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한국 전자산업, 日제치고 세계 3위...반도체 ‘쏠림현상’ 심화

URL복사

Tuesday, July 30, 2019, 10:07:32

KEA, 2013∼2018년 최근 5년간 추이 분석..연평균 성장률 9.0%로 중국·미국 이어 세계 3위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한국이 작년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일본을 제쳤다. 중국과 미국에 이어 전세계 3위 생산국 지위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 동안 주요국 중 3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글로벌 IT 강국의 입지를 굳혔다. 다만,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지나친 쏠림현상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711억 100만달러(약 202조 7000억원)로 집계됐다.

 

지난 2013년의 경우 생산액이 1111억 7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53.3% 성장률을 기록하며, 일본을 제치고 3위 자리에 올랐다. 중국은 7172억 6600만 달러를 기록해 1위, 미국은 2454만 22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한국 전자산업의 반도체 편중 비중 심화는 여전했다. 작년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전자부품이 차지한 비중은 77.3%로 5년 전보다 18.8% p 높았다.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와 7.8%로 그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7년과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덕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면서 전자부품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고 말했다.

 

중국과 미국의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중국은 컴퓨터 분야가 전체 34.2%를 차지해 비중이 가장 컸다. 미국도 가장 큰 비중이 무선통신기기 분야로 32.3%에 그쳤다.

 

부문별로는 전세계 전자부품 생산에서 지난해 한국이 19.2%의 비중으로, 중국(24.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무선통신기기는 4.3%의 비중을 차지하며 중국(46.4%)과 미국(20.0%), 베트남(.8%), 인도(4.4%)에 이어 5번째였고, 컴퓨터(3.3%)도 중국(59.7%)과 멕시코(6.0%), 미국(4.9%), 일본(4.0%)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신한은행, ‘성남에 땡겨요 살포’ 루머에 "허위사실 작성·첫 유포자 법적조치"

신한은행, ‘성남에 땡겨요 살포’ 루머에 "허위사실 작성·첫 유포자 법적조치"

2025.08.26 09:45:56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최근 온라인을 통해 "신한은행이 새 정부 핵심 라인들이 연관돼 있는 경기도 성남에 집중적으로 배달서비스인 '땡겨요' 쿠폰 살포를 하고 있다"는 루머가 확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신한은행이 자료를 내고 "사실이 아니며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사이버수사대 의뢰 등 법적대응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력하게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신한은행은 26일 '성남시에 집중 살포된 '땡겨요' 쿠폰 관련 입장자료'를 내 "성남시 쿠폰 살포 루머와 관련, 특정 지역에 한정한 쿠폰 제공 사실이 없고 성남시와 지역화폐 발행 내역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땡겨요 사업이 매출이 커질수록 적자가 커지는 구조라는 내용에 대해서는 "땡겨요는 소상공인 상생을 위한 공공 플랫폼이며 매출확대에 따라 거래기반이 커지면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고 반박했습니다. 또 매출을 늘리기 위해 직원 사용을 강제하고 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강제 지시 사례가 없다"며 "직원 사용은 자발적이며 가입자 증가(25년 1~7월 전년대비 172만명, 293%)는 일반 이용자가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신한은행은 "관련 풍문은 사실과 다르며, 신한은행은 땡겨요를 통해 소상공인 상생과 공공적가치 실현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며 "근거없는 풍문은 신한금융그룹 및 소속 임직원의 명예를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작성자 및 최초 유포자에 대해서는 민·형사 소송을 포함한 모든 법적조치를 취하는 등 강력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