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 차별화된 콘셉트의 '프리미엄' 아울렛이 기흥에 문을 연다. 일반 아울렛과 프리미엄 아울렛을 가르는 기준인 '명품 브랜드' 유치보다, '자연'과 '유·아동 콘텐츠'에 집중한 것이 특징이다.
롯데쇼핑은 내일(6일)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기흥점'(이하 기흥점)을 개점한다고 5일 밝혔다.
롯데쇼핑에 따르면 주변에 상업시설이 없고 자연 경관이 뛰어나다는 이점을 살려 기흥점을 ‘자연을 담은 쇼핑 놀이터’를 콘셉트로 꾸몄다. 또한 기존 상업형 아울렛에서 벗어나 가족과 함께 휴식할 수 있는 쇼핑공간을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기흥점은 경기 남부에 위치해 접근성을 높였다. 동탄 신도시·수원·분당까지 30분내 접근 가능하고, 서울·경기권에서는 60분 이내 거리다. 내년 4월 무렵 고매IC가 완공 될 경우 교통환경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롯데쇼핑은 예상하고 있다.
기흥점 규모는 연면적 18만㎡(5만3000평), 영업면적 5만㎡(1만5000평)에 달하며, 약 300여개 브랜드가 입점한다. 'Family One-Day 쇼핑 테마파크'를 표방하며, 크게 ▲피렌치 스트리트 ▲힐링휴식 공간 ▲체험공간 등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이탈리아 피렌치에서 영감을 받아 피렌치 테마로 꾸며진 스트리트(street)와 중앙계단을 비롯해, 가드닝 카페·맘앤키즈라운지·힐링 라운지 등이 마련된 '힐링 휴식 공간'이 곳곳에 배치돼 있다.
고객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많은 것도 기흥점의 특징이다. 펫파크·실내 서핑 체험·숲 모험 놀이터·모션플로어 등 '체험공간'과 샤롯데가든·피크닉가든·피노키오 광장 처럼 '자연'이 어우러진 볼 거리가 마련돼 있다.
이처럼 기흥점은 여타 프리미엄 아울렛들이 '구찌', '버버리', '생로랑' 등 명품매장 유치에 집중한 것과 달리 '자연'과 '영·유아동 콘텐츠'에 공을 들였다. 명품 브랜드의 '물량 한계'라는 현실적 제약 때문에 추가 유치가 쉽지 않은 탓이다.
기흥의 독특한 상권도 기흥점의 콘셉트 차별화에 영향을 끼쳤다. 롯데쇼핑에 따르면 해당 지역의 상권은 10세 이하·30~40代의 인구 구성비가 높다. 이에 전략적으로 어린 자녀와 가족 나들이를 할 수 있는 '쇼핑 놀이터' 콘셉트를 선택한 것.
실제로 기흥점은 8억을 투자해 660㎡(200평) 규모의 '숲 모험 놀이터'를 조성했고, 그 안에 아시아 최초로 실외 그물망 놀이터를 설치했다. 또한 역대 아울렛 최다 규모인 37개 유아동 MD를 유치하고, 20억을 투자해 유통업계 최초 '실내 서핑샵'도 설치했다.

이밖에 지하 2층에는 코치·마이클코어스 등의 해외 명품과 타임·마인·산드로·마쥬 등의 주요 컨템포러리 의류가 들어선다. 특히 '나이키 팩토리'가 아시아 최대 규모인 2000㎡(600평) 규모로 선보인다. 지하 1층은 보브·시스템·듀엘 등의 영캐주얼 상품군과 구두·피혁 매장이 들어선다.
1층에는 아웃도어·아동·스포츠 전문관으로 데상트·언더아머 등 스포츠 브랜드 11개 매장과 내셔널지오그래픽·디스커버리·노스페이스’ 등 12개의 아웃도어 매장, 그리고 파리게이츠·마크앤로나 등 18개의 골프 브랜드가 자리잡고 있다.
최상층부인 2층은 홍리 마라탕·만석장 등 13개의 식당가 매장과 라이프스타일 서점· 토이저러스·키즈 카페 등 체험형 콘텐츠로 꾸며진다.
한편, 기흥점에서는 오픈 기념 ‘126! 경품 페스티벌’을 진행한다. 내일부터 16일까지 기흥점을 방문한 엘포인트 고객 중 이벤트에 참여 한 고객에 한해 1등 ‘이태리 가족(4인) 여행 상품권’, 2등 ‘75인치 삼성 TV’, 3등 ‘진에어 말레이시아 휴양지 조호르바루 가족(4인) 항공권’ 등이 제공된다.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했다. 이달 8일에는 배우 정상훈, 9일에는 모델 한현민, 16일에는 키즈 컨텐츠 유투버 ‘헤이지니’의 팬미팅이 열린다. 15일에는 김효주·장수연·하민송 프로 골퍼 선수들이 참석해 팬사인회를 진행하고, 16일에는 골프존 마켓내에서 장타·퍼팅 대회가 열린다.
노윤철 롯데아울렛 영업본부장은 “주변 상업시설이 없고, 자연 경관이 뛰어난 점을 이용해 기존과는 차별화된 '자연친화형 아울렛'으로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차 상권(10km 이내 또는 반경 30분 이내 거리)인 동탄·용인·수원 지역 내에 약 250만명이 거주하고 있다”며 “연간 5백만명 이상 방문할 것으로 보여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