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지자체와 기업이 지역 공기 산업 활성화에 힘을 합친다. 정부는 클러스터를 조성해 산업 생태계 육성을 후방에서 지원한다.
광주광역시·LG전자·광주테크노파크는 광주 북구 광주테크노파크에서 친환경 공기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성윤모 산업통산자원부 장관도 참석해 공기산업 육성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성윤모 장관은 축사에서 “공동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경제에 산업 생태계 회복과 연구개발·인력양성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상생 협력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가전 분야 연구개발과 학교 공기청정기 보급사업으로 힘을 모아온 광주시와 LG전자는 이번 협약으로 ▲공기산업 관련 공동 연구개발 ▲생산·제조 분야 협력적 생태계 조성 ▲일자리 창출 등을 추진하게 됐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은 가정용과 상업용 구분 없이 용량과 에너지 효율 면에서 차별점이 부족한 실정이다. 광주시와 LG전자는 공간 규모와 용도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해 실증연구와 센서·필터 등 기술 개발을 함께한다.
광주에 거점을 둔 중소기업들이 에어가전 제품을 개발해 사업화할 때 필요한 기술들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 생태계 조성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특히 경력단절 여성과 노령 인력을 대상으로 공기청정기 등 생활가전제품을 교육하고 향후 유지 보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산업부는 공기산업 육성 정책방향도 제시했다. 우선 기업 연구소를 유치해 공기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공공조달을 확대해 제품 초기 판로 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지원과 다른 정부부처·지자체와의 협력도 약속했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국내 에어가전 시장은 2016년 1조원 규모에서 이듬해 1.5조원, 지난해에는 2.5조원 규모로 확대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LG전자는 국내 공기 산업이 2020년 3조 7천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용섭 시장은 “LG전자와 협력해 공기산업 관련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 분야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을 접목해 최첨단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기산업 생태계가 선순환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진 광주테크노파크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공기산업이 광주광역시에 뿌리내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대현 사장은 “광주광역시·광주테크노파크와 긴밀하게 협력해 고객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고객 가치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