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SK에코플랜트는 하폐수 처리기술 전문 기업인 미시간기술과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스마트 전기화학적 산화 시스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은 기존의 폐수 처리 과정에서 미생물을 활용하는 방식으로는 처리가 어렵고, 물리화학적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등의 한계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이뤄졌습니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붕소 코팅 다이아몬드(BDD) 전극을 활용한 전기화학적 산화(ECO) 방식의 고농도 폐수 처리 신기술 개발 및 현장 실증을 위해 협력하기로 약속했습니다.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전기화학적 산화 방식의 처리 기술은 전극에 전류를 흘렸을 때 폐수와 전극사이에서 전자가 교환되는 원리를 바탕으로 개발됩니다.
해당 방식은 깨끗한 물만 남기는 고도처리 솔루션으로 다른 수처리 방식과 달리 정화가 2번에 걸쳐 이뤄집니다. 음전극에서 생성되는 '수산화라디칼'과 염소와 물과 만나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을 통해 오염물질 분해 및 폐수 내 유기물 정화가 진행되게 됩니다.
특히, 이번 연구에 사용되는 BDD 전극은 다른 전극에 비해 정화 효율과 내구성이 매우 높아 3세대 전극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BDD를 활용한 수처리 기술은 뛰어난 오염물질 제거효율과 높은 경제성을 갖췄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양 사는 국내 최초로 실제 현장에 실증 규모로 BDD 전극을 활용한 전기화학적 설비를 구축할 방침입니다. 또, 1년여 간 장기 연속운전 실증을 통해 전극의 내구성, 효율성 등을 판단하는 테스트에도 지속 나설 예정입니다.
SK에코플랜트는 공동 기술개발을 총괄하며 테스트 결과를 종합해 최적운영조건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게 되며 인공지능 및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무인화 공정 개발에도 나서게 됩니다. 향후에는 기존 하·폐수처리시설을 포함해 고농도 폐수가 발생하는 사업장에 신기술 적용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산업 고도화와 화학 관련 공업의 발전으로 지속 증가추세에 있는 고농도 폐수처리 시장을 선도하고, 향후 환경규제정책 강화에 대비해 선제적 대응 역량을 갖춘다는 목표입니다.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는 "SK에코플랜트의 기술혁신은 환경사업이 당면한 취약점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향점까지 찾아가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혁신 기술들을 지속 발굴해 환경사업을 고도화하는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