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는 서울대학교, KAIST와 각각 산학 공동 연구를 추진하며 AICT 기술 개발 협력 확대를 위한 킥오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열렸으며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 부사장과 배순민 AI Future Lab장 상무를 비롯해 교수진과 연구진 총 1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습니다.
이번 산학 공동 연구는 KT가 추진하는 전략적 오픈 R&D의 일환으로 기존 산학 협력의 범위를 서울대와 KAIST로 확장해 심화된 협력 모델을 마련한 것입니다. 장기 연구개발을 넘어 실제 AICT 사업과 직결될 수 있는 자율형 에이전트, Responsible AI, Physical AI,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추론 효율화 등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이를 통해 KT는 AI 핵심 기술의 내재화와 역량 강화는 물론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성과 창출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와 KAIST는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역할을 분담해 공동 연구를 수행합니다. KT는 GPU와 AI 모델, 데이터 등 연구에 필요한 환경과 자원을 제공합니다. 특히, 믿:음 2.0 등 자사의 한국적 AI 모델 라인업을 활용해 연구의 실행력을 높입니다.
서울대학교는 인간 중심 신뢰 기반의 AI 핵심 기술 고도화를 위해 ▲자율형 에이전트를 위한 강건한 컨텍스트 추론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프레임워크 ▲RAI 평가기준 및 신뢰성 개선 ▲사용자 상호작용 Actionable AI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KAIST는 프롬프트 압축 및 최적화 기술을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KT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확보한 핵심 기술을 자사 파운데이션 모델인 믿:음 2.0의 고도화와 자율형 Agent, Responsible AI 등 한국적 AI 라인업 강화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 이를 공공, 법률, 금융, 교육, 의료 등 산업 분야에 적용해 데이터, 모델, 서비스로 이어지는 AI 협력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나아가 연구 성과를 토대로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협력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AI 기술의 효율성과 적용 가치를 극대화하는 한편 글로벌 경쟁력까지 선도해 나간다는 전략입니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 부사장은 "이번 산학은 KT가 반드시 해결하고자 하는 핵심 문제들을 중심으로 사업에 빠르게 적용 가능한 과제들로 구성해 KT 연구진과 서울대 및 KAIST 연구진과의 실질적인 협력이 기대된다"라며 "AI 기술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이번 산학 협력모델은 국내 AI 산업 전반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로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