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금융권 공동 결제시스템인 ‘오픈뱅킹(Open Banking)’ 구축과 관련해 법제도화, 금융결제업 체계 개편, 빅데이터 활성화 등 시너지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을 천명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15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오픈뱅킹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금융위·금융연구원 주최)’에 참석했다.

최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오픈뱅킹의 첫 단계로 구축되는 공동 결제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인프라”라며 “이를 통해 혁신적 서비스 출현과 금융산업 전반에 혁신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픈뱅킹은 제3자에게 은행 계좌에 대한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결제망을 개방하는 제도다. 금융위는 지난 2월 금융지주 간담회를 통해 오픈뱅킹 구축 등을 내용으로 하는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공동 결제시스템 구축 현황과 오픈뱅킹 관련 국제 동향, 금융산업에 미치는 효과 등을 살펴본다. 또한, 우리나라에 오픈뱅킹을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향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진다.
최 위원장은 오픈뱅킹 추진 배경에 대해 “세계 주요국들이 금융결제 부문 선점을 위해 시스템 개방 등 과감하게 대응 중”이라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쇄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혁신적인 금융서비스 출현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오픈뱅킹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사항으로 ▲시스템 구축 연내 차질없이 완료 ▲혁신적 서비스 개발 노력 ▲충분한 설비 증설 통한 준비 ▲보안 수준·점검 강화 ▲지속적 보완과 유연한 운영 등을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최 위원장은 “아무리 좋은 차를 만들어도 고속도로와 같은 인프라가 없으면 제대로 달릴 수 없다”며 “이번 오픈뱅킹 구축으로 새로운 금융의 길이 마련된 만큼, 이를 통해 예상을 뛰어 넘는 혁신적 서비스들이 시장에 넘쳐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오픈뱅킹 법제도화를 포함해 금융결제업 개편, 빅데이터 활성화 등 시너지 확대 방안들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융권 공동 결제시스템 구축은 세부내용 확정 후 금융결제원 전산시스템 구축과 각 회사별 준비를 거쳐 연내 시행될 예정이다. 은행권에서는 오는 10월부터 우선 테스트하고, 12월 중 전면 시행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오픈뱅킹 법제도화 및 전자금융법 개편을 위한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신용정보법 개정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이밖에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 방안’ 세부과제들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