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대기업 총수가 선호하는 주거단지는 어디?’...삼성동 풍수지리 전격분석

URL복사

Wednesday, July 24, 2019, 17:07:22

빌사남TV, 삼성동 특집 2화...삼성동 아이파크 등 고급아파트 탐방 및 인근 투자가치 전망
삼성동뿐만 아니라 잠실운동장까지 묶어 개발...송파 집값, 꼬마빌딩 가격에 영향 미칠 것

인더뉴스 진은혜 기자ㅣ

 

- 빌사남 김윤수 대표: 강남의 유일한 큰 사찰이죠. 저 건물이 봉은사입니다. 조계종 사찰인데 면적이 굉장히 큽니다. 얼마 전에 래퍼 도끼가 불교 신자인데, 모 프로그램에 나와서 촬영을 했던 장소죠.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이 일대가 전부 봉은사 땅이었는데 정부에 헐값에 팔았습니다.

 

▲신대리: 네, 서울에서 평당 1억원을 가장 먼저 넘긴 아파트죠. 삼성동 아이파크입니다.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작년에 러시아분이 펜트하우스를 매입했어요. 105억 정도 되는 금액을 현금으로 바로 매입했습니다. 강남 아파트 중에서도 가장 비싼 아파트고요. 일단은 삼성동 자체가 남쪽 대모산에서 좋은 기운이 북쪽까지 올라오면서 한강을 만나 잠시 머무는 곳이 여기입니다.

 

그래서 풍수지리학적으로 너무 좋은 곳이고, 특히 아이파크 같은 경우에는 볼록 튀어나온 곳에 있어요. 좋은 기운이 더 많이 머무르는 구릉지에 있어서 삼성동에서 가장 좋은 위치입니다. 아이파크 뒤쪽으로는 많은 대기업 총수나 유명인들이 주택을 소유해서 거주하고 있습니다.

 

▲신대리: 실제로 삼성 아이파크에도 유명 연예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계신가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그렇죠. 실제로 연예인분들이나 유명인사들이 거주하고 있고 아이파크 뒤쪽에도 이건희 회장님이나 기타 등등 대기업 총수들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스타트업 대표인데, 블랭크의 남대광 대표님이 이건희 회장님 바로 맞은편 주택을 샀습니다. 이쪽은 풍수지리학적으로 굉장히 좋은 곳이에요. 그중 가장 유명한 아파트인 현대아이파크입니다.

 

그리고 지금 저희가 있는 곳이 경기고교 담벼락이에요. 강남을 처음 개발할 때 가장 먼저 했던 게 학군을 다 옮겼어요. 원래 경기고교도 사대문 안에 있었는데, 이쪽으로 옮긴 겁니다. 휘문고도 그렇고요.

 

▲신대리: 현대주택단지라고 되어있네요?

 

-빌사남 김윤수 대표: 현대건설에서 개발했고요. 현대 출신분들이 여기에 많이 살고 계시고 재력가나 유명 연예인분들도 많이 살고 있습니다.

 

▲신대리: 엄청 조용하고 한적하네요.

 

-빌사남 김윤수 대표: 청담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어서 멀지 않아요. 그리고 여기 같은 경우에는 용도지역이 제1종전용주거지역이에요. 강남에 흔치 않은 전용주거지역이 국기원 있는 곳, 아까 봤던 아이파크 쪽, 그리고 여기인데요, 1종 전용주거지역 같은 경우에는 주택 말고 다른 걸 하기 쉽지 않아요. 거의 주택으로만 사용해야 하는 거고 건폐율도 50% 용적률 100%밖에 안 됩니다. 땅의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곳이어서 주거용으로 사용해야 하는 부지 중의 하나입니다.

 

▲신대리 : 매매가는 어떻게 되나요?

 

-빌사남 김윤수 대표 : 대지 평당 5000 정도 될 것 같습니다. 이쪽 지역도 재력가분들이 좋아하는 주거단지여서 인기가 굉장히 많은 동네입니다. 매물도 쉽게 나오지 않고요.

 

▲신대리: 저희 오늘 빌사남TV 삼성동을 쭉 둘러보았는데요, 대표님 오늘 둘러본 곳 싹 정리해볼까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네, 처음으로 봤던 데가 선릉공원. 그쪽은 사무실이나 주택지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코엑스 바로 앞에 전지현씨 빌딩을 봤는데 거기는 먹자상권이 형성돼 있었어요. 거기는 이면까지도 가격이 비싸게 형성돼 있거든요.

 

그리고 코엑스 안에 별마당 도서관, 아쿠아리움 봤었고, 한전부지도 보고 왔죠. 한전부지는 삼성동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가장 큰 호재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빌딩을 건축할 예정이고 569미터면 엄청 높은 거예요.

 

▲신대리: 세계에서도 5위 정도 될 것 같다고 그러더라고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삼성동은 거의 대박에 가까운 곳이라고 생각되고, 그런 것 때문에 매수자분들이 삼성동에 굉장히 관심이 많아요. 지금 빌딩뿐만 아니라 아파트도 굉장히 관심이 많습니다. 삼성동뿐만 아니라 송파 잠실운동장까지 묶어서 개발하거든요. 거기도 호재가 있기 때문에 송파 집값, 꼬마빌딩까지도 가격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대리: 이런 호재들 때문에 가격에 거품이 낀 것이 아니냐 너무 비싼 거 아니냐는 문의도 많아요.

 

- 빌사남 김윤수 대표: 그렇게 봤을 때는 한전부지가 최고가를 찍었거든요. 평당 4억 4000만원에 매매됐고, 다른 나라 홍콩, 도쿄를 봐도 집값이 우리나라는 싼 편이에요. 빌딩도 그렇고요. 아까 러시아분이 펜트하우스 매입했던 것처럼 해외자금이 우리나라에 많이 유입된다고 하면 저는 가격이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 중심에는 삼성동이 있고요.

 

매입한 시기가 2014년도이고, 근 5년 동안 개발을 못 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많이 정리됐습니다. 지금부터 착공에 들어가면 앞으로는 그 가치가 더 올라갈 거라고 예상이 되고, 지금 한창 시세가 오르고 눈에 보일 때 한 번 더 오르거든요. 눈에 105층짜리 GBC가 보이면 가격이 한 번 더 업그레이드될 것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투자하기 좋은 곳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진은혜 기자 eh.jin@inthenews.co.kr

배너

“K-컬처 헤리티지 공간으로 재탄생”…신세계百, 본점 아카데미 리뉴얼

“K-컬처 헤리티지 공간으로 재탄생”…신세계百, 본점 아카데미 리뉴얼

2025.10.26 06:00:00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신세계백화점이 본점 아카데미를 전면 리뉴얼해 교육과 라이프스타일을 결합한 ‘K-컬처 헤리티지’ 배움터로 새롭게 선보인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오는 27일 본점 인근 메사(MESA) 빌딩 9층에 약 300평 규모의 ‘신세계백화점 아카데미 본점’을 새로 열 예정입니다. 기존보다 50% 넓어진 공간은 한 층 전체를 아카데미 전용으로 꾸며, 역사와 전통이 결합된 신세계 헤리티지를 반영했습니다. 이번 리뉴얼은 학습과 문화, 쇼핑을 아우르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했습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과 직장인, 시니어 고객층을 고려해 K-컬처 강좌를 30% 확대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아카데미는 일반 고객 대상 ‘스튜디오’와 VIP 고객 전용 ‘신세계 살롱’으로 구성됐습니다. 스튜디오는 퍼포먼스, 아트앤뮤직, 쿠킹앤매너스, 아뜰리에, 웰니스 등 9개 공간으로 나뉘며, 쿠킹 실습과 명상·요가·다도 등 체험형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VIP(레드 등급 이상) 고객을 위한 ‘신세계 살롱’은 업계 최초로 마련된 프리미엄 문화공간입니다. 명사 강연과 아티스트 공연이 열리는 ‘살롱 홀’, 자유로운 교류가 가능한 ‘살롱 스위트’, 바(Bar)형 오픈 스튜디오 ‘살롱 테이블’, 1대1 개인 레슨이 가능한 ‘살롱 프라이빗’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겨울학기에는 약 400여 개 강좌가 개설됩니다. 구체적으로 ▲‘로열 헤리티지 티 세레모니’ ▲‘모던 민화: 호작도’ ▲‘K-쿠킹: 궁중식 한우떡갈비’ 등 K-컬처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직장인을 위한 ‘워킹우먼의 런치타임 요가’, ‘캔바 AI 활용법’ 강의와 시니어를 위한 ‘디톡스 디너박스 & 베이직 요가’, ‘시니어 스트레칭 발레’ 등 웰니스 프로그램도 포함됩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본점 아카데미를 통해 신세계 헤리티지와 K-컬처를 결합한 문화 확산의 장을 마련했다”며 “외국인, 직장인, 시니어 등 다양한 고객층의 여가와 배움의 기회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겨울학기 강좌는 지난달 23일부터 접수를 시작했으며, 기존 회원은 오는 29일부터, 신규 회원은 30일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강좌는 신세계백화점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2026년 2월 28일까지 진행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