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조성원의 나·혼·다] 황량한 겨울 밤, 혼술의 즐거움

URL복사

Tuesday, February 27, 2018, 11:02:10

한 잔의 위스키로 녹여내는 도시의 겨울

[조성원 칼럼니스트] 3월을 코 앞에 두고 있지만, 도시의 겨울은 황량합니다. 먹고사는 문제로 지금 딛고 있는 곳이 허공인지 땅인지도 모른 채 숨 가쁘게 지내다 보면, 늦은 시간 잠자리에선 막을 수 없는 공허함 속에 숨 쉬는 육신만 느낄 뿐이죠.

 

저와 같은 사람들에게 일상의 위안이 되는 것이 하나 있으니 바로 ‘혼술하기’입니다. 가까운 이들과 전직 대통령으로 시작해 직장 상사를 거쳐 반려자에 이르는 흉보기 코스를 완주하며 나누는 소주 한 잔도 좋죠. 하지만 때론 나 홀로 앉아 목 너머로 흘려 넣는 가슴 뜨거워지는 위스키 한 잔이 고마울 때가 있습니다.

 

나 혼자 한잔을 위해 ‘바(Bar)’를 찾았습니다. 단골까진 아니더라도 종종 가는 곳이 있긴 합니다만, 항상 일행과 함께 했기에 혼자는 좀 어색하더군요. 해서 한 군데 ‘뚫어보자’는 생각에 가본 적 없는 곳을 검색해 봤고, 연남동에 자리한 한 바를 낙점했습니다.

 

홍대입구역에서 내려 꽤 걸어 초록창 지도에 나온 목적지 근처에 다다랐습니다. 헌데 바로 옆집에서 방송 촬영 준비가 한창이더군요. 혹시 요즘 최고 인기인 ‘도깨비’? 김고은, 유인나! 시크하게 걸으며 곁눈질로 쳐다보니 ‘도깨비’와 같은 방송국의 ‘인생술집’이라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잠시 경박해진 마음을 추스른 후 목적지의 입구를 찾았습니다. 간판이랄 게 없이 흑판에 가게 이름을 써 놓은 게 다더군요. 조금만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못 보고 지나칠 수 있겠습니다. 지하로 향하는 계단을 내려가니 전체적으로 그렇게 어둡지 않은 분위기에 검은 느낌의 공간이 나옵니다.

 

테이블은 없고 오직 바 좌석만 있는 것이 독특합니다. 많이 다녀본 것은 아니지만 가 본 바 중 이런 곳은 처음입니다. 진열장엔 익숙하지 않은 위스키들이 빼곡히 차 있습니다. 싱글몰트 라인업이 좋은 곳이란 사전 정보가 맞는 듯하군요. 지난주 고기집도 그렇더니만 이번에도 제가 첫 손님입니다. 부디 제 뒤로 손님이 많이 들어와 ‘첫 손님이 별로라 오늘은 공 쳤다’는 얘기가 안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메뉴판이 없습니다. 바텐더에게 물으니 정확히 원하는 메뉴가 있다면 그걸로 준비해주고, 아니면 취향에 맞게 추천해주는 식으로 주문을 받는다는군요. 단골집이 아니니 늘 마시던 걸 주문할 수는 없고(풉!), 먼저 마셔보지 않은 싱글몰트 위스키로 추천을 부탁했습니다.

 

“피트향이 강한 ‘아드벡’ 10년으로 드려 볼까요?”

“아우, 좋죠. 근데 피트향이 먼가염?”

 

‘피트(Peat)’는 식물퇴적층을 말합니다. 화본과식물이나 수목질의 유체가 생물화학적인 변화로 인해 석탄화 되지 못하고 땅 속에 축적된 것이죠. 보통 위스키에서 ‘스모키’ 하다거나 ‘그을린’ 것 같은 향이 강하게 나면 이 피트의 영향이 큰 것입니다.

 

왜 위스키에서 이런 향이 나느냐. 일단 위스키를 만들려면 보리에 싹을 틔워 맥아로 만들고, 맥아가 더 이상 자라지 않게 하기 위해 열을 가해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보통 석탄을 떼워 쓰는데, 이 때 석탄 대신 피트를 쓰면 피트의 향이 맥아에 베어들어 몰트위스키의 독특한 향으로 발현되는 것이죠.

 

친절한 설명 뒤에 잔을 받아 드니 과연 강렬한 ‘탄내’가 코끝을 강타하는 것이 가히 비염 환자도 낫게 할 것 같습니다. 이 향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들 갈린다는데, 전 완전 ‘호(好)’였습니다. 입 안에 머금고 넘길 때까진 또 강렬함 못지않은 부드러움으로 감싸주는 것이, 앞으로 또 찾을 듯 합니다.

 

입맛을 다시며 두 번째로 마실 것을 고르려니 진열장 한 곳을 브랜디가 점령하고 있더군요. 예전 레스토랑 겸 바에서 잠시 아르바이트할 때 마셔본 기억이 나 반가운 마음에 추천을 부탁했습니다.

 

“아르마냑은 어떠세요?”

“이름만 들어도 좋네요. 근데 아르마냑은 또 먼데염?”

 

보통 브랜디라 하면 과일을 증류해서 만든 술을 말합니다. 거의 대부분이 포도를 원료로 하죠. 아마 브랜디 하면 ‘꼬냑’이란 이름이 많이들 떠오르실 텐데(저 또한 그랬습니다), 이는 프랑스 꼬냑 지방에서 만든 브랜디를 통칭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네, 아르마냑은 아르마냑 지방에서 만든 브랜디인거죠.

 

아르마냑을 준다더니 먼저 컵에 뜨거운 물을 붓습니다. 그리곤 ‘샤보 나폴레옹’을 꺼내 잔에 따릅니다. ‘섞어 마시는 건가?’ 속으로 생각하던 차에 뜨거운 물이 든 잔 위에 아르마냑 잔을 비스듬히 앉힙니다. 적당히 데워 마시는 게 좋다는 군요. 이렇게 또 하나 배웁니다.

 

어느 정도 됐다 싶을 때 잔을 들어 맛을 봅니다. 은근한 과일 향을 느끼려면 확실히 약간 온도를 높인 상태가 좋은 것 같더군요. 술이란 참 신기하죠. (거칠게 말해)맥주를 증류한 위스키와 와인을 증류한 브랜디가 묘하게 맛과 향이 비슷하니까요. 그 와중에 확실히 구분되는 그들만의 특징도 있고요.

 

위스키 브랜디(블루진 하이힐 콜라 피자... 가 떠오른다면 당신은 마왕의 팬)의 즐거움을 맛보며 입성한 지 1시간을 훌쩍 넘기는 동안 손님은 여전히 저 뿐이라, 친절한 바텐더분을 독점할 수 있었습니다. 술과 관련된 흥미로운 얘기를 듣던 중 깜짝 놀랄 만한 걸 보여주더군요.

 

알코올 도수 96% 보드카 ‘스피리터스’. 이 정도면 술이 아니라 그냥 정제 알코올이라 봐야할 것 같은데, 태어나 본 가장 극악무도한 술이었습니다. 테이스팅을 청할 엄두도 나지 않더군요.

 

보드카니만큼 칵테일용으로 간간히 쓴다곤 하는데, 문득 종종 불면증에 시달리곤 하는 제게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긴 했습니다. 스트레이트로 한잔 하면 마시자마자 세상모르고 뻗어버리지 않을까요. 안 깨어나면 큰일입니다만.

 

그 뒤로도 이런저런 얘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당장 마시고 있는 술부터 21세기 초의 모던 바 붐에서 현재의 다채로워진 바 문화, 제임스 본드가 즐기는 ‘섞지 않고 흔든’ 마티니의 영화와 원작소설 간의 차이점 등등, 참 많은 걸 알고 있더군요.

 

그의 박학다식함에 감탄하면서, 새삼 생업이 됐건 취미가 됐건 뭐든지 하나라도 ‘제대로’ 하려면 정말 많은 것들을 공부하고 익혀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게으름과 만나며 안일함을 벗 삼고 사는 제 자신이 부끄러워지더군요.

 

에디뜨 삐아프와 쳇 베이커를 BGM 삼아 여전히 저 혼자인 와중에 친구가 찾아와 같이 자리했습니다. 제 이름을 걸고 혼자 한 체험기를 독자여러분에게 보여드려야 하기에,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끝까지 혼자 있었던 것 마냥 시침 떼기엔 제 한 떨기 순결한 양심이 허락지 않아서 말이죠.

 

이젠 만으로 해도 삼십대의 딱 중간에서, 일과 생활에 대한 이런저런 고민을 가진 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아직도 철이 덜 들긴 했지만 어쨌건 혹독한 겨울을 나는 도시인인 제 자신에게 앞으로도 종종 따뜻한 한잔으로 위로를 건네고 싶군요.

 

집으로 돌아와 피트향과 과일향을 떠올리며 잠을 청했습니다. 항상 뒤척이던 다른 밤들과 달리 모처럼 편안히 잠이 들었습니다. 꿈에선 ‘트와이스’ 멤버들과 함께 놀이공원에서 신나는 데이트를... 철들려면 멀었나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조성원 칼럼니스트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LG유플러스, 디지털고객경험지수 2년 연속 1위…디지털 전략·서비스 혁신 높은 평가

LG유플러스, 디지털고객경험지수 2년 연속 1위…디지털 전략·서비스 혁신 높은 평가

2025.09.01 10:43:24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유플러스[032640]가 한국표준협회(KSA) 주관 '2025년 디지털고객경험지수(DCXI)'에서 이동통신 부문 1위를 차지했다고 1일 밝혔습니다. 고객 중심 디지털 전략과 서비스 혁신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024년 통신부문 첫 평가 이후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습니다. 디지털고객경험지수는 고객이 디지털 채널에서 제품 및 서비스를 경험했을 때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한국표준협회는 이동통신, 종합가전, 은행 등 17개 산업분야 59개 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자사의 고객의 디지털 경험이 이전과 비교해 간결해졌다고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어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고객은 로밍 요금제 비교부터 신청, 혜택 확인까지 한 화면으로 마칠 수 있어 공항 가는 길에서도 모든 절차를 간편하게 끝낼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지인과 함께 결합 할인을 받을 때는 복잡한 서류나 매장 방문 없이 온라인에서 멤버 추가와 할인 배분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는 고객 취향과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미리 추천해 필요한 혜택을 찾는 시간을 줄였습니다. 디지털에 익숙한 고객은 요금 납부나 이용 현황 조회 같은 간단한 기능은 물론, 요금제 변경 같은 작업도 스스로 해결하도록 셀프 해결 범위를 넓혔습니다. 고객 입장에서 중요한 안내는 필요한 순간에 미리 전달해 놓치지 않도록 했습니다. 매장에서 가입한 고객도 앱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받았던 상담을 디지털까지 끊김 없이 이어갈 수 있습니다. 고객의 상담센터 이용 경험도 AI로 개선했습니다. 간단한 문의는 24시간 처리할 수 있도록 챗봇, 콜봇 사용성을 강화했으며 상담사 통화를 위한 ARS 안내 또한 AI가 판단해 지금 고객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부터 먼저 안내합니다. 상담사와 대화할 때도 AI 상담 어드바이저가 상담사에게 지난 상담 이력은 물론 단순 질문에 대해 미리 답변을 준비해 줍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편안하고 즐거운 디지털 고객 경험을 추구하는 한편 고객 편의 향상 목적의 UX/UI 개선도 지속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재원 LG유플러스 컨슈머부문장(부사장)은 "AI를 활용한 더 편리한 서비스, 직관적인 화면 구성을 통해 이용 과정을 더욱 심플하고 몰입감 있게 바꿀 계획"이라며 "곧 선보일 새로운 통합 서비스에서 AI와 맞춤형 경험을 결합해 고객이 원하는 순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디지털 환경을 구현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