바보가 취업에 성공한 많은 사회 초년생들에게 한 마디 하고 싶다.

 

사인은 막 하는 것이 아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2025 2분기 실적] ‘고래잇’ 이마트, 영업익 216억…흑자전환

[2025 2분기 실적] ‘고래잇’ 이마트, 영업익 216억…흑자전환

2025.08.12 14:26:54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가 통합매입 효과와 주요 점포 리뉴얼을 통해 객수를 늘리며 2분기 적자를 벗어났습니다. 하반기도 본업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 수익성 개선에 속도를 냅니다. 이마트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순매출은 7조390억원으로 0.2% 소폭 감소했습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4조2906억원으로 11.8% 증가했고 영업이익 15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2분기 할인점 매출은 2조7701억원으로 0.5% 늘었고 영업손실은 3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1억원 개선했습니다. 이마트 측은 2분기 실적 호조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통합매입을 통한 원가절감과 이를 고객 중심의 재투자로 연결해 고객수를 늘린 결과라고 봤습니다. 여기에 스타필드 마켓으로 대표되는 미래형 포맷 점포 확대와 신규 점포 출점 등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성과로 가시화됐다는 분석입니다. 이마트는 통합 매입을 통해 확보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올해 초부터 대규모 할인행사 ‘고래잇 페스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상반기 고객 감사제로 진행된 6월 고래잇 페스타 기간의 매출과 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각 33%, 18% 증가했습니다. 점포 리뉴얼도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스타필드 마켓 1호점인 죽전점은 올해 2분기 매출과 객수가 전년 대비 각각 104%, 82% 늘었습니다. 지난 6월 2호점으로 리뉴얼 오픈한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도 오픈 이후 7월 25일까지 한 달간 전년 대비 매출이 39%, 방문객 수는 67% 증가했습니다. 트레이더스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객수는 4% 이상 늘었습니다. 할인점 역시 2분기 고객수가 0.3% 증가했습니다. 주요 오프라인 자회사들도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신세계프라퍼티는 스타필드 고양, 스타필드 코엑스 등 주요 점포의 매출 호조에 힙입어 전년 대비 45억원이 늘어난 5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푸드는 원가개선 등을 통해 39% 신장한 13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이마트는 하반기 차별화 상품 확대와 신규 포맷 매장 리뉴얼 강화에 집중합니다. 지난 7월 스타필드 마켓 동탄점을 리뉴얼 오픈했으며 오는 9월 트레이더스 신규점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온라인 부문에서는 SSG닷컴이 통합매입을 기반으로 그로서리 가격 경쟁력 강화에 나섭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해 온 상품·가격·공간 혁신을 통한 본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가격 투자 및 구조 혁신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초격차 전략을 통해 성장과 수익 개선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