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News Plus 뉴스+

[종합] 완성차업계 ‘코로나 쇼크’ 지속...내수 실적은 ‘선방’

URL복사

Monday, June 01, 2020, 17:06:04

안방선 신차효과 힘입어 판매 증가..해외 실적은 ‘반토막’
그랜저, 7개월 연속 베스트셀링카..쏘렌토·아반떼도 맹활약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국내 완성차업계의 5월 판매 실적이 내수와 수출에서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내수 시장에선 신차효과를 바탕으로 선방한 반면, 해외 시장에선 전년 대비 절반 이상 쪼그라들었는데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위축과 생산 차질로 위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1일 완성차 5개사가 발표한 5월 내수 판매실적에 따르면, 현대차 그랜저는 1만대를 가뿐히 넘기며 7개월 연속 베스트셀링카에 등극했습니다. 특히 최근 출시된 아반떼와 쏘렌토는 각각 1만대 가까이 판매되며 ‘신차효과’를 누렸습니다. 르노삼성의 신차 XM3도 5000대가 넘게 팔리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해외 시장에서는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대차와 한국지엠은 전년 동월 대비 반토막난 성적표를 받아들었고, 쌍용차는 700대를 간신히 넘기며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르노삼성(-83.2%)과 기아차(-44.0%) 역시 큰 폭의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 현대차 그랜저, 7개월 연속 ‘베스트셀링카’…수출은 ‘반토막’

 

현대차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5 % 증가한 7만 810대를 판매했습니다. 그랜저는 1만 3416대 팔리며 국내 판매를 이끌었고, 아반떼(9382대)와 G80(7582대) 등 신차들의 활약이 두드러졌습니다. 이 밖에 쏘나타(5827대), 팰리세이드(4177대), 싼타페(5765대) 등 기존 주력차종들도 제 몫을 다했습니다.

 

하지만 해외 시장에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6% 감소한 14만 6700대에 그쳤는데요.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던 전달(9만 6651대)에 비하면 다소 회복됐지만, 30만대에 육박했던 전년에 비하면 다소 초라한 성적입니다.

 

 

◇ 기아차, 안방서 전년比 19.0% 증가…신형 쏘렌토 쾌속질주

 

기아차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총 5만 1181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19.0% 늘어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최근 출시된 쏘렌토(9297대)는 전달에 이어 기아차의 베스트셀링카 자리를 지켰고, 비교적 신차인 K5(8136대)도 고공행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셀토스(5604대)와 K7(4464대) 등 다른 주력 차종들도 경쟁차종들에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아차는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해외시장에선 별다른 힘을 쓰지 못했는데요. 기아차는 지난달 해외 시장에서 총 10만 9732대를 판매하는 데 그쳐 전년 동월 대비 44.0% 급감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게 기아차의 복안입니다.

 

 

◇ XM3 3개월 연속 5000대 돌파…르노삼성 효자노릇 ‘톡톡’

 

르노삼성은 지난달 총 1만 571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72.4%나 껑충 뛰어오른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XM3는(5008대)는 3개월 연속 5000대를 넘기며 전체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QM6도 전년 동월 대비 71.3% 증가한 3963대를 달성하며 XM3를 지원했지만, 주력차종이었던 SM6(740대)는 눈에 띄게 힘을 잃었습니다. 최근 들여온 르노 캡처(450대)는 출시 첫 달 무난한 성적표를 받아들었습니다.

 

반면 닛산 로그가 빠진 르노삼성의 지난달 수출 실적은 1358대에 머물렀습니다. QM6가 1128대, 트위지는 230대를 기록했는데요. 8098대를 기록했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무려 89.2%나 급감한 수치입니다.

 

◇ 안방서 반등한 쌍용차…해외에선 ‘711대’

 

지난 4월 내수 최하위로 추락했던 쌍용차는 5월 들어 소폭 반등하며 4위에 올랐습니다. 지난달 내수시장에서 총 7575대를 판매한 쌍용차는 전년 동월 대비 25.0% 감소한 성적을 기록했는데요. 다만 6000대를 간신히 넘겼던 전달보다는 25.9%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쌍용차는 완성차 5개사 가운데 유일하게 신차가 없지만 안방에서 선방한 모습인데요. 다만 해외 시장에선 고작 711대에 그쳐 전년 동월 대비 68.1% 쪼그라들었습니다. 이는 796대로 뚝 떨어졌던 전달보다도 10% 가량 줄어든 수치입니다.

 

 

◇ 트레일블레이저의 예상 밖 부진…한국지엠 내수 최하위

 

한국지엠은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총 5993대를 판매해 한달 만에 다시 내수 꼴찌로 내려앉았습니다. 한국지엠은 7000대 가까이 판매했던 전달 실적을 이어가지 못했는데요. 주력 신차인 트레일블레이저가 956대에 그친 것이 뼈아팠습니다.

 

한국지엠이 국내에서 생산하는 스파크(2056대), 말리부(822대), 트랙스(498대)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는데요. 트래버스(372대), 콜로라도(478대), 이쿼녹스(144대) 등 수입차종들도 500대를 넘기지 못했습니다.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지엠은 해외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습니다. 한국지엠의 지난달 해외 판매실적은 총 1만 8785대로, 전년 동월 대비 45.3%나 급감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경보 기자 kyung2332@inthenews.co.kr

배너

한미 ‘산업동맹’ 강화…조선·원전·항공 등 5대 분야서 대규모 MOU

한미 ‘산업동맹’ 강화…조선·원전·항공 등 5대 분야서 대규모 MOU

2025.08.26 23:32:21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미국 순방을 계기로 한국과 미국 양국이 조선·원자력·항공·LNG·핵심광물 등 5대 전략 산업분야에서 총 11건의 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제조업 르네상스 동맹'의 초석을 다졌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윌라드 호텔에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16명의 국내 기업인과 엔비디아 젠슨 황 CEO, 칼라일그룹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공동회장 등 21명의 미국 기업인이 참석했습니다. 행사 직후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임석 아래 양국 기업·기관 대표 60명이 참여해 대규모 계약·MOU 서명이 진행됐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성과는 전략산업 공동 펀드 조성과 초대형 투자 계약입니다. 조선 분야에서 HD현대와 한국산업은행, 서버러스 캐피탈은 미국 조선업과 해양 인프라 재건을 위한 수십억 달러 규모 공동 펀드 조성에 합의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미국 비거 마린 그룹과 미 해군 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 및 공동 건조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원자력 분야에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등이 미국 기업과 손잡고 SMR(소형모듈원자로) 설계·건설·공급망 협력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한수원은 미국 센트러스의 우라늄 농축 설비 구축 투자에도 참여해 안정적인 원료 공급망 확보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계획입니다. 항공 분야에서는 대한항공이 보잉과 362억 달러(약 48조원) 규모 항공기 103대 구매 계약을 체결했고, GE에어로스페이스와는 137억 달러 규모 엔진 구매·정비 서비스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는 대한항공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단일 계약으로 지난 3월 발표한 기존 발주와는 별도의 추가 투자입니다. 이 외에도 한국가스공사는 트라피구라 등과 연간 330만톤 규모, 10년간 미국산 LNG 장기 도입 계약을 체결해 국내 천연가스 수급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핵심광물 분야에서는 고려아연이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 및 공급망 협력 MOU를 맺으며 방산·소재 동맹을 강화했습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정부는 제조업 협력이 르네상스를 맞이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양국 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 경쟁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과거 미국이 한국의 초고속 성장에 크게 이바지한 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제조업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를 이끄는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고 밝혔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