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dustry/Policy 산업/정책

3박자 맞은 한국, 13일 역대 수출액 6049억 달러 경신

URL복사

Monday, December 13, 2021, 15:12:01

1956년 수출액 집계 이후 2018년 최고치 기록 넘어서
주력수출산업 부활·신수출품목 약진·고부가가치화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다."

 

한국의 연간 수출액이 13일 기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6분 기준으로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최대실적인 2018년의 6049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1964년 첫 수출 1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1977년 100억 달러, 1995년 1000억 달러, 2018년 6000억 달러를 각각 넘어섰습니다. 무역통계를 작성한 1956년 이래 66년의 한국 수출 기록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산업부는 올해 총 연간 수출액은 64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산업부는 올해 역대 최대의 수출실적의 원동력으로▲ 주력 수출산업의 주도적 역할 ▲신(新) 수출 품목의 약진 ▲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화 등을 꼽았습니다.

 

우선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이 국내 생산 차질 최소화를 바탕으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켜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도체는 올해 1∼9월 기준으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1위(58.9%)를 유지했고, 자동차는 국제무역센터(ITC) 통계상 국가별 누적 수출액 기준으로 327억 달러를 기록해 5대 수출국 자리를 수성했습니다.

 

조선은 올해 1∼11월 기준으로 전 세계 액화천연가스(LNG)선과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주량이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전기차 배터리는 우리 기업들이 모두 전년 동기대비 2배 이상 성장하면서 중국에 이어 국가별 세계시장 점유율 2위를 지켰습니다.

 

한국의 전통 수출 주력산업 외에 바이오·농수산·화장품 등 신수출 유망 품목들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친환경차·바이오헬스·이차전지·OLED·농수산식품·화장품 등은 모두 2018년을 넘어 최대 수출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바이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의 수출이 2018년 대비 123억 달러 늘어 전체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해 수출 최대실적 달성에 작지 않은 역할을 했습니다.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가 이뤄진 점도 사상 최고 수출액 경신에 밑거름이 됐습니다. 올해 수출단가는 2018년 대비 12.6%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박·전기차·OLED 등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이 커진 덕분입니다.

 

수출 단가 상승과 맞물려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주요국의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 물량 역시 증가세로 전환해 수출액 증가에 도움이 됐습니다.

 

정부는 내년에도 글로벌 교역 및 수요 증가와 실물경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수출 증가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코로나19 변이 확산, 공급망 불안정성, 중국 성장둔화 가능성 등은 위험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라며 "내년 수출도 증가세를 이어가도록 수출입 현장의 어려움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South Korea, hit by three beats, breaks record of export value of $6049 billion on the 13th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용운 기자 lucky@inthenews.co.kr

배너

수도권 주담대 최대 6억·다주택자는 금지…28일부터 즉각시행

수도권 주담대 최대 6억·다주택자는 금지…28일부터 즉각시행

2025.06.27 15:18:5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정부가 서울 집값 급등세에 고강도 대출규제 카드를 빼들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27일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수도권 중심의 가계부채 관리강화방안을 확정·발표했습니다. 집값상승을 이끌고 있는 수도권과 투기 및 투기과열지역,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강남, 서초, 송파, 용산을 정조준했습니다. 주담대 한도 6억원·실거주 의무 금융당국은 수도권·규제지역내 주택구입목적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합니다. 소득·집값 상관없이 주담대 총액을 제한하는 강력한 조처입니다. 금융위는 "고가주택 구입에 과도한 대출 활용을 제한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정책대출은 기존처럼 자체한도를 적용하고 중도금대출은 한도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중도금대출이 잔금대출로 전환하면 6억원 한도가 적용됩니다. 실거주 의무도 강화됩니다. 수도권·규제지역에서 주택구입시 주담대를 받은 경우 6개월 이내 전입의무가 부과됩니다. 정책대출(보금자리론)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주택자 주담대 금지 수도권·규제지역내 2주택 이상 보유자가 추가로 주택을 구입할 때엔 주택담보대출비율(LTV) 0%가 적용됩니다.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구입목적 주담대를 원천봉쇄하는 것입니다. 1주택자가 기존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추가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합니다. 다만 1주택자가 기존 주택을 6개월 이내 처분한다면 무주택자와 같은 비규제지역 LTV 70%, 규제지역 LTV 50%를 적용합니다.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조건이 2년내 처분에서 6개월내 처분으로 엄격해졌습니다. 처분약정을 지키지 않으면 대출금은 즉시회수(기한이익상실)되고 향후 3년간 주택 관련 대출을 제한합니다. 주담대 만기 30년 수도권·규제지역내 주담대 만기는 30년 이내로 일괄제한합니다. 은행별로 30~40년 이내에서 자율관리하던 만기제한을 묶었습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우회 방지조처입니다. 보유주택을 담보로 생활비 등 조달목적으로 대출받는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한도는 최대 1억원으로 제한됩니다.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차주에 대해선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취급을 금지합니다. 갭투자 방지 전세대출 조인다 전세대출도 깐깐해집니다. 수도권·규제지역내 전세대출 보증비율을 현행 90%에서 80%로 내립니다. 금융회사의 전세대출 여신심사 강화를 유도하는 것입니다. 주택매수자 또는 수분양자가 전세보증금으로 매매대금이나 분양잔금을 납입할 때 활용되는 전세대출 이른바 소유권이전조건부전세대출은 금지됩니다. 실거주가 아닌 갭투자 목적 주택구입에 금융권 대출자금이 활용되지 않도록 막는 것입니다. 신용대출을 활용한 주택구입을 방지하기 위해 신용대출 한도는 차주별 연소득 이내로 제한합니다. "과도한 빚내 집 사지 말아야" 정책대출 중 비중이 큰 주택기금 디딤돌(구입)·버팀목(전세) 대출은 한도를 대상별로 최대 1억원 축소 조정합니다. 금융당국은 대출수요 쏠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규제조처를 오는 28일부터 즉시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전세대출 보증비율 감축은 7월21일 시행입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그간 상환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빚을 레버리지 삼아 주택을 구입하는 행태 등으로 주택시장 과열과 침체가지속적으로 반복돼 왔다"며 "이제는 그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필요시 규제지역 LTV 추가 강화, 전세대출·정책대출 등 DSR 적용대상 확대,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 거시건전성 규제정비 등 준비돼 있는 추가적인 조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