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KT 와이브로 서비스가 이번 달부터 단계적으로 종료된다. 이에 KT는 기존 고객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발표했다.
KT(회장 황창규)는 이번 달 16일부터 와이브로(WiBro)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7일 밝혔다. 내년 3월 와이브로 주파수 이용기간이 끝나기 때문이다.
KT는 LTE로 전환하지 못한 와이브로 고객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종료할 예정이다. 12월 16일 오전 10시 서울 지역을 시작으로 올해 12월 말까지 와이브로 서비스는 순차적으로 종료한다.

망 종료 시작일부터 모든 와이브로 고객의 기본 데이터 제공량은 무과금 처리한다. 망 종료 후에는 와이브로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해 LTE 서비스로 전환하거나 해지해야 한다.
KT는 와이브로 기존 가입자를 위해 다양한 LTE 전환지원 프로그램과 보호 방안을 마련했다. 와이브로 고객은 기존 사용 중인 요금제와 동일한 수준의 이용자 보호용 LTE egg+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신규 LTE egg+ 단말 구매에 따른 고객부담을 줄이기 위해 24개월 약정 시 보급형 단말을 무료로 제공하고 무약정 단말도 지원한다. 와이브로 이용 고객이 해지를 원하거나 LTE egg+로 전환할 경우 기존 위약금과 단말 잔여 할부금은 모두 면제한다.

와이브로 전환가입 고객 전용 LTE egg+ 요금제·단말 무료교체 프로그램은 서비스 종료 후 2년이 되는 2020년 12월까지 전환가입을 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KT 홈페이지·고객센터·전국 KT플라자·대리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Wibro)는 이동 중 스마트폰 등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 서비스다. 국내 기술로 개발해 SK텔레콤과 KT가 상용화했다.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직접 대용랑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LTE가 상용화되면서 사용자가 급감하는 추세다.
KT는 “와이브로 서비스 종료를 통해 5G로 진화해 나가는 글로벌 통신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고객에게 더 나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