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정릉 한켠에 ‘진짜 집밥’이 있었다

URL복사

Wednesday, November 26, 2014, 18:11:45

[아내와 외식하기] ⑯정릉동 대중식당


[인더뉴스 라이프&스타일팀] 길을 걸어가면서 눈에 한 번도 담아본 적이 없는 식당이다. 간판도 10년은 된 듯 하고, 인테리어도 볼 것이 없다. 지방 소도시에 가면 있을 법한 인테리어다.

 

그런데 사람들이 꾸준히 들어오는 게 신기하다. 한 번에 10~20명씩은 꼭 안에 앉아 있다. 골목길에 있는 식당에 이렇게(?) 사람이 많다니. 많다는 기준은 대로변에 있는 식당들이 5명 내외의 손님만 받고 있을 오후 시간이라서 그렇게 느껴질 것이다.

 

의문이 풀린 건 얼마 전 처남이 그 식당을 가봤다면서 아내에게 이야기를 해줬기 때문이다.

 

처남: 누나, 거기 허름한 식당 있잖아. 엄청 고기를 많이 준다.

누나: 맛은 있어?

처남: . 가정식 백반 하면 고기랑 주고, 삼겹살도 꽤 맛있어.

 

아내의 말을 믿고 한 번 가보기로 했다. 아내가 무언가에 관심을 갖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제 곧 출산이 다가오는 아내가 무엇에 관심을 가지랴. 매일 아이의 발길질(태동)에 힘들어하고, “옆구리가 찢어질 것 같다면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아내다. 얼른 손을 잡고 지금 출발이라면서 식당으로 갔다.

 

주인 아줌마는 오자마자 두 명 줄까요라고 말한다. 나중에 보니 정식이라는 메뉴였다. 경양식집이나 한정식집도 아니고 정식이라니. 가격은 5000원이었다. 5000원짜리 밥치고는 엄청 푸짐하다. 제육볶음에 반찬 5가지, 그리고 국이 있다. 국은 아욱국, 된장국 등 대중없다. ‘대중 없어서대중식당인가 싶은 생각도 들었다.

 

옆에 앉은 할아버지도 정식을 1인분 시켰다. 혼자 왔다. 그런데 메뉴가 나와 다르다. 점심도 먹고 가서 밥을 달리 주는 모양이다. 실제로 반찬이 떨어지면 주인 아줌마는 다른 반찬을 먹으라며 권한다. 슬쩍 다른 테이블 손님과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줌마는 자부심이 있었다.

 

내가 여기서 장사만 20년이야. 다른 건 몰라도 집밥처럼 편안히 먹을 수 있는 것을 만들고 있지요.”

 

옛날에는 가정식 백반이라는 메뉴를 왜 먹나 싶었는데, 그게 이해가 가는 30대 중반에 접어드니 이 말이 정답이다 싶었다. 맛있다는 한정식도, 유명하다는 파스타도, 이 무렵이면 질리기 시작한다. 그냥 밥에 정갈한 반찬이면 다른 소원이 없다.

 

아내는 만족한 모양이다. 열심히 밥을 먹는다. 아내는 임신 7개월에 들어서면서부터 더 잘 먹는다. 엄마나 장모님 등 어른들도 만족해 한다. 한 평생 빼빼 말랐던 딸이 좀 살이 붙으니 귀여우신 모양이다. 그렇게 2인분 정식을 먹어치웠다.

 

아내에게 제안을 했다. 옆 테이블에 삼겹살 먹는데, 우리도 먹자. 아내는 잠깐 고민을 하더니 그러자고 했다. 그런데 주인 아줌마는 더 당황스러운 말을 건넨다.

 

좀 기다려야 해요. 옆에 약국 배달 좀 다녀오느라.”

 

아니, 밥집에서 삼겹살을 시키면 얼른 줘야 하는 것 아닌가싶었지만, 단골 약국과의 신의가 먼저였다. 아줌마 혼자서 가게를 운영하기 때문에, 서빙은 좀 느리다. 하지만 정말 집에서 가족들 주듯 대하는 점, 꽤 맛있는 집밥 스타일인 점 등이 어필하는 것 같았다.

 

기다렸다가 삼겹살을 먹었다. 얼마 안 먹을 것처럼 심드렁했던 아내는 고기가 구워지자 열심히 먹었다. 삼겹살 2인분, 정식 등을 합해 3만원을 지불했다.

 

일요일은 쉰다. 독실한 크리스찬이라 그런 모양이다.

 

- 주소: 서울 성북구 정릉동 175-14

- 전화: 02-943-4840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라이프&스타일팀 기자 hopem1@naver.com

배너

KT “정부 소버린 AI정책, KT와 맞닿아…한국형 AI 개발 계속할 것”

KT “정부 소버린 AI정책, KT와 맞닿아…한국형 AI 개발 계속할 것”

2025.07.03 16:15:01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가 자체 개발한 한국형 AI 거대언어모델(LLM) '믿:음 2.0'을 공개하고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참여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KT[030200]는 2023년 개발한 '믿:음1.0'에 이은 새로운 AI 모델 '믿:음 2.0'을 3일 선보이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신동훈 KT Gen AI 랩장은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은 KT의 AI 철학과 방향이 맞닿아 있다"라며 "KT는 한국적 데이터 얼라이언스와 그동안 1년여간의 노력을 거쳐 구축한 데이터들이 있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데 큰 강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은 "KT가 추구하는 소버린 AI는 데이터 주권 확보, 한국 언어 및 문화에 대한 지식, 다양한 AI 모델 선택권, 책임감 있는 AI 등 네 가지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동훈 랩장은 "믿음 모델은 데이터 구축부터 모델 학습 전 과정이 KT 자체 기술을 통해 이뤄졌기 때문에 소버린 AI 모델로 볼 수 있다"라며 "한국적 가치와 문화를 담아낸 믿음 모델은 독자적 AI를 구축하는 데 큰 강점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에 대해 신동훈 랩장은 "과제에 선정이 되고 안 되고를 떠나 KT는 한국형 AI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정부에 바라는 점이라면 공공 데이터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규제에 막혀 일부 국가 공공문서 학습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국가가 통제 가능한 데이터를 어느 정도 기업이 AI 학습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KT는 이날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하는 AI 사업과 자체 개발하는 AI의 관계설정에 대해서는 상호 보완 관계라고 설명했습니다. 신동훈 랩장은 "믿음 개발을 멈춘 적은 없으며 한 번도 자체 AI 기술 개발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라며 "KT의 자체 개발 AI가 완전한 기술로 거듭나기 전까지 MS와의 협업을 통해 부족한 기술을 보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S와의 협업을 진행하면서도 AI 자체 개발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택했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MS와의 협업 모델과 믿:음 2.0의 역할이 다를 것이라고도 설명했습니다. 고성능·복잡 업무에는 MS와의 협업 모델을, 단순 및 문서 업무에서는 믿음 모델을 활용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앞서 KT는 MS와의 협업 모델을 올해 2분기 상용화를 목표로 공동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협업 모델의 출시 지연에 대해 KT는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라며 "시기가 밀리는 이유는 내부적으로 성능을 높이기 위한 테스트 과정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