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샘표 종속회사인 샘표식품(대표 박진선)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6% 감소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897억원으로 같은 기간 4.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5.7% 줄어든 7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샘표 관계자는 "원재료 가격 상승, 물류 상황으로 인해 운반비가 증가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샘표 종속회사인 샘표식품(대표 박진선)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8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6% 감소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897억원으로 같은 기간 4.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5.7% 줄어든 7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샘표 관계자는 "원재료 가격 상승, 물류 상황으로 인해 운반비가 증가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토스뱅크가 올해 1분기 당기순손실 6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출범 이후 적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정식 영업을 시작한 지 8개월 만에 가입고객 330만명을 돌파하고 인터넷전문은행 최초로 중저신용 고객 대출 비중 35%를 넘기며 인터넷전문은행 가운데 1위를 차지했습니다. 토스뱅크는 31일 올해 1분기 당기순손실 654억원 기록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1분기 순이자손실은 29억원으로, 지난해 10월 출범 후 지난해 말까지 발생한 113억원 적자 대비 손실 규모가 감소했습니다. 1분기 말 기준 총여신 잔액은 2조5900억원, 총수신 잔액은 21조원입니다. 중저신용 대출비중이 높음에도 각종 건전성 지표는 훼손되지 않았습니다. 위험 가중 자산 취급 여부에 따라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측정하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올해 1분기 기준 17.6%로 국제결제은행 기준치(8%)를 웃돌았습니다. 토스뱅크의 성장이 고객 확대에 힘입은 성과라는 분석입니다. 토스뱅크에 따르면 지난 30일 기준 토스뱅크를 가입·이용하는 고객은 총 331만 명으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124만 2700명보다 206만 명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전체 이용 고객 가운데 연 2% 금리를 제공하는 토스뱅크통장을 개설한 고객은 지난해 말 115만5000명 대비 2.6배 이상 늘어난 300만36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 중 '지금 이자받기' 서비스를 통해 매일 이자를 받는 고객 수는 130만명으로 나타났습니다. 고객 5명 중 2명은 40대 이상으로 ▲40대 고객은 24.2% ▲50대 이상 고객은 18.7%를 차지했습니다. 늘어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도 주목할만한 지표입니다. 올해 1분기말 기준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35.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 3월말 31.4%에 비해 2개월 동안 3.6%p 늘어난 비중이며, 지난해 10월 토스뱅크가 출범과 함께 약속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34.9%)을 상회한 수치입니다. 토스뱅크가 8개월 간 공급한 중저신용자 대출 규모는 실행액 기준 총 1조4185억 원입니다. 토스뱅크는 지난 1월 대출 영업 재개와 함께 금융 사각지대를 살피고 적기에 자금을 공급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토스뱅크는 금융권에서 오랫동안 풀지 못했던 '포용금융'을 금융소비자 중심의 혁신을 바탕으로 빠르게 풀어냄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금융 사각지대를 포용하면서도 건전성을 유지할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삼양식품(대표 김정수)은 연결 기준 1분기 매출이 20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분기 매출이 200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45억원으로 같은 기간 71%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45.5% 늘어난 19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양식품 측은 올 1분기에 수출물량 증대와 환율 상승 등에 힘입어 국내와 해외 모두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해외 매출은 지난해 1분기보다 68% 증가한 1328억원을 기록, 지난 4분기(1238억원)에 이어 분기 최대 수출 실적을 갱신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역기저 효과와 물류난 등으로 주춤했던 수출 성장세는 중동 등 신시장 판로 개척, 중국 및 미국 현지판매법인 영업 개시 등에 힘입어 회복했습니다. 내수 매출의 경우 6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늘었습니다. 가격 인상 효과와 더불어 삼양·불닭브랜드 뮤지컬 애니메이션 광고 등 영업마케팅 활동을 강화한 것이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분기 사상 최고의 실적을 거뒀지만 지난해 이후 밀가루, 팜유 등 원자재 급등으로 지속적인 수익 확보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앞으로 삼양식품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사업구조의 효율화를 추진하는 등 원가 절감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농심(회장 신동원)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7363억원으로 같은 기간 16.1%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13.5% 늘어난 3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농심 관계자는 "재택근무 등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내식증가로 주력 제품의 면과 스낵 판매가 증가했다"며 "해외사업도 성장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리온그룹은 사업회사 오리온(대표 이경재)이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0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6532억원으로 같은 기간 8.5%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7.7% 신장한 77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오리온 측은 글로벌 통합 구매를 통한 효율적 원가관리 및 지속적으로 펼쳐온 효율과 수익 중심의 경영 효과로 영업이익이 늘었고, 신제품 출시와 영업력 강화로 전 법인들이 성장하며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룹 차원의 유동성도 1000억원 가량 개선됐습니다. 한국 법인은 매출이 10.6% 성장한 2197억원, 영업이익은 3.2% 감소한 342억원입니다. ‘꼬북칩 스윗바닐라맛’ 등 스낵 신제품이 연달아 히트했습니다. 영업이익은 9년째 가격 동결 정책을 이어가는 가운데 제조원가 및 물류비 상승으로 줄었습니다. 올해 채널 매대 확대 전략으로 수익성 제고에 집중합니다. 중국 법인은 매출액이 1.1% 증가한 3052억원, 영업이익은 6.4% 오른 49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지역봉쇄 영향 속에서도 스낵, 젤리 등 신제품 입점이 확대된 영향입니다. 영업이익은 생산공정 및 영업인력 구조 효율화 등 내부 비용 통제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로 가동이 중단됐던 상하이 공장은 현재 기존 대비 80% 수준으로 가동률을 회복했습니다. 초코파이 등 파이류 제품이 중국 내 생활 필수품으로 지정된 점도 긍정적입니다. 올해 중국 법인은 파이·스낵 신제품 출시 및 양산빵 등 신규 카테고리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러시아 법인은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30.9% 성장한 303억원, 영업이익은 6.9% 증가한 3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불안한 국제정세 속에서도 안정적인 생산을 이어가며 공장가동률이 150%대에 이르는 등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올 2분기부터는 현지 물가상승에 따라 지난 4월 단행한 가격인상 효과가 본격 반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중국 법인을 통한 원부재료 조달 등 공급망을 다양화하며 안정적인 생산을 이어가고, 비스킷 제품의 유통채널 확대와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로 매출 성장을 지속할 방침입니다. 오리온 관계자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 등 어려운 경영 환경에서도 차별화된 제품력과 효율 및 수익 중심 경영의 체질화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었다”며 “제품력 강화 등 업의 본질에 충실하고 비효율 제거를 통한 전사 차원의 원가 관리 노력을 통해 건강한 성장을 지속해 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진에어[272450]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3.8% 증가한 67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진에어는 올해 1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 675억원, 영업손실 464억원, 당기순손실 310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규모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601억원, 721억원에서 감소된 숫자입니다. 진에어 측은 "코로나19로 인한 사업량 제한과 환율 및 유가 상승 영향으로 적자가 지속됐으나 적극적인 실적 개선 노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증대 및 적자 폭을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각 국의 전반적인 입국 제한 조치 완화에 따라 주요 노선 공급을 확대하고 운항을 재개하는 등 사업량 확대를 통한 실적 개선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재무 건전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진에어에 따르면, 인천발 방콕·코타키나발루 노선과 부산발 다낭·방콕 노선 운항을 재개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괌, 클락, 세부, 나리타, 오사카 등 주요 노선 공급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한세실업(대표 김익환·조희선)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1%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5812억원으로 같은 기간 54.7%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45.3% 늘어난 31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율은 8.4%입니다. 회사 측은 지난해 4분기 베트남 봉쇄 해제 후 주력 생산 시설 정상 가동과 미국 물류망 회복으로 1분기 납품 실적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익률에 기반한 주문 수주와 각 브랜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진입, 고판매가 브랜드 대량 주문이 호실적에 기여했다는 분석입니다. 앞으로 한세실업은 제품군 확대로 주력 제품인 니트 외에도 단가가 높은 제품을 통해 수익율을 개선한다는 계획입니다. 독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HAMS)으로 생산성 향상 및 에너지 사용 효율화로 원가 절감을 꾀하고 이로 인한 수익 구조 개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익환 한세실업 부회장은 "올해 예상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 성장한 1조8300억원, 영업이익율 7.1%인 1300억원이 목표"라며 "하반기와 2023년 오더 수주 증가가 가능하도록 중미 지역인 니카라과 법인 6공장의 신설 및 가동이 본격화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부회장은 이어 "글로벌 ESG 경영에 부응해 지속가능한 패션 환경을 추구하고, 친환경 원단을 사용한 의류 생산을 확대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재활용 섬유를 생산하는 리커버 텍스타일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며 "올 하반기와 2023년의 성장을 기대해달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한세실업은 전세계 9개국에서 20개 법인 및 7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3만여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한세실업 수출 물량은 지난해만 약 4억장에 달합니다. GAP, H&M, AEROPOSTALE과 PINK 등 글로벌 의류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휴온스그룹의 지주회사 휴온스글로벌(대표 송수영)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15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07억원으로 같은 기간 1%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19% 감소한 12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휴온스글로벌 측은 핵심 사업회사인 휴온스와 휴메딕스가 그룹의 성장을 이끌었고 의료기기 전문 기업으로 새롭게 출범한 휴온스메디텍과 보툴리눔 톡신 전문 기업 휴온스바이오파마도 실적 상승을 뒷받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별로 보면, 휴온스(대표 송수영·윤상배)는 연결 기준 매출 1159억원으로 전년 대비 16% 늘었고, 영업이익은 117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 줄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사업이 주도하는 뷰티웰빙사업부문은 ‘엘루비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가 단일 브랜드로 매출 95억원을 내며 26%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 감소는 그룹 인력 구조 재편에 따른 부서 이동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분과 엘루비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 모델료, 신규 TV광고 제작비 등 일시적 광고선전비 증가분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R&D 비용도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습니다.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1분기 개별 기준 매출 269억원, 영업이익 43억원을 달성, 전년 동기 대비 각 24%, 63% 증가했습니다. 마스크 의무화 완화 기대감에 따른 미용 니즈가 증가하면서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으로 대표되는 에스테틱 및 점안제 CMO(위탁생산)사업이 각 26%, 18% 증가했습니다. 기타 자회사들도 안정적인 수익을 냈습니다. 지난 2월 출범한 휴온스메디텍은 1분기 매출 175억원을 냈고 휴베나와 휴온스바이오파마는 각 66억원, 4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휴온스글로벌은 영업이익이 다소 주춤한 배경으로 휴온스의 광고선전비 등 일시적 판관비와 R&D 비용 증가 등이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휴온스그룹은 미래 전략 사업으로 건기식·의료기기·헬스케어 부자재 사업을 낙점하고 세 축으로 사업구조 고도화 및 경영효율화에 나섭니다. 휴온스글로벌 관계자는 "사업구조 고도화와 함께 경영효율화, 수익성 향상, 매출 시너지 증대를 위한 자회사 합병 절차가 오는 7월 마무리되는 만큼 하반기에는 수익성이 향상될 것"이라며 "그룹의 미래 가치 제고를 위한 새로운 사업 기회 창출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011200]이 해운 비수기에도 시황 개선과 환율 상승에 힘입어 6개 분기 연속 사상 최대 실적 경신에 성공했습니다. HMM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조14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증가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창사 이래 최초로 분기 영업이익 3조원을 넘은 것입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03% 증가한 4조918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조9776억원(1933%) 늘어난 3조1317억원으로 기록됐습니다. 이는 직전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지난해 4분기의 매출 4조4430억원·영업이익 2조6985억원을 웃도는 수치입니다. 이로써 HMM은 2020년 4분기 이후 6개 분기 연속 최대 실적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64%를 나타냈습니다. HMM 관계자는 "비수기에도 시황이 크게 개선된 것이 호실적을 이끌었다"며 "올해 1분기 크게 오른 환율도 HMM의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상 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6일 4163.74를 기록하며 16주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올해 1분기의 SCFI 평균 지수는 4851로 지난해 1분기 대비 74.5% 상승했습니다. 올해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8.2% 오른 1205원을 기록했습니다. 이 밖에도 항로 합리화·화물비용 축소 등 원가 구조 개선 노력이 효과를 보면서 컨테이너 사업과 벌크 부문 모두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HMM은 올해 상반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장기화 등으로 교역환경의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우량화주 확보와 운영효율 증대 등의 노력을 정교화해 글로벌 선사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042660]과 현대중공업[329180]에서 건조 중인 1만3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12척이 2024년 상반기에 모두 인도되는 만큼 안정적인 화물 확보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HMM 관계자는 "국적선사의 책임감을 느끼고 임시 선박을 지속해서 투입하고 있다"며 "고객 중심의 차별화된 해운 서비스 제공 등 경영혁신에 더해 환경, 노동 등 비재무적 분야에도 투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라이프 솔루션 기업 코웨이(대표 이해선·서장원)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92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727억원으로 같은 기간 1.1%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7.3% 늘어난 135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국내 환경가전사업은 안정적 렌탈 계정 순증 등에 힘입어 5595억원의 매출을 냈습니다. 국내 총 계정 수는 656만 계정입니다. 해외법인 매출액은 3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0% 증가했습니다. 해외법인 성과를 견인한 말레이시아 법인과 미국 법인의 매출액은 각각 2628억원, 45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9.3%, 6.6% 올랐습니다. 코웨이 해외법인 총 계정 수는 전년 대비 29.3% 늘어난 272만 계정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1분기 코웨이 국내외 고객 총 계정 수는 해외법인 계정 증가로 1년 전보다 81만 계정 늘어난 928만 계정으로 집계됐습니다. 김순태 코웨이 CFO는 "프리미엄 디자인 가전 브랜드 노블의 확장 전략 등을 앞세워 어려운 시장 환경에도 불구하고 안정적 실적 성장세를 기록했다"며 "앞으로도 건강하고 편리한 생활환경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혁신 활동을 바탕으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SFA는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228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2089억원을 기록했다. SFA는 매출 규모 확대에 따른 고정비 분담 효과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1분기 이차전지 부문 매출액이 1044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360억원 대비 190% 급등하면서 호실적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SFA의 1분기 수주액은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부문의 수주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2589억원을 달성했다. 아울러 해외 고객사 수주도 일정부분 실적에 반영되면서 향후 지속적인 해외 고객사 수주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했다. SFA 관계자는 "1분기는 매출액뿐만 아니라 선행지표인 수주잔고까지 전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뤄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며 “다변화된 사업구조를 기반으로 본격적인 성장을 실현해 국내외 시장에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리더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태웅로직스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220% 증가한 334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한 3982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214% 증가한 276억원을 기록했다. 태웅로직스는 운송 아이템 다변화에 따른 물동량 증가로 해외 법인 실적이 개선됐고 신규 사업도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ISO 탱크 컨테이너를 활용한 액상화물 운송 사업이 성장하고 있어 향후 실적 확대를 기대했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ESG 경영 추세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ISO 탱크 컨테이너의 운송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액상화물 운송 사업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ISO 탱크는 액상화물 및 가스 등의 수송을 위한 특수 컨테이너로 고상화물 컨테이너 대비 경제성, 안정성, 환경친화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수익성도 높다고 덧붙였다. 태웅로직스는 올해도 운송 아이템 다변화와 제공 서비스 범위 확대 전략을 고수할 방침이다. 국내외 지역거점을 확대해 시장을 개척하고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신규 물류 사업 발굴에도 나설 예정이다. 한재동 태웅로직스 대표는 “국내외 지역거점을 확대하고 사업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며 “스마트 업무환경 조성을 통해 내외부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삼성생명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습니다. 삼성전자 특별배당에 관한 역기저효과와 주가 하락에 따른 변액보증준비금 반영의 영향이라는 분석입니다. 삼성생명[032830]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302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공시했습니다. 작년 1분기 순이익 1조881억원에 비해 72.9%(8184억원) 감소한 수치입니다. 삼성생명은 1분기 실적이 크게 하락한 이유는 삼성전자 특별배당과 관련한 역기저효과가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1분기 삼성전자[005930]로부터 세후 6470억원의 특별배당을 받았습니다. 삼성생명은 이에따라 작년 1분기 1조881억원의 순익을 올렸습니다. 아울러 최근 삼성생명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변액보험손실에 따라 쌓은 변액보증준비금 1770억원도 1분기 순익에 반영됐습니다. 삼성생명은 이 같은 외부 요인을 제외하면 보험영업과 투자부문 실적은 크게 나빠지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삼성생명의 1분기 매출은 9조3047억원, 영업이익은 323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RBC(지급여력)비율은 246%로 금융당국 권고 수준(150%)을 상회했지만 지난해 말 305%에서 60%p 가량 낮아졌습니다. 금리 상승에 따라 보험사 전체 건전성이 악화된 결과라는 분석입니다. 삼성생명의 미래 이익 흐름을 나타내는 신계약가치(VoNB)는 올해 1분기 기준 4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3470억원 대비 15.4% 증가했습니다. 신계약가치는 보험계약 체결 후 전체 보험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수익과 비용을 모두 계산하여 장래이익으로 환산한 수치입니다. 삼성생명의 올해 1분기 자산운용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0.5%p 오른 3.6%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신계약마진은 51.2%에서 65.1%로 13.9%p 올랐습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당기순익 절대치는 작년보다 줄었지만 경상이익은 견조한 성과를 냈다"며 "내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자본규제인 IFRS17(새국제회계기준)에서는 금리나 주가에 따른 변액보험 변동성이 크게 줄어 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유플러스는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한 3조4100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612억원으로 5.2% 줄어들었습니다. 순이익은 1704억원으로 15.2% 감소했습니다. 1분기 설비투자(CAPEX)는 5G 네트워크 및 신사업 강화를 위한 투자 등으로 3616억원을 집행했습니다. 단말 매출을 제외한 서비스 매출은 유·무선과 신사업 등 전체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1 % 증가한 2조7742억원을 올렸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1분기 무선 사업은 가입자 순증과 해지율 개선 등으로 1.3% 증가한 1조518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총 무선 가입자는 8.8% 늘어난 1847만3000명입니다. 5G 가입자는 50.9% 증가한 503만4000명으로 핸드셋 기준 전체 가입자 중 비중은 44%를 차지했다. 이동통신(MNO) 해지율은 0.2% 포인트 개선되며 역대 최저치인 1.18%를 기록했습니다. 연평균 해지율은 2019년 1.46%, 2020년 1.44%, 작년 1.36% 등으로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알뜰폰(MVNO) 가입자는 42.8% 늘어난 307만7000명을 기록했습니다. 스마트홈 부문은 매출이 9.7% 증가한 58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IPTV와 초고속 인터넷의 꾸준한 가입자 증가와 고가치 고객 유입 확대가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IPTV 사업 매출은 10.6% 늘어난 3327억원이며. IPTV 가입자는 6.6% 증가한 541만명을 기록했습니다. 영유아 전용 서비스 'U+아이들나라'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차별화된 콘텐츠 경쟁력과 고객 중심의 UI·UX 개편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인데 따른 것이란 분석입니다.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2489억원으로 8.6% 증가했습니다. 가입자는 482만2000명으로 5.0% 성장했습니다. 기업 대상 신사업과 IDC, 회선 사업을 포함한 기업 인프라 사업 매출도 6.7% 증가한 3624억원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외에도 솔루션 사업 및 IDC 사업 매출은 각각 1113억원, 63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7%, 13.7% 늘어났습니다. 단 단말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2.3% 감소했습니다. 신규 플래그십 단말 출시 지연에 따른 결과라는 LG유플러스의 설명입니다.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이혁주 부사장은 "올해 1분기 고객 경험 혁신을 중점에 둔 경영 활동으로 유무선 및 신사업 등 전체 사업 영역에서 고른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올해 전체 사업 영역의 질적 성장을 지속해 경영 목표와 주주 가치 제고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프랜차이즈 기업 본그룹(회장 김철호)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300억원으로 전년보다 20.5% 증가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41억원으로 1년 새 264% 올랐습니다. 한식 프랜차이즈 기업 본아이에프의 지난해 매출액은 2482억원, 영업이익은 124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7.2%, 167% 늘었습니다. 본부 포함 전국 2000여개 이상 가맹점의 연·월간 매출도 모두 상승했습니다. 단체급식 및 식자재 유통 법인 본푸드서비스는 지난해 매출 758억원으로 전년 대비 29.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흑자전환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업황이 어려운 상황 속 산업체 등 수익성 높은 사업장 수주 확대 및 단가 인상과 같은 단체급식 체질 개선의 성과라는 설명입니다. 순수본의 경우 지난해 매출 263억원으로 2020년보다 21% 올랐으며 영업이익은 156% 늘었습니다. 이유식과 가정간편식(HMR) 매출이 각각 82억원·180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18%씩 늘면서 두 주요 사업 모두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본그룹 관계자는 "한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 시작해 약 19년 간 사업 다각화를 통한 지속 가능 경영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며 "그룹 창립 20주년인 올해를 기점으로 비 외식·비 한식 분야까지 아우르는 ‘프랜차이즈 전문 기업’으로 가지를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 쿠콘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한 49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154억원을 기록했다. 쿠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확대가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부문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2억원, 31억원으로 42.7%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2021년 4월 코스닥에 상장한 쿠콘은 올해 1월 금융위원회로부터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선정돼 마이데이터 전문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마이데이터 서비스 기능적합성 심사를 통과해 마이데이터 서비스 안정성을 입증한 바 있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격 실시와 함께 쿠콘의 성장도 계속될 것”이라며 “쿠콘이 더욱 많은 기업들에게 마이데이터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셀트리온헬스케어(대표 김형기)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41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고 13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로는 처음으로 4000억원을 넘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450억원으로 같은 기간 43%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38% 증가한 43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주요 제품 글로벌 판매가 안정적인 가운데 수익성 높은 북미 지역에서 혈액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 매출이 늘었고, 유럽에서 판매 중인 피하주사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 처방도 늘면서 실적이 성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트룩시마는 올 3월 기준 미국에서 27.2%(심포니헬스)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매달 처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 파트너사인 테바가 트룩시마의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가격 정책을 유지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입니다. 또 유럽에서는 빠른 투약 효과와 제형의 편리성을 결합시킨 램시마SC 처방이 대폭 늘면서 매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램시마SC는 유럽에서 직접판매(직판) 방식으로 판매되는 만큼 처방이 늘어날수록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실적 개선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올 하반기부터 트룩시마, 허쥬마 등 항암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이 유럽에서 직판 채널을 통해 판매됩니다. 회사는 앞으로 가격 경쟁력의 강점을 앞세워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항암 제품의 처방 확대를 이끌 계획입니다. 신규 제품 출시를 통한 포트폴리오 강화도 예고됩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매년 새로운 후속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는 방침에 발 맞춰 올 연말에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용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16'(성분명: 베바시주맙)을 유럽에 출시합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1분기가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전역에서 기존 제품들의 처방이 안정적으로 확대됐다"며 "항암제 제품군의 유럽 직판, 유플라이마 판매 본격화, 신규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출시 등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올해도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셀트리온(대표 기우성)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4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2% 감소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1분기 매출은 5506억원으로 같은 기간 20.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39.2% 줄어든 12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25.8%입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올 1분기 매출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했습니다. 향후 수율 개선과 원가 절감을 위한 다양한 개선활동으로 원가경쟁력을 강화해 영업이익률을 개선한다는 계획입니다. 미국시장에서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를 비롯한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지속적인 점유율 확대에 따른 추가 공급이 예상되고, 케미컬 사업도 개량신약 확대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따른 안정적 실적 확보로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1분기에 주요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이 유럽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미국 시장에선 램시마와 트룩시마 공급량이 늘었습니다. 또 국내와 국제조달시장 등에서 케미컬 사업이 성장한 점과 미국 내 코로나19 진단키트 공급 매출 발생 등이 1분기 매출 확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입니다. 아울러 셀트리온은 이미 유럽에서 제품 출시가 진행 중인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의 미국 진입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신규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와 시장 확대를 통해 2025년까지 항체 바이오시밀러 목표 시장 규모를 3배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과 케미컬의약품의 고른 성장으로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동반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후속 제품의 출시에도 속도를 내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를 통해 회사의 지속 성장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KT는 연결 기준((K-IFRS) 올해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6조2777억원, 영업이익은 매출 성장과 자산 매각에 따른 일회성 이익이 약 746억원 반영되며 전년 동기 대비 41.1% 증가한 6266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별도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4조6084억원, 429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와 17.5% 성장했습니다. 서비스 매출은 연결 기준 6.4% 성장한 5조5655억원, 별도 기준은 3.6% 성장한 3조962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부문별로는 기존 유·무선 사업(Telco B2C) 중 무선 매출은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약 50%인 695만명을 돌파하고 넷플릭스, 디즈니+에 이어 유튜브 프리미엄 등 구독형 연계 서비스 확대로 질적 성장을 이뤄내며 전년 동기 대비 1.9% 늘었습니다. 홈유선전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했지만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했습니다. B2C 플랫폼 사업(DIGICO B2C)은 미디어 사업과 인증·결제 등 모바일 플랫폼 사업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7%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작년 Seezn 분사 영향을 제외하면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은 8.5%입니다. IPTV 사업은 유료방송 플랫폼 1위 사업자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9.3% 늘었습니다. B2B 고객 대상 통신사업(Telco B2B)은 데이터 트래픽 증가로 기업 인터넷 수요가 늘어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7.1% 증가했습니다. 특히 대형 CP의 트래픽 사용량 증가, 기가 오피스 및 기업인터넷전화 수요 증가 등 기업통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했습니다. B2B 플랫폼 사업(DIGICO B2B) 중 고성장 신사업인 Cloud·IDC와 AI·New Biz의 사업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0.5% 증가했습니다. 가상화 기반 AI GPU 서비스의 본격화와 IDC의 설계∙구축∙운영을 담당하는 DBO(Design∙Build∙Operate) 사업의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4.7% 늘어났습니다. 특히 AI·New Biz 사업은 AI컨텍센터(AICC) 사업 등 대형 핵심사업을 성공적으로 수주하며 전년 동기 대비 40.7%의 높은 매출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콘텐츠 부문에서는 커머스 디지털 광고사업 확대와 밀리의 서재, 미디어지니 등 인수합병(M&A)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5.5%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최근에는 KT 스튜디오지니의 오리지널 콘텐츠 라인업 확대와 skyTV의 채널 리론칭을 시장에 알리며 콘텐츠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금융 부문에서는 케이뱅크가 1분기 고객수와 수신, 여신 등 모든 영업 지표가 일제히 성장하며 이익 규모를 확대했습니다. 케이뱅크의 올 1분기 말 가입자는 750만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33만명 늘었고, 1분기말 수신잔액은 11조5443억원, 여신잔액은 7조8077억원으로 지난해말 대비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BC카드는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소비가 회복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7.5% 성장했습니다. 올해 1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하며 가장 많은 금융기관(316개사)과의 연동을 통해 초개인화 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T가 지난달 마이데이터 사업 예비허가 획득함에 따라 BC카드, 케이뱅크 등 금융 자회사와 함께 통신과 금융 데이터를 융합한 사업을 준비할 계획입니다. KT CFO 김영진 전무는 "KT는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리딩하고 적극적인 제휴와 협력을 통한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로 전년 동기 대비 우수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대표 백복인)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3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1조4026억원으로 같은 기간 16.1%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3.4% 감소한 263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일반 담배 수출이 늘고 및 해외 담배법인 성장과 함께 국내외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가 지속 확대되면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KT&G 측은 설명했습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올 1분기에 국내담배 총 수요는 145억3000만개비로 지난해 1분기보다 2.7% 감소했습니다. 다만 보헴시가아이스핏 등 신제품 출시와 초슬림 제품이 강세를 이어가면서 시장 점유율은 65.7%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는 45.1%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습니다. 회사 측에 따르면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확대 및 KT&G 독자 플랫폼인 릴 하이브리드 2세대 중심 디바이스 시장 점유율 상승 효과 등이 반영됐습니다. 해외의 경우 고단가 시장인 중동·아태 등 주요 시장 수출량 회복과 인니법인을 중심으로 해외법인이 성장했습니다. 총 115억개비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43.8% 증가했고, 매출액은 전년보다 62.6% 오른 226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KT&G 관계자는 "향후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및 물류 대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에 컨틴전시 플랜 수립으로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KT&G 계열사인 KGC인삼공사는 1분기 매출 3741억원, 영업이익 342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6%, 35.8% 감소했습니다. 미국 등 주요 수출국 현지 수요 증가로 수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올랐지만 국내에서는 오미크론 확산 영향으로 2.2% 감소한 3383억원의 매출을 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가 할인점 기존점 및 온라인 시장 성장에 힘입어 1분기 매출이 7조원을 돌파했지만 지난해 연결 자회사 편입으로 인한 감각상각이 반영되며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이마트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7조35억원으로 같은 기간 18.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689.0% 오른 805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 감소 요인으로 지난해 10월과 12월 각각 SCK컴퍼니와 G마켓글로벌을 연결 자회사로 편입하며 반영된 감각상각비 400억원이 컸습니다. 또 SSG닷컴(-226억원), G마켓(-194억원), 할인점(-168억원), 트레이더스(-76억원) 매출이 지난해 1분기보다 줄었습니다. 별도 기준 1분기 총매출액은 4조2189억원으로 1년 전보다 0.5% 늘었고, 영업이익은 18.9% 감소한 91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8854억원으로 같은 기간 378.4% 올랐습니다. 사업부별 실적을 살펴보면 할인점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3.0% 늘어난 3조930억원, 트레이더스 총매출액은 0.3% 증가한 8409억원입니다. 할인점 기존점이 2.4% 신장하며 7분기 연속 성장했습니다. 노브랜드 등 전문점은 1분기 손익분기점(BEP) 달성에도 매출이 전년보다 12.5% 줄었습니다. 온라인 사업은 SSG닷컴·W컨셉 등이 외형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SSG닷컴의 1분기 별도 총거래액(GMV)은 1조5586억원, W컨셉은 881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3%, 56% 증가했습니다. SSG닷컴의 영업손실은 257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습니다. G마켓글로벌의 경우 1분기 3조7980억원의 총거래액(GMV)을 기록했습니다. 현재 멤버십·물류·마케팅·페이 등을 중심으로 신세계그룹과의 PMI(인수합병 후 통합) 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효과가 본격화되는 2분기부터 GMV 및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올해 온라인 사업 확대를 위한 물류 인프라 확충 및 차세대 시스템 구축 등에 투자를 확대합니다. 아울러 오프라인 점포 리뉴얼도 빠르게 진행해 올해 연결 매출 목표액 29조65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온·오프라인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올릴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대한뉴팜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71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456억원을 달성했고 당기순이익은 191% 증가한 116억원을 기록했다. 대한뉴팜은 인체의약품 사업 부문에서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항생제 및 호흡기질환 품목 매출이 늘어나고 주사제 품목의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여름 시즌이 다가오면서 비만관련 품목 매출이 증가하고 있어 하반기에도 성장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해외수출 부문에서도 동결건조 주사제 ‘리포라제’가 주력시장인 동남아를 넘어 중남미 및 중동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최근 이란 및 페루 등록을 완료하고 지난 3월에 첫 선적을 마무리해 수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한뉴팜 관계자는 “인체∙동물의약품 등 전 사업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며 “주사제 품목의 해외 수요 증가로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한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 엔비티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6억 7500만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2일 밝혔다. 매출액은 2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4% 가량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억 1800만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엔비티는 지난해부터 주력 사업 부문인 포인트 플랫폼의 스케일업 경영전략에 집중해 온 결과, 비수기인 1분기에도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특히, 올해 초부터 전자결제, 대중교통, 미디어커머스 등 오퍼월 네트워크의 제휴업종 확대가 이어지고 있고 신규 포인트 앱테크 서비스 '칩스’ 론칭에 나서는 등 포인트 생태계 확장 전략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회사 측은 올해 국내 제휴 업종을 늘려가며 포인트 생태계를 확장할 예정이다. 시장 점유율을 토대로 자체 플랫폼의 수익 창구 다변화, 신사업 구체화 등을 통해 성장동력을 지속 확대해 가겠다는 방침이다. 박수근 엔비티 대표는 “엔비티 포인트 플랫폼의 ‘스케일업’ 경영전략은 아직까지도 매우 유효하다고 판단한다”며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가능성을 검증했고 올해 역시 엔비티가 국내 포인트 생태계 확장을 리드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삼성화재[000810]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40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줄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삼성화재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585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투자영업이익은 5610억원으로 18.9% 줄었습니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채권평가이익 하락 등으로 투자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며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줄었으나, 삼성전자 특별배당에 따른 일회성 수익으로 인한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지난해 1분기보다 28.5% 늘어났다"고 설명했습니다 1분기 원수보험료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성장한 4조884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보험 종목별 원수보험료를 살펴보면 ▲일반보험 2.4% ▲자동차보험 1.4% ▲장기보험 0.2% 등 모든 사업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보험영업효율을 판단하는 1분기 합산비율(손해율+사업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2.6%p 감소한 99.5%를 기록했습니다. 수익성 중심의 질적 성장을 추구한 결과라는 분석입니다. 다만 보험금 지급 여력을 나타내는 RBC 비율은 하락폭이 더 커졌습니다. 지난해 4분기 삼성화재의 RBC 비율은 305.4%로 주요 손해보험사 가운데 유일하게 300%대였습니다2. 하지만 올해 1분기 RBC 비율은 271.3%로 석 달 만에 34.1%p 하락했습니다. 보험 종목별 손해율을 살펴보면, 올해 1분기 일반보험은 언더라이팅·재보험 정책 최적화 등의 수익성 강화 노력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7.8%p 낮은 69.5%의 손해율을 나타냈습니다. 같은 기간 장기보험의 손해율은 전년 동기보다 0.4%p 하락한 82.0%를 기록했습니다. 자동차보험은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격리 인구 증가로 사고율이 감소하고 지속적으로 손해 절감 노력을 이어온 결과 올해 1분기 손해율 74.5%로 전년 동기 대비 5.4%p 감소했습니다. 홍성우 삼성화재 경영지원실장(CFO)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시현했다"며 "향후 엔데믹 전환에 따른 손해액 증가 등 불확실성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익성 중심의 성장과 효율 개선 노력을 지속해 안정적 수익 기반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K바이오팜(대표 조정우)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4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6% 감소했다고 12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영업손실은 371억원, 당기순손실은 352억원으로 모두 적자전환했습니다. SK바이오팜에 따르면 기술수출 등 일회성 요인이 제외되면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매출 및 파트너링 수익(유럽 판매 로열티·제품 매출 등)은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노바메이트(제품명: 엑스코프리)는 올해 1분기 미국에서 317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했습니다. 특히 3월의 경우 처방건수가 1만2000건대로 상승해 최근 10년간 발매된 경쟁 약물들의 출시 23개월차 평균의 약 2배에 달했다는 설명입니다. 최근 미국 내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에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2분기부터는 세노바메이트의 영업·마케팅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하고 있습니다. 대면 활동이 정상화되고 있으며, 광고 채널의 경우 커넥티드TV에서 케이블 방송까지 확대에 나섭니다. SK바이오팜은 최대 강점인 ‘발작완전소실율’을 바탕으로 질환에 대한 인식 및 뇌전증 치료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미국신경과학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등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로 비즈니스를 확장했다”며 “자체 디바이스 개발과 함께 직접 투자, 기술 제휴 등 다양한 협업 방식을 모색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쿠팡이 올해 1분기 매출 6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당기순손실도 상장 이래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쿠팡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실적보고서를 통해 올 1분기 매출 51억1668만달러(약 6조1653억원)를 달성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약 4조6866억원)과 비교해 32%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인 지난해 4분기 실적(50억7669만달러)도 넘어섰습니다. 1분기 당기순손실은 2억929만달러(약 2521억원)로 지난해 1분기보다 29.1% 감소했습니다. 전분기(4억497만달러)와 비교하면 48% 줄었습니다. 핵심 사업인 로켓배송·로켓프레시 같은 제품 커머스 부분의 조정 EBITDA(이자·세금·감가상각 전 순이익)가 287만달러로 처음 흑자를 내는 등 수익성 개선 작업이 주효했다고 쿠팡 측은 설명했습니다. 쿠팡 관계자는 “각종 프로세스 개선과 자동화·공급망 최적화를 통해 이익률을 높일 수 있었다”며 “앞으로 제품 커머스 부문에서 계속 흑자를 기록하길 기대하며 회사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쿠팡에서 1회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활성고객수는 올 1분기 1811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프레시웨이(대표 정성필)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0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7.1%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56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56억원을 기록해 흑자전환했습니다. 외식 경기 회복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상품 물량을 확보하고, 핵심사업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운영한 게 주효했다고 CJ프레시웨이 측은 분석했습니다. 매출 성장은 식자재 유통과 단체급식 사업 부문에서 고르게 이뤄졌습니다. 부문 별로는 식자재 유통 사업 매출이 4345억원으로 전년 대비 64억원 올랐습니다. 고객사 사업 환경에 따라 맞춤형 상품과 부가 서비스를 제안하는 ‘밀·비즈니스 솔루션’ 전략, 키즈·실버 식자재 전문 브랜드 ‘아이누리’와 ‘헬씨누리’의 성장도 한몫했습니다. 단체급식 사업 매출은 급식 정상화에 따른 식수 증가와 수익성을 고려한 선별적 사업 수주를 통해 1122억원을 기록, 전년보다 12.3% 증가했습니다. 1분기는 계절적 요인과 영업일수 부족으로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산업체·오피스와 레저·컨세션 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 성장했습니다. 제조사업 매출은 17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억원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억원 증가한 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가정간편식(HMR) 시장 성장으로 자회사인 소스 전문 기업 송림푸드와 농산물 전처리 기업 제이팜스가 수익 창출에 기여했습니다. CJ프레시웨이는 차별화된 사업 수주 전략 수립, 외식·급식 특화 및 독점 상품 개발 등 본원적 경쟁력 확보에 나섭니다. 또 미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선진화된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 및 IT 인프라 투자,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추진합니다. ESG 위원회를 중심으로 ESG 경영도 강화합니다. 정성필 CJ프레시웨이 대표이사는 "지난해 핵심사업 중심으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높인 결과가 좋은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도 기존 사업 성장은 물론 푸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초격차 역량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7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6% 감소했다고 11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조6450억원으로 같은 기간 19.2%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0% 감소한 113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G생활건강 측은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대도시를 봉쇄하면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혼란이 이어진 데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뷰티(화장품)사업은 제로 코로나(중국의 엄격한 봉쇄 조치) 정책 영향으로 1분기 매출 6996억원, 영입이익 690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9.6%, 72.9% 감소했습니다. 중국 실적 제외 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6.4%, 0.7% 줄었습니다. HDB(홈·데일리뷰티)사업은 1분기 매출이 552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6.1%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16.6% 감소한 55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벨먼·엘라스틴 등 데일리뷰티 및 홈케어 브랜드들이 선전했으나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이 컸다는 분석입니다. 리프레시먼트(음료)의 경우 1분기 매출은 3927억원, 영업이익은 5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9%, 2.6% 증가했습니다. 코카콜라 제로(32%)와 몬스터에너지(35%)가 성장을 견인했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파워에이드·토레타 등 비탄산 음료 매출도 늘었습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후·숨·빌리프 등 주요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신제품 출시, 디지털 갤러리 오픈, NFT 발행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또 북미 뷰티 사업 확대를 위해 지난달 더크렘샵 인수 계약 체결 등 현지 마케팅과 영업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엔시스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19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를 통해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95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18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엔시스는 2차전지 배터리 제조사들이 생산력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비전검사장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2차전지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8배 성장,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 역시 같은 기간 10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엔시스는 17년 업력의 배터리 비전검사장비 전문 제조 기업으로 전극부터 모듈까지 전체 공정에 비전검사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높여 2차전지 비전검사장비의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엔시스 관계자는 “회사는 기존 2차전지 설비 관련 제품 개발에 더해 가정간편식(HMR) 비전검사 설비 등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라며 “해외시장 확대를 통해 성장세를 꾸준히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가 온·오프라인의 고른 성장으로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6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4%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1조7665억원으로 같은 기간 33.8%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9.2% 증가한 150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백화점 부문(광주·대구·대전 별도법인 포함) 매출은 5853억원, 영업이익은 1215억원으로 각각 18.7%, 47.6% 늘었습니다. 대전신세계 Art & Science의 시장 안착과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으로 남성패션(23.7%), 여성패션(21.7%), 골프웨어(54.6%), 아웃도어(28.6%) 등이 성장했습니다. 올 1분기 신세계백화점의 온라인 매출액은 전년보다 14.2% 늘었습니다. 온라인 성장에는 ▲개인 맞춤형 쇼핑 정보 및 혜택 제공 ▲신백서재·지니뮤직 라운지 등 콘텐츠 ▲신백라이브(라이브 커머스) 등 뉴노멀 시대를 대비한 디지털 콘텐츠가 주효했다는 분석입니다. 여기에 유통업계 최초로 NFT(대체불가토큰) 제작, 업계 최초 모바일 앱을 통한 해외 패션쇼 생중계 등도 고객 창출에 기여했다는 분석입니다. 실제 신세계백화점의 올 1분기 모바일 앱 이용 고객은 전년보다 37.9% 늘어난 1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연결 자회사들도 대체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패션·뷰티 등 각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 속 매출액 3522억원, 영업이익 331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3.0%, 55.4% 올랐습니다.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으로 수입 패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리 수 이상 신장했습니다. 면세 사업을 하는 신세계디에프 매출은 7721억원으로 1년 전보다 61.2% 증가했으나,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과 국내 오미크론 확산 등으로 영업손실을 21억원 기록했습니다. 센트럴시티는 매출이 6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6.5% 올랐고, 15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신세계까사는 상품 경쟁력과 굳닷컴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강화 전략을 바탕으로 4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선제적인 디지털 콘텐츠 도입과 신규 점포의 성공적인 안착, 자회사들 성장에 힘입어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이뤄냈다”며 “오프라인 본업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접목을 통해 뉴노멀 시대를 이끄는 온·오프라인 통합 유통 플랫폼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GS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조242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5.9% 증가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6조98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1%, 당기순이익은 7482억원으로 28.0% 증가했습니다. 전 분기(2021년 4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은 16.4%, 영업이익은 53.2%, 당기순이익은 149.0% 각각 늘어났습니다. GS관계자는 "GS칼텍스가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 관련 이익과 정제마진 개선에 따라 호실적을 달성했다"며 "발전자회사들도 양호한 실적을 내면서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GS칼텍스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올렸습니다. GS칼텍스는 올해 1분기에 연결기준 잠정집계 결과 매출액 11조2892억원, 영업이익 1조812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5.6%, 70.9% 증가한 수치로 영업이익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785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6.3% 늘어났습니다. 매출액은 직전 분기(11조2848억원)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77.5%, 109.6% 증가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정유 부문은 매출액 8조8628억원, 영업이익은 전분기보다 80.6%증가한 1조609억원을 기록해 분기 최대 영업이익 경신에 기여했습니다. GS칼텍스는 "유가 상승에 따라 재고 관련 이익이 늘고, 점진적 수요 증가로 정제마진이 개선된 덕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액 1조9719억원, 영업손실 50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는 전 분기보다 상승했으나, 올레핀(Olefin) 제품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 등으로 수요가 감소해 스프레드가 축소됐습니다. 윤활유 부문은 매출액 4546억원, 영업이익 711억원을 기록해 전분기보다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고유가로 인한 원재료 값 상승으로 전 분기보다 작아졌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4조2772억원, 영업이익 4324억원, 순이익 2203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MNO(Mobile Network Operator)와 IPTV 등 주요 사업 영역에서 성장을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 15.5% 성장했습니다. 순이익은 지난해 11월 시행한 인적분할로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등이 제외돼 61.5% 감소했습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2022년 첫 분기 실적 발표에서 MNO와 미디어 영역에서의 성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SK텔레콤은 별도 기준 1분기 매출 3조774억원 ,영업이익 356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16.2% 성장했습니다. 5G 가입자가 100만명 이상 증가한 것이 매출 신장에 기여했습니다. SK브로드밴드는 전년 대비 6.1% 증가한 매출 1조26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0.9% 증가한 761억 원입니다. SK브로드밴드는 2021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IPTV 가입자 순증 1위를 달성했습니다. 미디어 사업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습니다. SK스토아는 1분기 매출 895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T커머스 매출 1위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굳혔습니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엔터프라이즈 사업의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했습니다. 김진원 SKT CFO는 "1분기에는 MNO와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주요 사업 영역이 고르게 성장했다"며 “5대 사업군을 중심으로 성장과 혁신을 창출하는 한해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생활뷰티기업 애경산업(대표 채동석·임재영)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399억원으로 같은 기간 3.4%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2.4% 감소한 6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화장품 사업의 1분기 매출액은 491억원, 영업이익은 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0.3% 줄었습니다. 1분기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 일부 지역의 봉쇄조치 영향을 받았으나, 중국 외 글로벌 영역 다각화 및 국내 H&B(헬스&뷰티), 디지털 채널 성장이 이를 방어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대표 화장품 브랜드 AGE 20’s(에이지투웨니스)가 일본 최대 쇼핑몰 ‘이온몰’, 멀티브랜드숍 ‘로프트’ 등 일본 주요 오프라인 10개 채널에 진출하며 판매 채널을 확대했습니다. 생활용품사업의 1분기 매출액은 908억원, 영업이익은 1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6%, 21.9% 증가했습니다. 케라시스·샤워메이트 등 퍼스널 케어 브랜드의 글로벌 매출 증대와 함께 디지털 채널 성장, 위생 전문 브랜드 ‘랩신’ 인지도 및 매출 확대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1분기 코로나19 재확산, 글로벌 경제환경 악화 등 어려운 사업환경 속에서도 글로벌 영역 확장,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개선됐다”며 “성장하고 있는 국내외 디지털 채널을 강화하고 리오프닝에 대비해 판매 채널 다변화 및 마케팅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 에브리봇은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한 22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0일 공시를 통해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한 127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에브리봇은 대표 제품 ‘쓰리스핀(TS300)’의 판매 증가가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5월에 출시된 쓰리스핀은 출시 10개월만에 누적 매출 약 225억원을 달성했고 1분기에도 약 9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앞으로는 로봇 청소기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여기에 올해 하반기 신규 제품 라인업 출시를 앞두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 확대와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에브리봇 관계자는 “견조한 1분기 경영실적과 유형자산 매각 등을 통해 현금 자산을 창출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에브리봇의 지속 성장을 위한 연구개발 및 주주 가치 제고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현대백화점은 연결(백화점+면세점)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8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7% 증가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연결 기준 1분기 매출은 9344억원으로 전년보다 36.8%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35.1% 증가한 7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백화점 별도 매출은 5433억원, 영업이익은 10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2%, 35.2% 늘었습니다.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오미크론 확산세 고점 이후 소비 심리가 대폭 개선되며 매출이 늘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패션·스포츠 등 고마진 상품군 실적이 크게 늘며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는 설명입니다. 면세점의 경우 매출은 4243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97.0% 올랐지만 14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습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중국 내 방역봉쇄정책 등의 영향으로 영업환경이 좋지 않았으나 수입 화장품 등 핵심 상품군 판매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매출이 증가했다”며 “다만 이익률 하락 영향으로 전년 대비 면세점 영업적자는 소폭 늘어났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PC그룹의 종합식품 계열사 SPC삼립(대표 황종현)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72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0.1% 늘어난 136억원을 기록했으며 당기순이익은 78억원으로 전년보다 25.3% 올랐습니다. 베이커리 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16.7% 증가했습니다. 생산라인 자동화로 수익성을 높였고 포켓몬빵, 아임베이커 등 신제품 출시 효과를 누렸습니다. 특히 포켓몬빵은 지난 2월 23일 출시된 이후 지난달 22일까지 1500만개 넘게 팔렸습니다. 초당 약 3개씩 판매된 셈입니다. 오픈런, 스티커 중고거래 등 ‘포켓몬 열풍’을 이끌며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SPC삼립 관계자는 “푸드 사업의 경우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확대로 식자재 등 B2B(기업 간 거래) 매출 및 휴게소 매출이 성장했다”며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제품을 다양화하고 판매 채널을 확장하면서 1분기 푸드 및 유통에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인크로스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52.7% 감소한 17억 9700만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은 93억 17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5억 53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7% 감소한 수치를 기록했다. 인크로스는 광고시장이 비수기에 진입함에 따라 마케팅 활동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게임∙통신∙유통 업종의 광고 집행이 일시적으로 이연되면서 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미디어렙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6% 감소한 68억 9500만원을 기록했다. 티딜 사업부문은 1분기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66.2% 증가한 10억 5200만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인크로스는 앞으로 티딜 거래액을 증대시키고 신규 고객 유입을 위해 ‘브랜드 데이’, ‘타임특가’ 등 고객 혜택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재원 인크로스 대표는 “1분기 실적 감소는 광고시장의 계절성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2분기에는 광고주의 마케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실적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SK그룹사와의 시너지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대표 이건준)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0%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조6922억원으로 같은 기간 12.7% 올랐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3.5% 증가한 2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BGF리테일 측은 1분기 알뜰 장보기 확산에 따른 초저가 상품 전략 및 할인 프로모션, 신규 콜라보 상품·서비스 확대에 더해 최근 소비심리의 회복으로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적극적인 영업 전개 및 마케팅 제휴, 밸런타인데이·화이트데이 등 시즌별 차별화 마케팅 히트가 매출을 견인하는데 주효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올해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신규점 개점을 이어간다는 설명입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최근 업계 최초로 배달·픽업·택배 등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포켓CU을 리뉴얼함으로써 온·오프라인 연계성을 높여 점포의 매출성장동력을 확보했다”며 “이번 2분기에도 실적이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제일제당이 K-푸드와 바이오 등 해외 사업의 성장에 힘입어 별도 기준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냈습니다. CJ제일제당(대표 손경식·최은석)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4조31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3649억원(이상 대한통운 제외 기준)을 기록했습니다. 식품사업부문은 지난해 1분기보다 13% 증가한 2조6095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국내에서는 가정간편식(HMR) 등 신제품 성장을 이어갔고, 미국 슈완스를 포함한 해외 가공식품 매출은 전년비 15% 증가했습니다. 특히 7대 글로벌전략제품(GSP) 대형화에 주력해 미국 내 만두 매출이 71% 늘었습니다. 국가별로는 미국(전년비 매출 +14%)뿐 아니라 중국(+15%), 일본(+31%), 유럽(+36%) 등에서 영향력을 키웠습니다. 이로 인해 전체 식품 매출 중 해외(1조1765억원) 비중이 45%를 넘어섰습니다. 다만 식품 영업이익은 원부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 증가로 전년보다 약 4% 줄어든 169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그린바이오(아미노산·조미소재 등)가 주력인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은 1조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39.3% 늘었고, 영업이익은 128% 증가한 1758억원을 냈습니다. 회사 측은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6.3%p 늘어난 16.2%를 기록한 점에 주목했습니다. 미국, 중국 등 글로벌 전역의 첨단 호환생산기술 및 우수 입지를 바탕으로 시장 내 지위를 강화했고, 고수익 스페셜티 확대와 대형 거래처 중심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했다고 분석했습니다. CJ Feed&Care(사료·축산 독립법인)의 경우 매출은 6263억원으로 6.6% 오르며 외형 성장을 지속했지만 베트남 돈가 하락과 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은 78.2% 줄었습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 비해 베트남 등 주요 사업국가 축산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선 점을 위안 삼았습니다. CJ제일제당은 구매 및 생산역량 강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핵심 제품의 국내외 성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식품에서는 B2B(기업 간 거래)와 편의점(CVS), 온라인 등 성장채널에 역량을 집중하고, 멀티그레인(혼합 즉석밥)을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햇반 글로벌 프로젝트’를 가속화할 방침입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바이오에서는 상반기 중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PHA 본생산 개시로 신사업인 화이트바이오 분야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이라며 “미래 준비를 위한 신제품 개발 및 신사업 강화, R&D 투자를 통해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혁신성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대한통운을 포함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6조9799억원, 영업이익은 4357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3%, 13.1% 늘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쇼핑이 일회성 비용 발생 및 이커머스 부진 등으로 1분기 전체 매출이 줄었지만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으로 영업이익은 올랐습니다. 백화점·마트 실적이 점진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올해 실적 반등을 꾀하고 있습니다. 롯데쇼핑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같은 기간 2.8% 감소한 3조7708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691억원으로 흑자전환했습니다. 백화점은 명품이 매출을 견인했습니다. 올 1분기 매출 7400억원, 영업이익 1050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9.4%, 2.6% 올랐습니다. 기존점 매출은 1분기 8.2% 증가, 해외패션(+23.4%) 중심으로 성장했습니다. 신규사업 관련 자회사(4개) 합병으로 인한 취득세(161억원) 발생에도 영업이익은 2.6% 증가했습니다. 마트는 희망퇴직 비용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이 폭증했습니다. 1분기 마트 사업부 매출은 1조4810억원, 영업이익은 1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4%, 1662.1% 늘었습니다. 지난해 1분기 희망퇴직 비용(44억원) 효과가 사라지고 롭스 손익 개선(49억원), 이커머스 거버넌스 조정에 따라 이익이 올랐습니다. 해외 사업의 경우 진출 국가의 영업 환경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지난 1분기 매출은 전년보다 12.1% 오른 3470억원, 영업이익은 27.8% 증가한 9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슈퍼는 점포 감소로 매출과 이익이 줄었습니다. 1분기 매출 3490억원, 영업이익 30억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0.0%, 21.0% 감소했습니다. 점포 효율화로 전년 동기 대비 29개 매장을 축소했으나, 영업이익 감소폭이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이커머스의 경우 거버넌스 조정이 이어지며 적자 폭이 확대됐습니다. 1분기 매출 260억원으로 4.1% 줄었고, 45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하지만 자체 사이트(롯데온) 거래액은 전년보다 24.9% 증가했고 월 평균 방문자수도 42.4% 오르는 등 플랫폼 주요 지표는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이마트는 코로나19 특수로 2년간 집중됐던 가전제품 교체 수요가 감소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줄었습니다. 홈쇼핑 매출은 2750억원으로 전년 대비 6.8% 올랐으나 송출 수수료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했습니다. 롯데쇼핑은 2분기부터 리오프닝이 본격화됨에 따라 앞으로의 실적 개선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영준 롯데쇼핑 재무본부장은 “이번 1분기 롯데쇼핑의 실적은 양대 축인 백화점과 마트가 점진적으로 살아나고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며 “점차 늘고 있는 리오프닝 수요가 앞으로 롯데쇼핑의 실적을 반등시키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네트웍스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잠정 집계 결과 매출은 2조50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감소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순이익은 295억원으로 젼넌 동기 대비 55% 줄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이 43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3.9% 증가했습니다. SK네트웍스는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의 영향으로 정보통신 단말기 매출이 감소했으나, 렌탈 자회사의 견조한 실적 창출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호텔 손실 감소로 작년보다 수익이 개선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기순이익 감소는 전년 동기 당기순이익 감소는 지난해 같은 기간 중 중국 광산기업 매각 자금 회수액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사업별로 보면 렌탈 사업을 보유한 핵심 자회사인 SK렌터카와 SK매직의 성장세가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SK렌터카는 중고차 매각 이익과 제주도 중심 국내여행 수요가 늘어난 가운데 'SK렌터카 타고페이'와 온라인 전용 '중고차 장기렌터카' 등 신규 상품 판매가 실적 성장으로 이어졌습니다. SK매직은 '올클린 공기청정기', '트리플케어 식기세척기' 등의 인기가 계속되면서 누적 렌탈 계정을 224만 개까지 늘렸습니다. 호텔인 워커힐은 거리두기 완화 영향으로 객실·식음료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손실 폭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K네트웍스 관계자는 "수입차 부품사업과 민팃, 카티니 등 신규 자회사들의 사업을 확대해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실적을 창출할 것"이라며 "신규 투자와 연계해 기존 사업 모델을 고도화하고 새로운 성장 엔진을 모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흥국에프엔비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198.2% 증가한 13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9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7% 증가한 193억원을 기록했다. 흥국에프엔비는 포스트 코로나로 분위기가 변화하며 외식업 매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대형 프랜차이즈 시즌 음료 부문 납품 증가가 실적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영업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로 이커머스와 리테일 영업 매출 호조세도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앞으로 카페시장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선보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제품분석과 전략적인 원료 구매를 바탕으로 외형성장을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철범 흥국에프엔비 대표는 “식음료 시장은 유행이 빠르게 변하는만큼 트렌드를 선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장기간 쌓아온 제품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카페시장의 트렌드 리더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대한항공[00349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33%가 뛴 7884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 2조8052억원, 영업이익 7884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전년 1분기 실적인 1조7498억원보다 60% 상승했으며, 영업이익은 1245억에서 무려 533%가 뛰어오르며 분기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1분기 직전 분기 최대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에 기록한 7044억원입니다. 당기순손익의 경우 전년 동기 -288억원에서 5439억원으로 흑자 전환됐습니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1분기 여객노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한 3598억원을 기록하며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1분기 화물노선의 경우 대외 변수에 따른 항공화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선제적 조업 안정화 조치 및 탄력적 노선 운영 등 다양한 노력으로 2조1486억원의 견고한 매출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대한항공 측은 "올해 여객사업은 해외 각국의 입국 제한 완화 조치 확대로 여객 수요 회복 가속화가 기대된다"며 "수요 회복 강도는 노선별·지역별로 달라질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 취항지의 방역지침 변동 상황 등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항공 화물 공급의 경우 글로벌 여객 수요의 회복으로 점진적인 증가가 예상되나, 중국 주요 도시 봉쇄 및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으로 지역별 항공 화물 수요·공급 불안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탄력적인 노선 운영과 조업 안정화로 항공 화물 시장의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코오롱글로벌[00307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23.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조1305억원, 영업이익 577억원, 당기순이익 393억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4일 공시했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액은 2.5%, 영업이익은 23.3%, 당기순이익은 24.1% 늘어난 숫자입니다. 1분기 신규 수주액은 9011억으로 집계되며 연간 목표치인 25.2% 달성과 동시에 수주잔고 10조3000억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코오롱글로벌 측은 “지난해 건설 부문 매출 대비 4배 이상 잔고를 보유 중으로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업부문 별 실적을 살펴보면, 건설 부문은 매출액 4711억원, 영업이익은 33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의 경우 일부 주택 현장 준공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가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토목, 환경플랜트 부문의 신규 PJT 증가와 공정 호조에 수익성이 개선되며 3.4%가 늘었습니다. 유통 부문은 신차 판매 호조 등 전 부문 실적 개선에 힘입어 호조세를 나타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한 4350억원을, 영업이익은 97.4%가 늘어난 2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상사 부문은 매출액 1071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큐렉소는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45.7% 증가한 147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4일 공시했다. 큐렉소는 1분기가 비수기임에도 최종 판매 대수 13대를 기록하며 지난 2020년과 2021년 1분기 대비 매출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올해 1분기 매출원가율은 78.9%를 기록하며 지난 2020년 84.6% 및 2021년 81.0% 대비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영업이익은 1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5억원 대비 75.8%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 1분기 16억원 적자 대비 흑자를 기록했고 2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가며 수익성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재준 큐렉소 대표는 “해마다 의료로봇의 판매 대수가 증가하며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인도 및 동남아시아 국가 등 해외 의료시장에서 ‘K-의료로봇’의 위상을 넓혀가고 있다”며 “선진 의료시장으로 진출, 시장점유율 증대 및 브랜드 인지도 확대 등 기업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카카오는 2022년 1분기 매출(한국국제회계기준)이 전년 동기 대비 31% 늘어난 1조6517억원을 올렸다고 4일 밝혔습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49%,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1587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9.6%를 기록했습니다. 카카오의 올해 1분기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886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톡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4610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 중 비즈보드, 카카오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은 전 분기 대비 떨어졌지만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습니다. 선물하기, 톡스토어 등 거래형 매출은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포털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3%,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한 114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플랫폼 기타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2% 감소했으나 카카오모빌리티와 카카오페이의 안정적인 수익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3110억원을 올렸습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7657억원이었습니다. 특히 스토리 매출은 국내, 북미에서 카카오페이지 원작 드라마 '사내맞선'을 필두로 한 플랫폼 거래액 상승과 더불어 일본 픽코마의 신규 라인업 확대로 역대 최고 분기매출을 갱신하며 전 분기 대비 13%, 전년 동기 대비 38% 성장한 240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뮤직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유사,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2044억원이며 미디어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6%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750억원을 올렸습니다. 게임 매출은 2458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1% 감소,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습니다. 모바일 게임 '오딘'의 대만 출시 효과는 올해 2분기 매출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1분기 영업비용은 전 분기 대비 11%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난 1조493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원에프앤비(대표 김재옥)는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30.5% 줄어든 20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동원에프엔비 관계자는 “참치어가부터 돈육가, 우유 등 원자재값과 유가 등 물류비를 포함해 환율도 상승했다”며 “여러 원가 상승요인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94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했습니다. 동원F&B의 자회사 동원홈푸드의 식자재 및 급식 매출이 고루 신장하면서 전체적으로 성장한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카카오뱅크[323410]가 1분기 영업이익 884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3일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1분기 순이익은 6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2% 늘었습니다. 영업이익은 884억원으로 전년 대비 63.8% 증가했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의 고객이 전 연령층으로 확대됐다”며 “이자 이익 확대와 플랫폼 비즈니스 성장이 수익성을 견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1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고객 수는 1861만명으로 지난해 말보다 62만명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모바일 앱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503만명으로 전체 고객의 80% 수준을 차지했습니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신규 고객 중 70%는 40대 이상입니다. 이로써 전체 고객 중 40대 이상 비중은 41%로 집계됐습니다. 카카오뱅크 미니(mini)를 이용하는 10대 청소년 고객은 전 분기보다 13만명 증가한 128만명입니다. 1분기 기준 수신 잔액은 33조414억원으로 전분기보다 3조153억원 늘었습니다. 저원가성예금(세이프박스 포함) 비중은 59.7%입니다. 여신 잔액은 같은 기간 1037억원 증가한 25조9651억원을 나타냈습니다. 여신 잔액은 고신용대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중·저신용과 전월세보증금 대출이 증가하며 성장세를 지속했습니다.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잔액은 2조6912억원으로 1분기동안 2269억원 증가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1분기 말 기준 약정액 1100억원을 초과했습니다. 플랫폼 부문의 수익은 25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했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1분기 중 70만개의 증권 계좌가 개설됐다”며 “이는 분기 최다수로 신규 제휴 증권사 추가와 대형 기업공개(IPO)의 영향이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껏 개설된 카카오뱅크의 증권계좌는 모두 590만좌입니다. 올해 1분기 연계대출은 4520억원이 실행됐으며 누적 취급액은 4조6000억원입니다. 제휴 신용카드는 1분기에 5만장이 신규 발급됐으며 지금까지 41만5000장이 누적 발급됐습니다. 수수료 부문 수익은 477억원으로 전년 대비 18.8% 늘었습니다. 전년 동기에 비해 1분기 체크카드 결제 규모는 14%, 같은 기간 해외 송금 건수는 26% 증가했습니다. 분기 기준 기준 영업이익경비율(CIR)은 43%로 전년 대비 5%p 내렸습니다. 국제 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36.85%이며 연체율은 0.26%, 순이자마진(NIM)은 2.22%를 나타냈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중 주택담보대출 가능 지역을 확장하고 하반기에는 개인사업자 대출 및 수신 상품을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DL이앤씨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25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7.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1조51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했습니다. 순이익은 128억원으로 41.1% 줄었습니다. DL이앤씨의 1분기 연결 기준 신규 수주는 1조892억원, 순현금 보유액은 1조1242억원이었습니다. 연결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93%에서 올해 1분기 89%로 개선됐습니다. DL이앤씨는 "자회사 DL건설의 1분기 실적 부진으로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면서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8.3%, 종속 법인을 제외한 DL이앤씨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은 10.3%를 기록해 외부 환경의 변화에 흔들림 없는 견조한 펀더멘털을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169억원으로 전년보다 47.7% 올랐고, 세전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24억원, 18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별도 기준 매출도 국내외 처방의약품 실적 성장에 힘입어 호실적을 냈습니다. 특히 헌터라제는 올 1분기 해외 매출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두 배 이상 커졌고, 자체 개발 제품인 다비듀오·뉴라펙 등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사업 부문별로도 모든 사업 부문이 성장했습니다. 혈액제제 사업 매출이 947억원, 처방의약품 958억원, 백신 174억원, 소비자헬스케어 등 기타 부문이 56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역대 최대 물량 수주가 확정된 남반구 독감백신 해외 실적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2분기에 공급될 예정입니다. 매출 외형 확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수익성 측면에서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이 8.2%포인트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와 함께 앞서 실적을 발표한 연결 대상 상장 계열사들도 호실적을 냈습니다. GC셀은 1분기 매출 838억원, 영업이익 361억원을 기록하며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이번 영업이익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검체검진사업 성장이 지속되고 바이오물류 사업이 확장되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GC녹십자엠에스는 코로나19 진단키트 사업 호조로 매출 43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3.4% 올랐습니다. GC녹십자웰빙도 주사제 및 건기식 사업 호조로 영업이익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수익성 높은 자체 품목들의 매출 성장이 지속되며 연간 확연한 실적 개선세가 전망된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카카오페이[377300]는 카카오페이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10억79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2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기록했던 카카오페이는 인건비를 비롯한 영업 비용 증가로 지난해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1분기 영업비용은 ▲인건비 상승 ▲주식 보상 비용 감소 ▲광고선전비 감소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1244억원입니다. 1분기 연결 기준 EBITDA(세전·상각 전 영업이익)는 37억3000만원, EBITDA 마진율은 3%를 기록했습니다. 영업손실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이익은 38억원의 흑자를 나타냈습니다. 영업외이익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이 덕분이라는 설명입니다. 카카오페이의 연결 기준 1분기 매출은 1233억45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7.9% 늘어난 20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매출 세부 현황을 살펴보면, 결제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943억원을 기록했다. 151만개 이상의 온·오프라인 가맹점 확보·사용자 활동성 증가 등에 힘입은 결과라는 설명입니다. 금융 서비스의 경우 자회사 카카오페이증권의 홀세일 사업 매출 영향으로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금융 서비스 포트폴리오 확대와 더불어 매출 성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카카오페이의 올해 1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27조2000억원입니다. 특히 매출을 발생시키는 서비스 거래액 성장률은 전년 동기보다 10%p 높은 30%를 기록했습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온∙오프라인 결제·청구서·해외결제 등 결제 서비스 전 영역의 거래액이 고르게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42%가 증가했다”며 “대출 중개 거래액이 늘어나면서 금융 서비스 전체 거래액이 직전 분기 대비 11% 성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카카오페이 이용자와 거래량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분기 말 카카오페이의 누적 가입자 수는 3788만명이며,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2156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사용자 1명당 연간 거래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98.9건입니다. 카카오페이 안에서 3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비중은 2018년 말 22%보다 42%p 증가하며 올해 1분기 기준 64%를 나타냈습니다. 1분기 기준 카카오페이머니 잔고는 지난 2018년 대비 471% 증가해 누적 70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경제활동 주 연령층인 20~40대의 머니 잔고 보유 비율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카카오페이머니 기반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로의 전환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칠성음료(대표 박윤기)는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9% 오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26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6.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7.3% 오른 37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음료부문은 지난 1분기 매출 3899억원으로 전년 대비 12.2%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32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47.2% 늘었습니다. 카테고리별로 보면 코로나19 이후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트 확대와 운동량 감소로 인한 칼로리 부담으로 제로 탄산음료의 인기에 힘입어 탄산 카테고리의 매출이 전년 대비 18.1% 증가했습니다. 친환경 무라벨 생수 판매 호조로 생수 카테고리의 매출도 15.8% 올랐습니다. 판매 채널별로는 온라인 직영몰 ‘칠성몰’ 및 오픈마켓을 포함한 온라인 채널 매출이 전년보다 45.9% 증가했고, 리오프닝 확대 및 재택근무 종료 등에 따라 음식점 및 학교, 직장 등 업소 및 특수 채널의 매출도 전년 대비 26.7% 늘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올 2분기 이후에도 제로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유성탄산 ‘밀키스’, 에너지음료 ‘핫식스’ 제로 제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건강 지향 트렌드에 맞춰 기능성 원료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한 ‘칠성사이다 플러스’ 등 기능성 표시 제품의 마케팅 강화에도 주력할 계획입니다. 주류사업의 경우 가정 및 유흥 채널이 모두 성장했습니다. 주류부문(별도기준)은 매출액 1942억원, 영업이익 216억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21.1%, 133.5% 증가했습니다. 이 중 소주 매출은 19.9%, 와인 매출은 27.8% 올랐습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소주 출고가 인상 및 가정시장 매출 증가, 와인의 지속 성장, 순하리 레몬진 등 RTD 주류 시장 안착 등이 1분기 실적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며 “거리두기 완화로 주류 시장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이 높아진 2분기에도 제품 라인업을 추가하며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한국석유공업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9.3%, 43.9% 증가한 1813억원, 4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한국석유공업은 1분기 매출액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한 이후 연속으로 1800억원을 상회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가상승에 따른 원가 상승분이 판가에 반영되면서 영업이익도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당기순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95.7% 증가한 35억원을 기록하면서 양적성장과 질적성장을 동시에 거뒀다고 전했다. 사업부문별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상품 단가 인상과 추가적인 상품 다각화로 석유 사업부, 케미칼 사업부, 합성수지 사업부가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한국석유공업 관계자는 “석유 사업부의 경우 올해 상반기 역시 건설경기 호조에 따라 신설 도로 및 정기 유지보수, 건축·토목자재 등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며 “케미칼, 합성수지 사업부 역시 코로나 엔데믹이 본격화됨에 따라 석유화학 제품수요 및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긍정적인 시장환경이 전망된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한화생명[088350]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988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70.63% 급감했다고 29일 공시했습니다. 이자율차익이 줄고 조기 퇴직제도인 전직지원 실시에 따른 1회성 비용이 발생한 영향입니다.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RBC)비율은 1년 전보다 44%p 감소했습니다. 한화생명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영업환경 악화에도 사업비 절감과 사차익관리로 보험본연이익은 지난해 말보다 19.7% 증가한 219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신계약 APE는 4196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8% 올랐습니다. 일반보장성 보험 판매 확대의 결과입니다. 신계약가치 수익성은 56%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5%p 증가했습니다.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은 509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73.8% 줄었습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이자율차익(이차익)이 감소하고 전직지원 실시에 따른 1회성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차익은 보험사가 예정이율에서 예측했던 운용수익보다 실제이율에 의한 운용수익이 많을 경우 발생하는 이익으로, 보험상품을 판매한 뒤 상품운용을 통해 발생하는 매출입니다.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보여주는 RBC비율은 금리 상승에 따른 매도가능증권 평가가치 감소 등으로 161%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말 184.6%에 비해 23.6%p,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44%p 줄어든 수치입니다. 보험업법에서는 보험사가 RBC비율을 100% 이상 유지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금융감독원의 RBC비율 권고치는 150%입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내년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 전까지 RBC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자 국내 후순위채권 발행, 변액보증헷지 비율 강화·자산 듀레이션 확대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입보험료는 저수익성 퇴직보험 물량 축소 등으로 1년 전보다 2.2% 감소한 3조127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개인보장성 수입보험료는 1조 7851억 원으로 1년 전보다 88억 원 증가했습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 및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어려운 영업환경이지만 당기순이익과 RBC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내년 도입될 K-ICS 제도에 맞춰 착실히 준비하고 있으며 금리 상승으로 인한 향후 신규투자수익률과 중장기 금리부보유이원의 점진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이노베이션은 올해 1분기에 매출 16조2615억원, 영업이익 1조6491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1분기 대비 매출액은 6조8571억원(72.9%), 영업이익은 1조647억원(182.2%) 각각 증가했습니다. 덕분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사업별 실적을 보면 석유사업의 영업이익은 1조567억원에 달했습니다. 1분기 SK이노베이션의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3100만배럴로 전 분기 대비 35%, 지난해 동기 대비 57% 각각 증가하며 호실적을 주도했습니다. 배터리 사업은 유럽 고객사의 판매물량 증가, 메탈 가격 상승에 따른 배터리 가격 상승 등으로 전분기보다 1934억원 증가한 1조259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5263억원)보다 2.4배 증가한 실적입니다. 다만 양산을 시작한 헝가리 제2공장의 초기 가동 비용 발생과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2734억원의 적자를 냈습니다. 업계에서는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올해 연간 매출액이 미국과 헝가리 신규 공장 양산에 따른 매출 증가 및 배터리 가격 상승이 반영되면서 7조원 중반대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연간 매출(3조398억원)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규모입니다. 화학 사업은 파라자일렌(PX) 등 석유화학 제품의 스프레드 개선과 납사 가격 상승에 따른 재고 관련 손익 효과로 전 분기 대비 2410억원 증가한 31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윤활유 사업은 원가 급등으로 인한 마진 하락, 판매물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보다 561억원 감소한 211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석유개발사업의 경우 판매 물량은 소폭 감소했으나 유가 상승에 따른 판매단가 상승으로 전 분기 대비 865억원 증가한 1982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김양섭 재무부문장은 "정제마진 강세와 환율 상승에 따른 시황 개선,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 관련 이익이 증가해 영업이익이 전분기보다 1조원 이상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전자는 올해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1조1114억원, 영업이익 1조8805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5%, 영업이익은 6.4% 각각 증가한 것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입니다. 증권가의 전망치(매출 20조원, 영업이익은 1조3546억원)를 웃도는 실적이자 종전 분기 최대치인 2021년 4분기(21조86억원)보다 1000억원 이상 많고, 영업이익도 기존 최대치였던 2021년 1분기 실적(1조7673억원)을 상회하는 기록입니다. 사업본부별로 나눠보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본부는 매출 7조9702억원, 영업이익 447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G 오브제컬렉션을 비롯해 신가전,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증가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8% 늘어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는 4조649억원의 매출로 최근 6개 분기 연속 4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88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TV 시장은 정체 중이지만 올레드 TV, 초대형 TV 등이 꾸준히 판매 성장을 이뤄내면서 성과를 냈습니다. VS(자동차전장)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8776억원, 영업손실 6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파워트레인, 차량용 조명 시스템의 판매가 모두 늘며 작년 1분기보다 8.5% 증가했습니다. B2B사업을 하는 BS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167억원, 영업이익 3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분기 사상 처음으로 2조원을 돌파하며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LG전자는 1분기 호실적에 대해 지역별로도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고르게 매출이 증가했고, 특히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비경상 비용(인적구조 쇄신비용)이 사업본부 실적에 반영되면서 최종 영업이익은 작년 1분기보다 감소했습니다. 이를 특허료 수입이 상쇄하면서 오히려 전체 영업이익은 증가했습니다. LG전자는 계약상 비밀유지 조항을 이유로 특허수익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특허료 수익을 수천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올 2분기 경영환경 전망에 대해 "지정학적 이슈와 인플레이션 우려, 환율 변동, 공급망 리스크 등 불확실성이 지속됨에 따라 원자재 가격상승과 물류비 증가와 같은 원가 인상 요인이 이어져 더욱 어려워질 듯 하다“며 "이런 상황 속에서도 고객 가치를 최우선으로 두고 사업 본연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 견조한 수익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중공업그룹 지주사인 HD현대[267250]의 올해 1분기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85.9% 증가한 11조296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D현대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조2966억원, 영업이익 805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습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해 동기에 기록한 5343억원보다 50.7% 증가한 숫자입니다. 순이익은 380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보다 29.1% 늘었습니다. HD현대에 따르면, 매출은 유가상승에 따른 정유부문의 매출 증가와 기존 지분법 평가를 반영하던 한국조선해양 실적을 이번 3월부터 연결 편입하며 호조를 나타냈습니다. 영업이익은 정유부문인 현대오일뱅크의 수익성 증대와 건설기계부문인 현대제뉴인에서 견고한 실적을 낸 것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현대오일뱅크는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평가 이익과 석유제품 수요 증가에 따른 정제마진 개선 등으로 매출 7조2426억원, 영업이익 704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제뉴인은 북미, 유럽 등의 선진시장과 신흥시장의 건설장비 판매량 증대 등 요인으로 매출 2조1444억원, 영업이익 1338억원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일렉트릭은 항만 정체 등으로 인한 이월물량 발생으로 매출(3518억원)이 감소했으나,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 물량이 손익으로 이어지며 영업이익 167억원을 달성했습니다. 현대글로벌서비스는 매출 3001억원, 영업이익 243억원을 올렸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의 경우 부분적인 조업중단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산업설비 관련 공사손실충당금 설정 등의 영향으로 저조한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매출은 3조90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2%가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액은 396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중공업그룹 관계자는 "비조선 부문에서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고, 조선부문에서도 선가상승과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 증가 등 시황개선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수익성 위주의 영업 전략과 시장을 선도하는 친환경기술 개발 등을 통해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SDS는 28일 실적 공시를 통해 1분기 매출액 4조1915억원, 영업이익 2735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액은 36.9%, 영업이익은 26.0% 증가한 수치입니다. 사업분야별로 보면 IT서비스 사업 매출액은 경영정보시스템(MIS)· 전사적자원관리(ERP) 등 기업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차세대 제조실행 시스템(MES) 확대 등에 따라 지난해 동기 대비 6.1% 증가한 1조4525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물류 사업 매출액은 IT제품 물동량 증가, 물류운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1.8% 증가한 2조739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SDS는 IT분야에서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 경쟁력 강화 ▲클라우드 전문가 양성·확보 ▲자체 프라이빗 클라우드 고도화 등을 통해 클라우드 사업을 확대하며 클라우드 전문기업으로 변신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물류 분야에서는 디지털 물류 서비스 첼로 스퀘어를 기반으로 중국, 동남아 등 서비스 권역을 확대해 첼로 스퀘어를 삼성SDS 물류의 핵심사업으로 키워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전자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습니다. 삼성전자는 28일 올 1분기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연결기준으로 매출 77조7800억원, 영업이익 14조12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9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0.5% 늘었습니다. 1분기 실적은 이달 초 삼성전자가 발표한 잠정실적(매출 77조원, 영업이익 14조1000억원)과 비교해 매출의 경우 7800억원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73조9800억원)에 매출 70조원을 처음 돌파한 이후 지난해 4분기(76조5700억원)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매출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업계에서는 1분기가 전자업계의 계절적 비수기외에도 원재료 비용 상승 및 우크라이나 사태 등 악조건 을 딛고 삼성전자가 호실적을 낸 이유를 반도체 분야에서 선방, 갤럭시 S22등 스마트폰 신제품과 비스포크 가전의 판매 호조, 디스플레이 판매 성장 등 전 부문에 걸쳐 고르게 성과를 냈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DS(반도체) 부문은 1분기에 매출 26조8700억원, 영업이익 8조45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DX 부문은 매출 48조700억원, 영업이익 4조56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모바일을 담당하는 MX(옛 IM)) 부문은 3조82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제품 판매 증가 덕에 분기 최대인 15조4700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삼성전자는 "DX 부문인 모바일과 가전이 프리미엄 전략 주효로 2013년 이후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 반도체 파트인 DS 부문도 서버용 메모리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하는 등 사업 전반에 걸쳐 고른 성장을 나타냈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 1분기 영업이익이 17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1분기 매출은 같은 기간 9% 줄어든 1조2628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13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2% 감소했습니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동기 대비 7.0% 하락한 1조165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4% 감소한 1580억원을 냈고, 당기순이익은 1201억원으로 같은 기간 12.8% 줄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국내 사업은 9.9% 감소한 7328억원의 매출과 10.6% 하락한 112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해외 사업 매출액은 4199억원, 영업이익은 421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1%, 19.5% 떨어졌습니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명품 브랜드는 설화수의 ‘자음생 세럼’과 헤라의 ‘센슈얼 파우더 매트 리퀴드’ 등 주요 신제품 사전 출시를 통해 온라인 매출이 20% 이상 성장했지만 면세 채널 매출 하락으로 전체 매출은 감소했습니다. 해외 시장의 경우 중국은 온라인 매출이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재확산의 여파로 매출이 10%가량 줄었습니다. 북미에서는 주요 브랜드의 선전으로 매출이 63% 성장한 가운데 라네즈가 ‘립 슬리핑 마스크’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를 나타냈습니다. 유럽에서는 향수 브랜드의 매출 감소로 전체 매출이 줄었습니다. 주요 자회사들은 온라인 채널에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니스프리는 고기능성 제품군을 강화했으나 면세 채널의 매출 하락으로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은 하락했습니다. 에뛰드는 로드샵 매장 감소와 면세 매출 축소로 전체 매출이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채널 믹스 개선으로 흑자 전환했습니다. 올해 아모레퍼시픽그룹은 ‘Winning Together’의 경영 방침 아래 강한 브랜드·디지털 대전환·사업 체질 혁신의 3대 추진 전략을 실행 중입니다. 엔진 상품 육성, 데이터 기반의 고객 대응 강화, 더마와 웰니스 등 잠재력 있는 비즈니스의 확장을 통해 강한 브랜드를 완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디지털 대전환과 관련해서는 커머스·콘텐츠·커뮤니티 역량 강화로 팬덤을 구축하고 디지털 기술을 통한 미래 성장 기반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라며 "사업 체질 혁신을 목표로 데이터 기반의 재고관리 최적화 및 공감 기반의 ESG 경영 강화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LG화학[051910]의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4%, 직전 분기 대비 6.0% 증가한 11조6081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LG화학은 올해 1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액 11조6081억원, 영업이익 1조243억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36.9%가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할 경우 27.3%가 감소했습니다. 차동석 LG화학 CFO 부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오랜 기간 추진해온 고부가 제품 위주의 포트폴리오 재편과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으로 분기 최대 매출 및 1조원 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부문별 1분기 실적을 보면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5조9635억원, 영업이익 6346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올렸습니다. LG화학에 따르면, 원료가 상승 및 중국 봉쇄조치 등 대외환경 악화 속에서도 태양광 패널용 필름 POE, 기저귀용 고흡수성수지 SAP 등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실적 호조를 올렸습니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5680억원, 영업이익 1538억원을 나타냈으며.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174억원, 영업이익 32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4조3423억원, 영업이익 2589억원을, 팜한농은 매출 2608억원, 영업이익 408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G화학에 따르면, 첨단소재부문의 경우 전지재료 출하 확대 등을 통해 분기 최대 매출 달성했으며, 하이니켈 양극재, OLED 재료, 반도체 소재 등 프리미엄 제품 출하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됐습니다. 생명과학부문은 당뇨치료제 성장호르몬 등 주요 제품의 판매 확대가 지속되며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 및 수익성이 개선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에너지솔루션은 메탈 연동 계약 확대 및 판가 조정, 공정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매출 호조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팜한농은 테라도 등 작물보호제 수출 증가로 매출이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 및 수익성에서 성과를 거뒀습니다. 차동석 부사장은 "2분기에도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전망하고 있으며 원가절감, 재료비 상승에 따른 판가 인상, 제품 경쟁력 강화, 고객 만족도 향상 등 운영 효율성을 제고해 견조한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GS건설[006360]이 올해 1분기 신규 수주부문에서 선전했습니다. GS건설은 1분기 매출 2조3760억원, 영업이익 1540억원, 세전이익 2070억원, 신규 수주 3조3910억원의 잠정 경영실적을 올렸다고 27일 공시했습니다. 신규 수주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87.2%가, 매출은 18%가 증가한 숫자입니다. GS건설에 따르면, 매출과 수주 호조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자사 주거브랜드인 '자이'를 앞세운 건축·주택부문의 차별화된 경쟁력과 신사업의 실적 가시화를 바탕으로 안정적 성장 기반을 유지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건축·주택부문서 서울시 내 이촌동 한강맨션 주택재건축을 비롯해 불광5구역 주택재개발, 상도스타리움 주택사업 수주와 함께, 신사업부문에서 폴란드 단우드사와 영국 엘리먼츠사의 모듈러 주택부문을 수주에 성공한 것이 실적 호조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 하락했습니다. GS건설 측은 지난해 주택부문 분양물량인 약 2만6800가구 외에도 선착공 물량이 약 1만 가구에 달하면서 원가율 산정이 늦춰졌기 때문에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GS건설 관계자는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바탕으로 건축·주택부문의 경쟁력을 재차 확보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신사업 발굴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며 "수익성에 기반한 선별 수주와 경쟁력 우위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지속 가능 경영의 기반을 탄탄히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제철[00402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129.5% 증가한 6974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7일 현대제철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조9797억원, 영업이익은 6974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매출액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1.7% 증가한 수치며 영업이익률은 10.0%로 전년 1분기 6.2%에서 3.8% 늘었습니다. 현대제철 측은 글로벌 철강 시황 회복세라는 외부요인과 주요 전략제품별 영업활동을 통한 판매 확대가 수익성 개선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각 부문별 실적을 볼 경우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 부문에서 연초 계획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후판은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철근의 경우 기존 판매가에 반영하지 못했던 추가 비용을 현실화해 가격체계가 개선됐습니다. 사업 구조개편과 연구개발 부문에서의 노력 등도 분기 실적 향상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현대제철은 지난 2월 ‘수익성 중심의 철강사’로 전환하기 위한 구조개편의 일환으로 자회사인 현대비앤지스틸에 STS사업 자산양도를 완료해 1021억원의 자금을 회수한 바 있습니다.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자동차 성능 향상 및 경량화에 대한 지속적인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고성능, 고강도 철강소재 개발을 확대하는 노력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분야에 적용되는 1.5GPa MS강판 개발을 완료했으며, 세계 최초로 1.8GPa 핫스탬핑 도금강판도 양산하는 등 자동차 경량화에 일조했습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향후에도 판매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수익성 중심의 사업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를 설치해 탄소배출을 감축하고 추가적인 설비투자를 통해 친환경제철소를 실현해나갈 계획"이라며 "외부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안전보건시스템 및 안전문화 진단을 통해 안전보건체계 고도화에 힘쓰며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GC셀이 1분기에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만큼 벌어들였습니다. GC셀(대표 박대우)은 올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6% 증가했다고 27일 잠정 공시했습니다. GC셀의 분기 영업이익이 300억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363억원) 수준의 신기록을 달성했습니다. 1분기 매출액은 838억원으로 같은 기간 20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0% 증가한 24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캐시카우인 검체검사사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고 CC셀은 평가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 영향으로 검체검사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6% 올랐고, 바이오물류 사업도 23% 증가했습니다.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기술이전료 매출도 호실적을 견인했습니다. 또 합병 후 세포치료제 및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에 반영되면서 성장세에 힘을 보탰다는 설명입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양사 통합 이후 규모의 경제를 실현, 제조원가 등 일부 고정비용이 감소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올랐습니다. GC셀은 중장기적 미래성장동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GC(녹십자홀딩스)와 미국 세포·유전자 CDMO 기업 바이오센트릭을 공동인수했습니다. GC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NK와 T세포 파이프라인을 모두 보유한 기업으로, 다국적 제약사에 기술 수출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GC셀 관계자는 “올해는 재무적 성과를 더욱 극대화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향한 도약의 토대를 만들어가는 해가 될 것”이라며 “이번 CDMO 미국진출은 신성장동력확보의 일환으로 향후 중요한 수익 창출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GC셀은 지난해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의 합병을 통해 탄생한 통합법인으로, 면역세포와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및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가 및 동종 세포치료제의 다양한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JB금융지주[175330]는 올해 1분기 그룹의 당기순이익이 1668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26% 성장한 수치입니다. JB금융그룹의 1분기 경영지표 중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6%,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2%를 기록했습니다. 그룹의 순이자마진(NIM)은 3.00%로 국내 금융지주 중 최고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자이익은 39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1% 성장했습니다.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전년동기대비 6.1%p 하락하며 역대 최저치인 38.8%를 기록했습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0.24%를 기록하며 그룹의 성장성을 뒷받침하는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JB금융지주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선제적 리스크 관리 결과로 전반적인 자산건전성 지표의 하향 안정화 추세를 이어갔다”고 말했습니다. 자산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전년동기대비 0.16%p 낮은 0.52%로 집계됐습니다, 1분기 연체율은 0.52%로 전년 동기보다 0.09%p 하락했지만 전분기에 비해서는 0.04%p 상승했습니다. 1분기 NPL커버리지 비율도 159.2%로 전분기 대비 2%p 감소했습니다. 아울러 JB금융지주는 은행 자회사들의 음식업종·학원·노래방·스포츠시설 등 코로나19 고위험업종 대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전북은행의 고위험업종 관련 대출은 ▲대출 잔액 4875억원 ▲연체율은 0.63% ▲담보비중 81.5%였습니다. 광주은행의 경우 ▲대출 잔액 6145억원 ▲연체율 0.50% ▲담보비율 76.7% 로 나타났습니다. 계열사별 실적을 살펴보면, 전북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한 54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광주은행의 순이익은 6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4% 증가했습니다. 비은행 자회사들의 순익 증가도 두드러졌습니다. JB우리캐피탈은 전년 동기보다 30.4% 증가한 58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JB자산운용 역시 전년동기대비 76.7% 증가한 25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했습니다. 그룹의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도 8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그룹의 실적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그룹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1분기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8% 늘어난 21조3000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5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1조3000억원, 영업이익 2조3000억원, 순이익 1조9000억원의 실적을 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32.8%, 영업이익은 43.9%, 순이익은 67.5% 증가한 숫자입니다. 부문별로 살펴볼 경우 철강 부문 영업이익은 1조647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3340억원) 대비 3000억원 이상 증가했습니다. 친환경인프라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90억원 증가한 5160억원을 기록했으나, 친환경미래소재 부문의 경우 330억원 감소한 270억원을 나타냈습니다. 다만, 철강 부문의 경우 직전 분기인 2021년 4분기 비교했을 때 영업이익이 4000억원 가량 줄었습니다. 포스코홀딩스 철강 부문은 지난해 4분기에서 2조68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바 있습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철강 제품의 판매 호조와 포스코건설의 신규 수주 확대, 포스코에너지의 전력단가 상승 및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사업 호조 등으로 친환경인프라 부문에서 실적 호조를 나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철강 부문의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는 고로, 열연, 선재공장 등 주요 설비의 수리로 생산과 판매가 감소한 데다 원료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날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핵심사업별 주요 활동 계획 및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탄소배출량을 7800여만톤 수준에서 7100만톤으로 약 10% 감축한다는 목표입니다. 친환경미래소재 사업에서는 오는 2030년까지 설비 증설을 바탕으로 양·음극재 생산능력을 93만톤까지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리튬, 니켈 및 리사이클링 사업 투자도 확대해 리튬·니켈을 52만톤까지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국내외에서 수소 프로젝트를 추진해 수소 50만톤을 생산할 방침입니다. 친환경인프라 사업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오는 2030년까지 풍력, 태양광 등의 발전용량을 2.4GW로 확대하고, 식량 사업 규모도 취급량을 현 655만톤 수준에서 2500만톤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친환경 건축 및 리모델링 사업 등도 확대해 10조4000여억원 규모의 수주를 달성한다는 목표도 내비쳤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연결기준 연간 재무제표 목표로 매출액 77조2000억원, 투자비 8조9000억원을 제시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IBK기업은행[024110]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6천59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수치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속 소상공인 등 금융취약계층 지원에 나선 점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은행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588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1분기 말 현재 209조3천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2.6%(5조4000억원) 늘어나 순이익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중소기업금융 부문 시장점유율은 22.9%를 나타냈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 노력이 은행 성장의 선순환으로 이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자산안정성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0.81%로 전년 동기 대비 0.24%p 하락했습니다. 대손비용률은 0.40%, 총연체율은 0.25%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대손충당금을 적립해 미래위험에 대비한 손실흡수 능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반 자회사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9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p 증가했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올해는 창업기업 육성과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통해 중소 벤처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는 등 혁신금융을 선도해 나가겠다”며 “중소기업의 녹색 전환 지원 등 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ESG) 경영과 디지털 전환도 가속화할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현대자동차가 올해 1분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롯해 차량용 반도체 품귀 현상의 지속, 원자잿값 인상 등의 세 개의 악조건 속에서도 시장의 전망치를 넘어서는 호실적을 올렸습니다. 25일 현대차의 공시에 따르면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한 30조298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영업이익은 1조928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1조6566억원)보다 16.4% 늘어난 액수입니다. 특히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2014년 2분기의 2조872억원 이후 7년 9개월 만의 최대 기록으로 영업이익률은 6.4%를 기록했습니다. 현대차는 영업이익이 판매 물량 감소에도 제네시스, SUV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과 선진국 중심의 지역 믹스 개선에다 우호적 환율 효과까지 더해져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실제로 1분기 글로벌 판매량(도매 기준)은 전년 동기보다 9.7% 줄어든 90만2945대였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아이오닉 5, 캐스퍼, 제네시스 G90 등의 판매가 많았지만 반도체 공급 부족과 중국의 일부 지역 봉쇄에 따른 부품 부족 탓에 지난해보다 18.0% 줄어든 15만298대를 팔았습니다. 해외에서는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로 유럽 권역을 제외한 대부분 시장에서 판매가 줄어들면서 작년 대비 7.8% 감소한 75만847대를 판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현대차는 올해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주요 국가의 환경 규제 강화와 친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 친환경차 선호 확대 등으로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현대차는 이에 따라 ▲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한 판매 최대화 ▲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방어 ▲제니시스 GV60, GV70 전동화 모델과 아이오닉 6 등 주요 신차의 글로벌 출시를 통한 전기차 라인업 강화 등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본격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2분기에도 어려운 경영환경이 예상되지만, 연초 공개한 가이던스 달성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케미칼[003670]이 지난 2020년 3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사상 최대 매출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25일 포스코케미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 6646억원, 영업이익 255억원의 실적을 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분기인 2021년 4분기 대비 매출은 23.7%, 영업이익은 24.8% 증가한 숫자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의 1분기 실적 성과는 배터리소재사업의 매출 증가가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터리소재사업의 매출만을 놓고 볼 경우 지난 분기 대비 44.1%가 증가한 3171억원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양극재가 전 분기보다 48.1% 늘어난 2722억원을, 음극재는 23.7% 증가한 44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포스코케미칼 측은 양극재 광양공장이 양산체제를 본격 가동하며 배터리소재사업 매출 1518억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한 성과에 힘입어 7개 분기 연속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라임케미칼 사업은 원료 가격의 상승이 판매 가격에 반영되면서 지난 분기 대비 6.6% 늘어난 197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내화물 사업의 경우 수주가 늘어나며 13.8% 증가한 136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자회사에서의 호실적을 바탕으로 순이익 또한 지난 분기보다 87.4% 오른 360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회사의 주요 실적을 살펴볼 경우, 침상크코스를 생산하는 자회사인 피엠씨텍은 중국 전기로 가동률 회복에 따른 판매 확대로 580억원의 매출과 17.8%의 영업이익률을, 중국 양극재 생산법인 절강포화는 양극재 판매 확대에 따라 457억원의 매출과 12.3%의 영업이익률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포스코케미칼 관계자는 "전기차 수요 증가로 글로벌 배터리소재 시장이 기존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급성장하고 있다"며 "시장과 제품도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따라 세분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사업 성장을 가속화하고 신규 고객의 수주에 차질없이 대응하기 위해 2030년 배터리소재 양산능력 목표를 기존 계획 대비 크게 높이기로 했다"며 "양극재는 42만톤에서 61만톤으로 45%, 음극재는 26만톤에서 32만톤으로 23% 상향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도 확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삼성카드[029780]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6.2% 증가한 160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삼성카드는 이번 당기순이익 증가가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기대감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과 신상품 출시·비용 절감 등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지난해 아이디(iD)카드를 새로 출시하고 개인화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고객 기반 시장지배력을 확대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카드의 지난해 총취급고는 37조1199억원으로 전년 대비 14.4% 늘었습니다. 그 중 카드사업 취급고는 작년보다 14.5% 증가한 36조9059억원입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카드사업 취급고는 ▲신용판매(일시불·할부)부문 32조2016억원 ▲금융(장·단기카드대출)부문 4조7043억원으로 구성됐습니다. 할부리스사업 취급고는 2140억원입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카드사업 취급액 증가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위드 코로나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소비심리가 개선된 영향이 크다”며 “실제 백화점·인터넷쇼핑·자동차·여행 관련 업종 등에서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30일 이상 연체율은 0.7%로 안정적으로 유지됐습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올해도 코로나19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대출규제 강화·기준금리 상승 등 카드업계를 둘러싼 환경이 녹록지 않다”며 “자산건전성 관리에 집중하는 한편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고객·상품·채널 관점에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전략을 발굴해 실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NH농협금융그룹의 1분기 실적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NH농협은행은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주식시장 부진으로 NH투자증권[005940]의 순익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25일 NH농협금융지주 2022년 1분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농협금융지주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596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 줄었습니다. 농협법에 따른 농업지원사업비 1126억원을 더한 당기순이익은 6728억원입니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금리 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운용손익이 감소한 데다 코로나19 관련 여신 충당금 1120억원을 추가적으로 적립하는 등 미래손실흡수역량을 강화한 결과 당기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다”고 알렸습니다. 1분기 이자이익은 2조1949억원으로 6.3%(1306억원) 늘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139억원으로 47.2%(2810억원) 감소했습니다. 자산건전성 지표를 살펴보면 1분기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0.29%로 전년 말 대비 0.07%p 감소했습니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지난해 말보다 36.63%p 증가한 224.12%를 기록했습니다. 총자산은 55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3.2%p 증가했습니다. 수익성 지표는 ▲ROE(자기자본이익률) 9.87% ▲ROA(총자산순이익률) 0.51%를 기록했습니다. 핵심 자회사인 농협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44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습니다. 농업지원사업비 부담 전 당기순이익은 5052억원입니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추가 적립했지만 부실채권 정상화로 대손비용은 전년보다 28.9% 줄었다”고 말했습니다. 비은행 자회사 중 가장 규모가 큰 NH투자증권은 1024억원의 1분기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2575억원)보다 60% 넘게(1551억원) 줄어든 수치입니다. 이는 증시 하락과 채권금리 상승 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손익이 감소한 결과라는 분석입니다. 이외 비은행 자회사의 1분기 실적은 ▲NH농협생명 430억원 ▲NH농협손해보험 343억원 ▲NH농협캐피탈 272억원 ▲NH저축은행 88억원 등입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KB금융그룹이 올해 1분기 1조4500억원대 당기순이익을 기록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갱신했습니다. KB금융은 이를 토대로 분기배당 정례화에 나서기로 결정했습니다. 22일 KB금융 경영실적 발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4531억원으로 전년 1조2700억원 대비 14.4%(1831억원) 증가했습니다. KB금융은 대출 성장과 금리 상승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확대에 힘입어 이자이익이 증가하고 일반관리비를 비롯해 자산건전성 관리의 결실이 가시화된 결과로 분석했습니다. 다만 채권금리 상승과 주가지수 하락으로 유가증권과 파생상품 관련 실적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KB금융 관계자는 “이번 분기에 발생한 대손충당금 환입 약 590억원과 은행의 법인세 환입 690억원 등 일회성이익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은 1조3249억원이다”며 “경상적 기준으로도 견조한 이익성장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순이자이익은 2조64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6%(4150억원) 증가했습니다. 은행의 견조한 대출 성장과 순이자마진 개선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같은 기간 순수수료이익은 91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522억원) 감소했습니다. KB금융 관계자는 "1분기 순이자이익 증가는 1년 전 주식시장 호황으로 증권수탁수수료가 크게 확대됐던 기저효과와 올해 은행 신탁 실적이 부진해진 영향이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말 기준 그룹 총자산은 680조원이며 관리자산(AUM)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1148조1000억원입니다. 지난달 말 기준 그룹 총자산은 대출채권과 금융자산을 중심으로 16조1000억원 불어났다. 그룹 관리자산은 468조1000억원으로 증권의 투자자 예수증권과 자산운용 수탁고 증가로 전년 말 대비 2.4%(10조8000억원) 성장했습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31%이며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5.90%, 보통주자본비율은 13.42%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계열사를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97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9%(2888억원) 증가했습니다. 원화대출금은 321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0.8% 늘어났습니다. 가계대출은 금리 상승과 규제 영향 등으로 인해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전년 말 대비 1.4% 감소했습니다. 반면 기업대출은 3.4% 증가했습니다. 중소기업과 소호(SOHO), 대기업 대출의 고른 성장에 힘입은 결과라는 분석입니다. KB증권은 상대적으로 부진했습니다. KB증권의 1분기 당기순이익 11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3%(1068억원) 감소했습니다. 올해 들어 전반적인 주식시장 침체로 세일즈앤트레이딩(S&T) 부문 실적이 위축됐다는 설명입니다. KB손해보험 당기순이익은 1431억원으로 자동차보험을 중심으로 손해율이 개선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08%(743억원) 늘어났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실적 회복 기조가 유지되는 모습입니다. 국민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1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226억원) 줄었습니다. 가맹점수수료율과 카드이용금액 이 줄어들면서 수수료이익이 감소한 결과입니다. 푸르덴셜생명도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한 의74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습니다. 주가지수 하락에 따라 변액보험 관련 보증준비금 부담이 늘었다는 분석입니다. KB금융 이사회는 이날 연말배당 외 분기별 균등배당을 정례화하고 1분기 주당 배당금 500원을 결의했습니다. 앞서 KB금융은 지난 2월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도 단행한 바 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우리금융지주[316140]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88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55% 증가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이는 분기 기준 최대실적으로 자회사 편입 효과와 더불어 수익구조 개선·비용 관리 노력 등의 결과라는 설명입니다. 우리금융의 1분기 이자이익(1조9877억원)과 비이자이익(3835억원)은 모두 늘어 순영업수익은 젼년 동기보다 19.3% 증가한 2조37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으로 자산이 늘고 핵심 저비용성 예금이 증대된 데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2.7% 늘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1년 전보다 4.4% 증가했습니다. 우리은행의 외환·파생 분야에서 이익이 늘고 나머지 자회사의 영업력을 강화해 핵심 수수료 이익을 얻었다는 분석입니다. 가계대출이 주춤했지만 기업대출이 지난해 1분기보다 11.5% 늘어 전체 대출과 이자이익의 성장세를 이었다. 금리 상승도 이자이익에 호재로 작용했다. 우량자산 중심으로 대출 성장을 이룬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우량자산비율은 90%에 이르렀습니다. 수익구조 개선에 힘입어 순이자마진(NIM)은 올라갔습니다. 1분기 그룹의 순이자마진은 1.73%로 전분기 대비 0.06%p 상승했으며 같은 기간 우리은행의 순이자마진은 전분기 대비 0.07% 오른 1.49%입니다. 순이자마진 개선에도 기업대출 성장이 기여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이 2년간 매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조달비용이 적게 드는 저금리성 예금이 11% 늘어난 것도 순이자마진 개선에 도움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핵심 저비용성 예금 증대 등으로 1조987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38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증가했습니다. 그룹 자회사의 영업력이 강화되며 카드·신탁·리스 등 모든 분야의 수수료이익이 늘었습니다. 우리은행의 외환·파생 분야 이익도 호조세를 나타냈습니다. 비이자이익의 성장과 더불어 비은행 부문의 순이익 기여도는 지난 2019년 초 10%에서 올해 1분기 19.0%%로 확대됐습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아직 그룹에 증권사·보험사 등 비은행 계열사가 없지만 꾸준히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 성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익은 증대된 반면 판매관리비·대손비용 등의 비용은 전분기보다 줄었습니다. 특히 대손비용은 전분기보다 26.1% 감소했습니다. 우리금융은 그룹의 자산건전성 지표를 안정적으로 관리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1분기 그룹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28%, 연체율 0.21%의 안정적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우량자산비율은 90.0%, 회수가 어려운 NPL커버리지비율은 205.1%를 기록했습니다. 판매관리비용률은 전년 동기(46.2%) 대비 5.0%p 하락한 41.2%입니다. 자회사별 1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우리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29.4% 증가한 761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습니다. 기타 자회사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우리카드는 85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491억원 ▲우리종합금융 200억원 등입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1분기 실적을 통해 수익의 외형적 성장과 이익 창출력 다변화, 비용 관리 역량 등이 입증됐다"며 "견조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디지털 부문의 초혁신을 진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5월에 싱가포르, 6월에 미주 지역의 해외 IR(기업설명회)에 외국인 투자유치에 나설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현대건설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4조1453억원, 영업이익 1715억원, 당기순이익 1831억원을 잠정 기록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국내 플랜트 대형 현장(현대케미컬 HPC공장) 및 주택 현장 준공에도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수준인 4조145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올해 대형 현장의 매출이 하반기에 집중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4.6% 감소한 171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현대건설은 2분기 이후 사우디 마르잔 공사, 아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공사, 파나마 메트로 공사 등 해외 대형 현장 공정이 본격화됨에 따라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수주 부분에서는 용인 죽전 데이터 센터 공사, 하나드림타운그룹 헤드쿼터 신축공사, 포항 환호공원사업 공동주택 신축공사 등 굵직한 국내 사업 수주와 싱가포르 오피스타워 2단계 등 해외공사를 통해 8조94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30.4%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연간 수주 목표 28조3700억원의 31.5%를 달성한 액수입니다. 수주잔고는 전년 말 대비 5.5% 증가한 83조 781억원으로, 약 4.2년치의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한 상황입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5조1018억원이며 순현금도 3조1571억원에 달합니다. 지속적인 재무구조 개선으로 지불능력인 유동비율은 183.2%, 부채비율은 110.7%를 기록했습니다. 신용등급도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등급을 유지했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한 기업경영으로 지속가능성장을 도모하고 소형모듈원전, 도심교통항공수단, 스마트시티 등 신사업 추진에도 총력을 기울여 미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신한금융그룹[055550]이 올 1분기 1조400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핵심 자회사인 은행과 카드사의 이익이 증가하고 비은행 부문도 투자금융 등에서 성과를 거뒀기 때문입니다. 22일 신한금융그룹 경영실적 발표에 따르면 그룹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40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했습니다. 1분기 그룹의 이자이익은 ▲지난해 대출자산 성장 ▲유동성 핵심예금 증가 ▲마진 개선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했습니다. 신한금융은 중소기업 중심 영업 전략과 가계대출의 관리를 통해 대출자산이 늘면서 이자수익이 증가했으며, 유동성 핵심예금이 증가하면서 조달비용이 효과적으로 관리됐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그룹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전년 동기 대비 0.08%p 늘어난 1.89%를 기록했습니다. 신한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순이자마진이 1.51%로 전년 동기에 비해 0.12%p 늘었습니다. 올해 1분기 그룹의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9863억원입니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이는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매매이익 감소의 영향으로, 주식거래 대금이 줄어들면서 증권수탁수수료가 전년 동기 대비 47.0% 하락했습니다. 유가증권 손익은 금리 상승에 따라 매매이익이 감소하며 지난해보다 11.7%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보험관련 이익은 사고보험금 증가 등으로 18.3% 감소했습니다. 1분기 대손비용은 2436억원으로 코로나 관련 추가 충당금 745억원 적립 등 보수적 충당금 적립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29.7%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지원 프로그램 종료 등 불확실성에 대비한 추가 충당금은 지난 2020년부터 올 1분기까지 총 6568억원을 적립했습니다. 3월말 기준 신한금융그룹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6.2%, 보통주자본비율은 13.0% 수준입니다. 신한금융은 규제 비율을 충족하며 안정적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은 전년 동기 31.5% 증가한 8631억원의 순이익을 올렸습니다. 이자이익은 과거부터 축적된 ▲기업 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 ▲유동성 핵심예금의 증가 ▲NIM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했습니다. 동시기 비이자이익은 유가증권 관련 손익 감소에도 수수료이익이 선전하며 1.6% 증가했습니다. 신한카드는 전년 동기보다 4.7% 증가한 175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규제 강화·조달비용 상승·신용리스크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업 다각화를 통한 영업 자산의 성장 및 신용판매 매출액이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신한금융투자는 업권 전체의 증권 거래대금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8% 감소한 1045억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신한라이프는 전년 동기보다 15.6% 증가한 1524억원의 순이익을 올렸고 신한캐피탈은 같은 기간 83.6% 증가한 108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손익은 우량 자산 증가 및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의 균형 있는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4.5% 증가했습니다. 신한금융그룹의 손익 중 글로벌 손익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1.1%p가 상승한 9.2%입니다. 이러한 1분기 실적을 토대로 신한금융지주 이사회는 올해 1분기 보통주 배당금을 400원으로 결의했습니다. 배당금은 5월 초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올해도 균등한 분기 배당을 실시할 계획이다"며 "지난 3월 발표한 자사주 매입 소각 등 다양한 자본 정책을 통해 성장의 과실을 주주에게 지속적으로 환원할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네이버가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늘어났지만 시장 전망치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분석입니다. 21일 네이버에 따르며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지난해 1분기보다 23.1%, 4.5% 증가한 1조8452억원, 3018억원이었습니다. 이는 시장 전망치를 각각 1.6%, 11.6% 하회한 실적입니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증권가 예상치 평균을 집계한 결과 네이버가 올해 1분기 매출 1조8789억원, 영업이익 344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수익성과 별개로 네이버의 주요 사업부문 성장세는 꺽이지 않았다는 평가입니다. 부문별 매출은 ▲서치플랫폼(검색 기능) 8432억원 ▲커머스(전자상거래) 4161억원 ▲핀테크 2748억원 ▲콘텐츠 2170억원 ▲클라우드 94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커머스 매출은 성수기로 꼽히는 지난 4분기보다 2.7% 성장했습니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8% 증가한 9조원대로 증가했습니다. 네이버 멤버십도 누적 가입자를 700만명대로 끌어올리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습니다. 연계 효과로 핀테크 결제액은 1년 새 34% 성장, 11조2000억원을 달성했고 외부 결제액은 처음으로 4조원을 넘어섰습니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실적 발표 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2020년에서 2021년 사이, 인재 확보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공격적인 채용을 진행한 결과 비용이 증가했다”며 “올해 인건비를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통제하기 시작하면 영업이익률 전망치는 1분기 대비 개선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김 CFO는 “올해부터는 신사업 등 특수 상황을 제외하고 공격적인 채용정책 유지의 필요성 등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네이버의 사업 전략에 대해 최수연 대표는 "국내 사업에서 네이버의 경쟁력은 검색, 커머스, 결제, 핀테크 등 사용자의 이용 흐름에 잘 대응되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탄탄히 갖추고 있는 것에서 나온다”며 “국내 성공 모델을 현지 파트너와 함께 글로벌로 확산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최 대표는 커머스 부문의 성장을 환기하며 "스마트스토어 분기 거래액은 개인간거래 플랫폼 크림과 합쳐 6.6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2.4% 성장했다"고 강조한 뒤 "브랜드스토어, 쇼핑라이브, 장보기, 정기구독, 선물하기 등을 새 성장동력 삼아 커머스 사업을 지속 성장시켜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네이버가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웹툰 분야에 대해 "미국을 중심으로 성장 중인 웹툰은 1.8억명 글로벌 이용자를 기반으로 보다 적극적인 수익화를 추진하려고 한다"며 "웹툰 매출은 전년 대비 79.5% 성장하며, 거래액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티몬(대표 장윤석)은 지난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9%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카테고리 별로는 여행 부문이 96% 늘어나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가전, 패션·뷰티, 유아동, 반려동물 등 주요 카테고리의 성장률도 30%를 웃돌았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1월 매출은 10%대, 2월 30% 이상의 상승 폭을 보인데 이어, 3월에도 20%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콘텐츠 커머스의 지원을 힘입은 신선식품 부문은 산지직송 서비스 ‘티프레쉬’와 인플루언서 브랜딩 상품 ‘위드티몬’ 등을 진행한 이후 매출이 이전과 비교해 50% 상승했습니다. 콘텐츠 커머스 성과는 고객 반응으로도 확인됐습니다. 최근 티몬의 고객 대상 설문 결과, 약 60%가 콘텐츠 커머스를 매개로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62.7%는 상품정보 취득을 콘텐츠 커머스에 의존했고, 52%는 상품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습니다. 플랫폼 지표도 성장했습니다. 1분기 신규 고객이 전년 대비 10% 가량 늘어났고, 같은 기간 건당 구매금액은 30% 이상 증가했습니다. 선물하기 서비스 매출은 7배 이상 올랐습니다. 한편, 티몬은 지난해 6월 장윤석 대표 체제로 회사를 재정비했습니다. 장 대표는 “단편적인 유통회사를 벗어나 ‘브랜드 풀필먼트’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전자가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분기 사상 역대 최대 성과를 올렸습니다. 7일 LG전자의 2022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에 따르면 매출 21조1091억원, 영업이익 1조880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보다 각각 18.5%, 6.4%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역대 분기 기준 사상 최고 기록입니다. 매출의 경우 기존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 4분기 21조87억원보다 많고, 영업이익 또한 지난해 1분기의 1조5166억원보다 늘었습니다.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입니다.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실적은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발표합니다. 앞서 이날 오전 삼성전자도 1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알렸습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은 77조원, 영업이익 14조1000억원을 기록해 역대 가장 많은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올렸습니다.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Copyright @2013~2025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2788/ 등록일 2013년 8월 26일/ 제호: 인더뉴스(iN THE NEWS)/ 발행인 문정태·편집인 박호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3년 9월 2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박호식 Copyright © 2013~2025 인더뉴스(iN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 인더뉴스(주)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2788/ 등록일 2013년 8월 26일/ 제호: 인더뉴스(iN THE NEWS)/ 발행인 문정태·편집인 박호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3년 9월 2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박호식 Copyright © 2013~2025 인더뉴스(iN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 인더뉴스(주)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