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U·G News 부·울·경 뉴스

국립한국해양대,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모니터링 All Pass 달성

URL복사

Wednesday, September 10, 2025, 17:09:08

2027년까지 인증자격 유지, 교육기관 우수성 입증
20개 지표·개선요구 충족, 구성원 합심 성과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국립한국해양대학교(총장 류동근)는 한국대학평가원이 시행한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자격모니터링 평가에서 ‘All Pass’ 판정을 받았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이로써 국립한국해양대는 2027년까지 인증자격을 유지하게 되었으며,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우수성과 신뢰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대학기관평가인증은 대학이 교육기관으로서 기본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사회에 공표해 사회적 신뢰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국립한국해양대는 2022년 하반기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본평가에서 이미 인증을 획득했으며, 인증 획득 3년차인 지난 6월에 모니터링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번 인증자격모니터링은 ▲20개 정량지표 기준 달성 ▲개선요구사항 이행 ▲조건부충족 평가준거의 충족 여부를 중점적으로 평가했습니다. ‘All Pass’ 달성은 2023~2024학년도 2년간 대학 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고도화하기 위해 모든 구성원이 합심한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류동근 총장은 “이번 인증자격모니터링은 단순히 인증 유지 여부를 점검하는 절차를 넘어 대학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대내·외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해양 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을 추진하고, 4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비해 교육의 질을 더욱 높이겠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제해영 기자 tony@inthenews.co.kr

배너

SKT 유영상 사장 “가장 혁신적이고 발전된 AI 모델 만들 것”

SKT 유영상 사장 “가장 혁신적이고 발전된 AI 모델 만들 것”

2025.09.10 11:06:09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텔레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통해 대한민국 AI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을 열겠다는 강력한 도전 의지를 보였습니다. SK텔레콤[017670]은 지난 9일 오후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 서울 호텔에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5개 정예팀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가졌습니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이 자리에서 정예팀 대표 발언을 통해 “국가대표 AI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제한된 시간과 자원으로 최고 수준의 AI를 만드는 것은 매우 도전적인 과제이나, SOTA(State Of The Art: 해당 분야에서 현재 가장 혁신적이고 발전된 수준)급 AI 모델 달성은 기술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목표로서 지체할 시간이 없다”며 “1차 단계평가부터 오픈소스 SOTA급에 근접한 모델을 올해 안에 구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올해 말로 잠정 예정된 1차 단계평가는 ▲국민·전문가 평가 ▲벤치마크 등 기반 검증평가(AI 안전성 연계) ▲파생 AI 모델 수 평가 등을 진행합니다. SKT 정예팀은 단계평가가 계속될수록 단순 벤치마크 성능뿐만 아니라 실사용자 관점의 체감 성능이 중요해지고, AI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접근성 향상, 실질적 활용성이 주요해질 것으로 보고 입체적으로 준비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2019년부터 한국형 AI 모델을 자체 개발한 경험과 1000만 고객이 활용하는 AI 에이전트 에이닷(A.)을 상용화하며 수렴한 고객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사용자 편의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모델을 만든다는 목표입니다. 정예팀 참여사인 크래프톤, 포티투닷(42dot),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와 함께 인공지능 모델 설계부터 반도체,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최적화, 멀티모달까지 AI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풀스택 역량을 통합적으로 발휘한다는 계획입니다. 더불어 서울대학교 연구진(김건희·윤성로·황승원·도재영 교수)과 KAIST 연구진(이기민 교수), 위스콘신 메디슨 대학교 연구진(이강욱·Dimitris Papailiopoulos 교수) 등 국내외 석학이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합니다.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는 한국어 처리 능력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달성하면서 다국어 지원과 멀티모달 기능을 갖춘 차세대 AI 모델 개발입니다. 특히 한국의 문화적 맥락과 정서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AI 기술 구현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AI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입니다. 유영상 CEO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 전체의 혁신적 도약을 이끌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