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KB증권(대표이사 김성현, 이홍구)이 향후 코스피 단기조정은 대세 상승장의 쉼표구간으로 판단한다고 6일 밝혔습니다. 이에따라 2026년 코스피 타깃을 5000포인트로, 코스피 전략업종으로는 반도체, 원전, 방산, 증권을 제시했습니다.
KB증권은 ‘KB 전략 – 코스피, 대세 상승장 쉼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과거 30년간 한국증시의 세차례 강세장(1998년, 2009년, 2020년)에서 코스피 지수의 조정 폭과 기간이 각각 평균 -14%, 1개월 수준을 기록했고, 지수 조정폭이 큰 만큼 코스피 지수가 급반등한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특히 1998~1999년 강세장 경우에 -22% 단기조정 후 코스피 지수는 약 2배 상승한 바 있습니다.
2025년11월 코스피 조정은 3저 호황 국면이었던 1984년 4월과 유사한 상황으로 판단했습니다. 당시 코스피는 10.9% 하락했고 조정기간은 1개월간 지속됐으며, S&P 500도 5% 하락했습니다. 1986년 4월 급락 후 3~4주간 횡보하던 코스피 시장은 재차 급반등을 시작했습니다.
최근 일각에서 제기된 2025년 AI산업과 1999년 닷컴버블 비교 논란은 시기상조로 판단했습니다. 이는 1999년 당시 미국정부 정책에 따른 시장환경과 닷컴 업체 펀더멘털 등이 현 시점과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구체적으로는 ①1999년 미국은 금리 인상기 진입한 가운데, 미 정부의 흑자기조 유지로 긴축정책을 시행해 2025년 현재 미국의 완화된 통화 및 재정정책과 상반되고 ②1999년 닷컴 업체들의 평균 PER은 60배를 기록한 반면, 2025년 현재 AI 기업들의 평균 PER은 30배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AI는 과거 40년간 글로벌 IT 산업의 성장 변곡점을 고려할 때 PC(인터넷), 모바일(아이폰) 이후 세번째 산업혁명으로 판단되고, PC와 모바일산업의 경우 태동 이후 10~15년간 장기간 고성장을 지속했습니다. AI산업은 2022년 11월 GPT 공개 후 불과 3년밖에 지나지 않았고, AI 확장 사이클이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AI 산업과 닷컴버블 비교는 비현실적인 시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KB증권은 50년 한국증시의 세번째 장기 상승장 시작으로 2026년 코스피 타깃 5000포인트를 제시했습니다. 2025년 상승장은 3저 호황에 따른 밸류에이션 확장과 코스피 실적 사이클 시작으로 1985년 이후 40년 만의 강세장 진입으로 판단했습니다.
특히 장기 강세장 시나리오에서는 향후 실적전망 변동에 따라 수정될 수 있지만 코스피는 7500포인트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3저 호황에 따라 P/B 밸류에이션 멀티플이 빠르게 확장하는 가운데, 2026년 코스피 영업이익은 반도체, 전력이 견인하며 전년대비 36% 증가한 401조원으로 역대 최대치가 예상돼 코스피 사상 최대실적이 코스피 상승을 이끌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코스피 전략 업종으로는 반도체, 원전, 방산, 증권 등을 제시했습니다. 최선호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 현대건설, 현대로템, 한국금융지주를 제시했습니다.
KB증권 김동원 리서치본부장은 “현재 코스피 시장 PBR은 1.4배로 전 세계 증시 (PBR 3.5배) 대비 -60%, 아시아 (PBR 2.2배) 대비 -37%, 일본 (PBR 1.7배) 대비 -21% 할인거래되고 있어 코스피는 최근 상승에도 향후 글로벌 투자자들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될 것으로 기대돼 코스피의 장기상승 여력은 충분하다”고 언급했습니다.
‘KB 전략 – 코스피, 대세 상승장 쉼표’ 리서치 보고서는 KB증권 홈페이지, KB증권 리서치 홈페이지 및 MTS ‘KB M-able(마블)’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는 자산가격 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일부 또는 전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