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현대건설이 협력사의 기술 제안을 공식적으로 반영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성과공유형 VE(Value Engineering) 보상제도’를 본격 시행한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이번 제도는 협력사가 제안한 설계·구매·시공 아이디어를 프로젝트에 적용해 원가를 절감하고, 그 성과의 50%를 협력사에 보상하는 방식으로, 국내 건설업계에서는 최초 도입 사례입니다.
VE 제안은 1차 타당성 검토와 2차 실효성 평가, VE 제안서 제출, 계약 변경, 공사 수행, 성과 정산의 7단계 절차를 거쳐 운영됩니다. 특히, 품질과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평가하며, 공정 지연이나 품질 저하 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실효성과 실행 가능성이 입증된 제안만 채택됩니다.
이번 제도는 토목·뉴에너지·플랜트 사업본부의 국내외 자재 및 하도급 계약 현장에 우선 적용되며, 향후 건축과 주택 분야로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협력사 입장에서는 창의적인 기술 제안이 경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제도적 통로가 마련돼 참여 동기와 기회가 동시에 확대될 전망입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협력사의 제안을 실질적인 성과로 환원하는 구조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며 “기술 기반 협력체계를 고도화해 장기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현대건설은 협력사의 기술 역량을 발굴하고 현장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3월 ‘협력사 우수기술 제안센터’를 개설했습니다. 해당 센터는 등록 협력사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을 보유한 국내외 기업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4개월간 150건 이상이 접수돼 품질 개선과 공정 효율화 등의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이 외에도 현대건설은 동반성장펀드, 기술엑스포, 안전길잡이 제도 등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사의 성장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