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기본 분류

정답 ‘맞추다’ 아니죠, ‘맞히다’ 맞습니다

URL복사

Friday, June 27, 2014, 12:06:32

교보생명, SNS 이벤트서 틀린 맞춤법으로 '머쓱'

[인더뉴스 이은정 인턴기자] 월드컵을 활용한 기업들의 마케팅이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보험사들 역시 마찬가지. 생명보험 업계 2,3위를 다투는 회사들이 인터넷을 통해 비슷한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이중 한 곳은 잘못된 표현을 대문짝만하게 표기해 머쓱하게 됐다.

 

지난 26일 교보생명은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 vs 벨기에, 마지막 골의 주인공 맞추기라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벨기에전에서 마지막 골을 넣은 선수를 알아맞히는 응모자 2명에게 치킨을 전달하는 행사다.

 

같은 날 한화생명도 이와 비슷한 이벤트를 진행했다. ‘점수차를 맞혀라_대한민국 VS 벨기에 몇 점차일까?’라는 행사를 통해 정답자 3명에게 외식업체 식사권을 증정하는 것이었다.

 

한 보험사는 정답을 맞추라고 하고, 다른 보험사는 맞혀라고 표현했다. 둘 중 하나는 틀린 표현을 썼다. 어느 쪽일까?

 

답은 교보생명 이벤트 명칭에서 보이는 맞추기이다. ‘맞추기맞히기는 발음상 큰 차이가 없어 헷갈리기 쉬운 표현이지만, 뜻은 다르다.

 

국어사전을 살펴보면, ‘맞추다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혹은 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의 의미를 갖고 있다. 때문에 정장을 맞추다’, ‘발을 맞추다등의 표현으로 쓰일 수 있다.

 

맞히다문제에 대한 답이 틀리지 아니하다의 의미를 담고 있는 맞다의 표현에서 나온 사(使)동사이다. 이에 따라 수수께끼 혹은 문제를 맞히다의 표현으로 사용해야 한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방송자막이나 기사에 문제를 맞추다라는 식의 표현이 매우 자주 등장하고 있다이러한 표현은 틀린 표현으로 맞히다라고 바르게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은정 인턴 기자 lejj3664@inthenews.co.kr

배너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료 교체…해킹 피해 후속 조치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료 교체…해킹 피해 후속 조치

2025.11.04 17:41:42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가 해킹 피해 후속 조치로 가입자 전체를 대상으로 5일부터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합니다. KT[030200]는 4일 이사회를 열고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 교체 실시를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8월 KT 가입자 2만2227명이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불법 접속에 노출되고 362명이 무단 소액결제를 당하는 해킹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또한,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 일부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도 확인됐습니다. 이번 유심 교체는 이에 대한 KT 가입자들의 불만이 커짐에 따라 내려진 후속 조치입니다. 당초 KT는 해킹 피해 고객 2만명에 한해 유심 무료 교체를 진행했지만 "유심 교체를 전 고객으로 확대하라"라는 국회의 지적에 유심 교체 적용 대상을 고객 전체로 확장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시행 초기 신청이 집중될 가능성을 고려해 피해 발생 지역(광명·금천 등)을 우선 대상으로 진행하고 이후 수도권 및 전국으로 단계적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한, KT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고객에게도 동일한 유심 무상 교체가 적용되며 구체적인 일정과 방법은 각 알뜰폰 사업자를 통해 추후 안내됩니다. 이번 해킹 사태에 대한 전체 정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와 개인정보 유출은 KT가 관리하는 핵심 서버망에서 해킹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지속되자 가입자 보호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가입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 여부는 이날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습니다. KT는 "위약금 면제는 민관 합동 조사 결과 등을 고려해 추진 시 이사회 논의, 의결을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