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AI 서비스·도구가 대중화됨에 따라 대학생들의 과제 수행 풍경도 바뀌고 있습니다. 교수들도 이제 챗GPT와 같은 AI 사용을 막기보다는 보다 과제에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 방향을 바꾸고 있는 추세입니다. "챗GPT를 과제에 활용하는 걸 막지는 않겠지만 과제의 어느 부분에서, 어떻게 사용했는지 출처를 표기해서 제출하세요" 한 대학교의 코딩 수업을 지도하는 교수가 코딩 과제를 내주면서 한 말입니다. 처음에는 과제 수행 단계에서 챗GPT를 사용하는 것을 부정행위로 간주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챗GPT를 활용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적발하는 것이 어려워 이와 같이 지도 방향을 수정한 것입니다. 이처럼 AI를 활용하는 대학생은 더 이상 새롭거나 신기한 현상이 아닙니다. 챗GPT 뿐만 아니라 PPT 제작, 발표 자료 작성, 이미지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는 대학 생활의 일부가 된 것입니다. 에브리타임 사용자 기반의 국내 데이터 분석 서비스 '비누랩스 인사이트'가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7명(71.2%)이 현재 AI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23.3%는 AI 서비스를 '거의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