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이르면 다음달부터 중국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관련 외국 기업 규제를 완화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LG화학 등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일본 매체(주간경제지)니케이 아시안 리뷰는 "다음달부터 외국자본의 전기차·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중국 설립을 제한하던 규제가 완화된다"고 보도했다. 친환경차 생산을 늘려 악화된 자국내 환경문제를 완화하고 중국 현지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다. 이러한 정책 변화가 한국과 일본 전기차 배터리 생산 기업들에게이익이 될 것으로 이 매체는 전망했다. 중국자동차기업들의 전기차 배터리 수요를 높은 기술력을 가진한국과 일본 기업이 흡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 LG화학은 지난 10월 중국 난징에 전기차 배터리 제2공장 기공을 시작했다.LG화학의 난징 제2공장이 2020년 완공되면 연간 전기차 50만대 수준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출 것이란 예상이다.삼성 SDI 역시 장쑤성 우시시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에서 출시한 소형차종 쌍트로가 인도 중소형차종 시장에서출시 초기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인도 현지매체 이코노믹타임즈(THE ECONOMIC TIMES)에 따르면 지난 10월 출시된 쌍트로의 예약 판매량이 이미 4만5000대를 넘어섰다. 쌍트로는 10월과 11월 각각 8500대, 9000대 판매됐다. 현대자동차는 12월에도 비슷한 수준을 기대하고 있다. 쌍트로의 판매량이 늘어나면서월평균 판매량이 3만대 수준이던 인도 중소형차종 시장도 3만6000대로 커졌다. 쌍트로가 스포츠유틸리티 시장에 가려져 관심이 저조했던 중소형차종 시장에 관심을 이끄는 모양새다. 쌍트로가 출시되기 전인 9월 1만3252대가 팔린 왜건R(마루티 스즈키)의 판매량은 10월 1만655대로 줄었다. 다른 경쟁모델인 티아고(타타 모터스)도 8377대에서 7549대로 감소했다. 하지만, 쌍트로 인기가 계속될지는 미지수라는 예상이다. 현지 전문가들은 신제품 출시와축제 기간에 따른 일시적 증가세라고 분석한다. 여기에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도 예고됐다. 마루티 스즈키는 왜건 R의 신모델을 2019년에 출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