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dustry/Policy 산업/정책

KT·안랩, 통합 정보 보안 서비스 맞손...글로벌 진출 모색

URL복사

Monday, June 03, 2019, 16:06:40

통합 TI 개발과 새 서비스 출시 업무협약..중소 보안 벤더에 위협 정보 제공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KT와 안랩이 보안 기술로 힘을 합친다. 국내 보안 시장을 넘어 글로벌 진출도 모색할 계획이다.

 

KT와 안랩은 3일 ‘통합 TI(Threat Intelligence·위협 정보) 개발과 신규 보안 서비스 출시’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T는 기가 시큐어 플랫폼에 기반한 국내 최다 네트워크 위협 정보 수집·탐지 기술이 있다. 안랩은 엔드 포인트와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보안 관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국내 최대 종합보안 기업이다. 

 

이번 협약으로 정보 보안 플랫폼을 통합·연계해 보안 기업이 자체 수행하던 위협 정보 수집 범위를 넓힌다. 이를 기반으로 ▲통합 TI 제공 서비스 ▲세이프존(Safe-Zone) 서비스 ▲SaaS(Software as a Service)형 백신 서비스 등을 출시한다.

 

 통합 TI 제공 서비스는 KT가 가진 네트워크와 안랩이 보유한 엔드 포인트 위협 정보를 합해 해커 IP와 악성코드 유포지를 실시간 추적하는 기술이다. KT 관계자는 “최근 AI형 봇넷과 같이 지능적인 사이버 공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이프존(Safe-Zone) 서비스’는 KT 보안 와이파이 공유기 ‘기가 와이파이 시큐어(GiGA WiFi Secure)’를 안전하게 해준다. ‘안랩 V3 모바일 플러스(AhnLab V3 Mobile Plus)’로 유해사이트 접속 차단, 악성 애플리케이션 제거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으로 오는 7월 선보일 예정이다. 

 

‘SaaS(Software as a Service)형 백신 서비스’는 중소기업용 통합 PC 보안 솔루션 ‘안랩 V3 MSS’를 활용한 중소기업용 백신이다. 전문적인 보안 관리와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에서도 쉽고 편리하게 보안 현황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권치중 안랩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국내 최대 네트워크 사업자 KT 기가 시큐어 플랫폼 네트워크 위협 정보와 안랩이 가진 엔드 포인트 위협 정보를 합치게 된다”며 “폭넓은 인텔리전스로 더 강력한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근 KT 통합보안플랫폼사업단장 전무는 “기가 시큐어 플랫폼 기반으로 국내 중소 보안 벤더에 실시간 위협 정보를 제공하는 협력 모델을 제공할 것”이라며 “상생할 수 있는 보안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배너

LS전선·LS일렉트릭·한전, ‘세계 최초 데이터센터용 초전도전력망 구축’ 추진

LS전선·LS일렉트릭·한전, ‘세계 최초 데이터센터용 초전도전력망 구축’ 추진

2025.07.10 17:31:36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S전선과 LS ELECTRIC(일렉트릭)은 10일 한국전력과 함께 ‘데이터센터용 초전도 전력망 구축’을 위한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세계 최초로 데이터센터에 초전도 전력망 적용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차세대 전력 인프라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초전도 전력망은 대형 변전소를 약 1/10 크기 소형스테이션으로 대체하고, 초전도 케이블로 전력을 공급하는 차세대 전력시스템입니다.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건설비용 절감은 물론 주민 수용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협약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한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해 고효율·친환경 전력망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습니다. 한전은 초전도시스템에 대한 기술검증과 관련제도 정비를 담당하고, LS전선은 초전도케이블의 설계와 생산, LS일렉트릭은 초전도 전류제한기 및 전력 기자재 공급을 맡게됩니다. 초전도시스템은 23kV 낮은 전압으로도 154kV급 대용량 전력 송전이 가능해 도심내 신규 변전소 건설없이도 전력공급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또 초전도 전류제한기는 고장전류를 즉시 차단해 설비손상과 데이터 손실을 방지해 운영 안정성을 높입니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전력산업을 대표하는 세 기업이 함께 세계 최초로 데이터센터용 초전도 전력망 구축에 나선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며 “LS전선의 초전도 케이블과 LS일렉트릭의 초전도 전류제한기는 친환경 전력공급 신뢰성이 요구되는 대용량 전력망 시장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세 회사는 초전도 전력망의 표준 모델을 정립하고 기술개발과 실증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산업생태계를 활성화하는 한편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