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정은정의 음식추억] 눅진 핫도그에 녹아있던 어린 오빠의 마음

URL복사

Saturday, October 30, 2021, 23:10:15

 

정은정 농촌사회학자ㅣ90년대 중반 대학에 가서 남자 선배들에게 별 거리낌 없이 ‘오빠’라고 부르니 다른 여자 선배들이 화들짝 놀라곤 했다. 남자 선배들에게 ‘형’이라고까지 부르던 때는 아니었으나 ‘선배’정도라는 호칭이 좀 더 익숙하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한국사회에서 ‘오빠’라는 호칭이 단순히 손윗 남자 형제를 호명하는 의미를 넘어선 복잡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어찌 됐든 나는 오빠라는 호칭이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오빠들 속에서 둘러싸여 자랐다. 친오빠는 한 명이지만 우리 집에서 함께 살던 이종사촌 오빠들이 둘이나 있었고 어린 막냇삼촌도 함께 자랐다.

 

수다도 많고 성격도 활달한 누이들과 달리 말수도 없고 점잖은 편인 친오빠는 딸 많은 집 외아들이라는 부담을 어깨에 얹고 사는 사람이었다. 아들 노릇 하라는 말을 입밖으로 낸 사람은 없어도 시대의 마지막 장남 노릇을 하며 살고 있고 여동생인 나는 어쩌다 그 수혜자가 되었다. 독거노인이 되어버린 아버지를 오빠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나는 가끔 밑반찬이나 해서 들러보는 정도다. 장남에게 지워지는 권리와 의무, 그 중 의무만 많이 짊어진 오빠를 보고 살면서 한국의 가부장제도를 소리높여 비판도 하지 못한다. 그 안온한 가부장제를 전적으로 누리고 사는 사람이 나여서다.

 

다섯 살 위의 오빠는 어릴 때부터 어린 누이들의 먹을거리를 잘 챙겨주곤 했다. 일이 바쁜 엄마가 끼니를 챙길 시간이 없으면 오빠나 언니들이 번갈아 가며 밥을 챙기곤 했는데, 방학 때는 특히 오빠가 그 몫을 감당했다. 오빠는 라면도 다양하게 끓여주었다. 짜장라면에는 꼭 계란을 삶아 얹어주기도 하고 떡라면이나 어묵 라면, 그리고 어린 여동생인 나는 매운 것을 잘 못 먹으니 라면 스프 양을 조절해서 따로 끓여주기도 하고 가끔은 물에 헹궈서 주기도 했다. 너무 뜨거운 밥을 라면 국물에 말아 먹으면 너무 퍼진다며 전기밥솥에서 미리 떠서 식혀둘 정도로 자상하고 꼼꼼한 사람이었다.

 

요즘 한창 인기가 높은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나오는 ‘뽑기’를 우리 동네는 ‘똥과자’라고 불렀다. 이것도 오빠가 해주었다. 우산 활대를 뽑아 시멘트 바닥에 갈아 하트 모양도 만들고 별 모양도 만들어서 ‘콕’하고 뽑기에 찍어주었다.

 

“엄마, 백 원만” 하며 아무리 매달려도 좀처럼 엄마의 호주머니는 열리는 법이 없으니 오빠가 집에서 뽑기 집을 차려준 것이다. 특히 나는 소다를 넣지 않고 설탕만 녹인 똥과자를 좋아했다. 학교 앞 문구점에서 떨리는 마음으로 설탕 뽑기를 종종 했지만 잉어는커녕 피라미도 한 번 뽑아보지 못해서 늘 아쉬웠기 때문이다. 오빠는 능숙하게 설탕을 녹여 솥뚜껑에 녹은 설탕반죽을 ‘탁!’하고 쏟은 뒤 ‘스뎅 대접’ 바닥으로 꾹 눌러 모양을 잡아주었다. 그렇게 오빠가 해주는 설탕 뽑기를 우물우물 빨면서 어린 날의 시간도 함께 녹였다.

 

어느 날 긴 겨울방학에 여동생들이 주리를 틀고 있자 오빠는 집에서 캠핑을 열어주었다. 일명 ‘배달의 기수’ 놀이였다. 얇은 홑이불을 꺼내 빨랫줄에 이어서 텐트를 만들고 우리에게 비상식량을 마련해야 한다며 전기밥통과 주걱을 들고 대장인 오빠 뒤를 따르라 했다. 학교 체육복을 입고, 운동회때나 쓰는 청군백군 모자를 쓰고 “헛둘헛둘” 하면서 그 좁은 집을 뱅뱅 돌다가, 이제 밥을 먹을 식사 시간이라며 김밥을 싸주었다.

 

지금이야 흔하디흔한 김밥이지만 당시엔 김밥도 귀물이어서 소풍날이나 운동회 아니면 먹기 힘든 음식이었다. 그런 김밥을 언니도 아니고 오빠가 말아주었다. 돼지고기가 아니라 어육이 주원료인 일명 ‘나이롱 소세지’인 분홍 소시지와 단무지, 채소 몇 가지를 넣고 정말 김밥을 말던 오빠의 능숙함이 지금도 잊히지가 않는다. 안타깝게도 그날의 김밥은 싸구려 김이어선지 보관을 잘못해서인지 김 비린내가 나기는 했지만 지금도 김밥만 보면 그날 우리들의 대장님 오빠가 생각난다. 고작 열세 살 소년이 소시지와 단무지를 사들고 부지런히 집으로 뛰어오는 풍경이 손에 잡힐 듯하다.

 

오빠가 중학교에 가자 이런 잔재미는 사라지고 서울 생활에 어느 정도 적응이 끝난 여동생들도 친구들과 노느라 바빠졌다. 그러던 어느 날 토요일이었다. 집에서 십리 정도 떨어진 중학교에 다니던 오빠가 어느 날 다 식어빠진 핫도그 세 개를 사들고 왔다. 그때의 길거리 핫도그는 분홍 소시지에 얇게 밀가루 반죽에 묻혀 애벌로 튀겨낸 뒤, 다시 두껍게 습식 밀가루 반죽에 굴려 빵가루를 묻힌 뒤 2차로 튀겨내 마치 붐마이크만한 것이 정석이다. 하지만 그날 오빠가 사온 핫도그는 애벌 튀김까지만 한 상태로 어설프게 빵가루가 묻어있는 핫도그였다.

 

오빠가 사들고 온 핫도그는 세 개에 90원 짜리 회수권 한 장, 개 당 30원짜리의 핫도그였다. 밥 세끼 외에는 이렇다 할 간식을 사주지 않았던 엄마 대신에 오빠가 집에 있는 누이들을 생각하면서 사온 싸구려 핫도그 세 개. 회수권으로 핫도그 값을 치르고 십리를 걸어오느라 핫도그는 다 식어버렸고 설탕과 케첩이 볼품없이 엉겨 붙어 있었다.

 

지금도 길을 가다 핫도그를 파는 노점을 보면 그날의 회수권 핫도그가 떠올라 지금도 빗장뼈에 손이 저절로 올라간다. 그때의 오빠 나이의 중학생 아들을 키워보니 유난히 철이 든 소년이 기특하기보단 안쓰럽다. 물려줄 것도 없는 집안에서 어깨만 무거운 장남의 숙명을 기꺼이 받아들인 그 소년에게 너무 그러지 말고 살라 말해주고 싶지만, 정작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고 사니 말은 입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이제 쉰 줄에 접어든 오빠도 마흔 후반인 나도 치아 건강과 콜레스테롤을 걱정하는 나이여서 핫도그도 먹지 않고, 설탕뽑기는 면구스러워 더더욱 하지 못한다. 그런데 왜 요즘 ‘철모르는 오누인 듯’(김사인의 시 화양연화에서 차용) 오빠에게 핫도그 한 개만 사 달라 하고 싶은 것일까. 아마도 속은 덜 여문 주제에 어른인척하며 살기가 유독 힘든 날들이어선가 보다.

 

■ 정은정 필자

 

농촌사회학 연구자. <대한민국치킨展>, <아스팔트 위에 씨앗을뿌리다 – 백남기 농민 투쟁 기록>,<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등을 썼다. 농업과 먹거리, 자영업 문제를 주제로 일간지에 칼럼을 연재 중이며 국방일보에서 20대 청년에게 음식과 사람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KBS1라디오와 CBS라디오,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에 나가 농촌이야기를 전하는 일도 겸하고 있다. 그림책 <그렇게 치킨이 된다>와 공저로 <질적연구자 좌충우돌기>, <팬데믹시대, 한국의 길>이 있고 <한국농업기술사전>에 ‘양돈’과 ‘양계’편의 편자로 참여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tnno1@inthenews.co.kr


‘평균자산 11.6억’ 소득상위 20의 살림살이 전망은?

‘평균자산 11.6억’ 소득상위 20%의 살림살이 전망은?

2024.04.18 15:08:21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소득이 높을수록 올해 집안살림이 나아질 것이라고 낙관하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해 10~11월 전국 만 20~64세 근로자·자영업자 등 경제활동자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2024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에서 흥미로운 건 '2024년 가계생활 형편예상' 입니다. 조사시점(2023년) 기준 대체적으로 내년 가계경제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소득상위 20%인 5구간에서 특히 미래에 대한 낙관이 도드라졌습니다. 이 보고서상 5구간의 월평균 가구총소득은 1085만원으로 2022년(1040만원) 대비 4.3% 소득이 늘었습니다. 향후 1년내 가계전망에 대해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5구간이 26.6%로 가장 높고 4구간 23.4%, 3구간 21.2% 순입니다. 월평균 가구총소득 195만원인 1구간(하위 20%)은 21.9% 입니다. 고소득층의 낙관적인 전망은 소득 증가보다 자신이 보유한 자산의 가치가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생활형편이 좋아질 것으로 보는 이유 중 '가계 총소득 증가'는 5구간(48.2%)만 50%를 밑돌고 '보유자산 가치상승'에서도 5구간(20.2%)이 유일하게 20%를 넘었습니다. 5구간의 평균 보유자산은 11억6699만원으로 부동산 자산 9억3395만원, 금융자산 1억611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생활형편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로는 전구간에서 고르게 경기불황과 물가상승을 꼽았습니다. 1구간 45.9%, 2구간 44.7%에 이어 5구간이 43.7%로 많았습니다.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저소득층뿐 아니라 고소득층 역시 어려운 경제상황을 체감하고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본다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신한은행은 이번 보고서에서 '보통사람 핵심이슈' 중 하나로 2030세대의 부동산을 따로 다뤘습니다. 핵심은 대출이나 부모 지원으로 내집 마련에 성공한 2030대가 빚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입니다. 자가 구입한 2030대 절반가량(48.4%)은 집값의 70% 이상을 대출받거나 부모 지원으로 충당했다고 답했습니다. 집값 90% 이상이 대출 또는 지원이라는 비율도 18.2%에 달합니다. 이렇게 내집 마련한 2030대는 월평균 579만원을 벌어 127만원(22%)을 매달 부채상환에 쓰고 있었습니다. 전체 2030대 월평균 총소득은 424만원으로 월 부채상환액이 42만원(10%)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2.2배 높은 수준입니다. 현재 대출을 상환 중인 10명 중 6~7명(67.5%)은 대출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느꼈습니다. 올해 집값에 대해 2030대의 50.5%는 '고점', 24.6%는 '저점'이라고 인식했습니다. 40대에서 60대까지 세대의 고점(37.5%) 및 저점(38.3%) 인식비율이 비슷한 것과 대비됩니다. 부동산 구입의향 있는 2030대 중 2년내 주택을 구입하겠다는 비율은 23.5%에 머물렀습니다. 나머지는 2~3년내 19.9%, 3~5년내 24.5%, 5년 이후 32.1%로 조사됐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