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우리가 남이다!”

URL복사

Monday, May 26, 2014, 11:05:18

[FC 신(新)의 보험정글 탐험기] ④나를 힘들게 하는 시선들

[컨설턴트 신(新)] 재정(재무)설계를 해주신다고 해서 소개를 받았습니다. 현재 약간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어디 투자처가 마땅하지 않아서 은행 예금에 묶어 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 고객님. 그럼 정확한 설계를 위해서는 고객님의 정확한 재무상황을 공개해 주셔야 하는데요. 원하시면 회사 시스템을 활용해 재무 설계를 해 볼 수도 있습니다.”

 

. 그럼 한 번 해보죠.”

 

그럼 고객님의 동의를 받는 차원에서 고객인증이 필요한데요. 휴대전화로 발송 된 인증번호를 저에게 알려주시면 인증이 끝납니다.”

 

보험회사세요?”

 

. 처음 인사드릴 때 명함도 드렸었는데요.

 

저는 보험 많이 들고 있구요. 얼마 전에도 우체국에 일 보러 갔다가 암 보험도 하나 또 들었습니다. 오늘 말씀은 없었던 것으로 하죠. 수첩에 메모 하셨던 제 재무상황도 찢어서 저에게 주실 수 있나요?”

 

다니다 보니 보험회사, 보험설계사를 바라보는 몇 가지 시선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그 중에는 나를 춤추게 하는 시선도 있지만 그렇지 못 한 시선도 없지는 않아 몇 가지 이야기 해보려 한다.

 

#1. 그냥 이유 없이 너 싫어

 

보험설계사 라는 명함을 전달하는 순간 눈 빛은 하향 15, 대표적 태도는 견고한 팔짱 끼, 다리 꼬기 등 이다. 글 초반에 이야기 했던 경우처럼 보험회사에 근무 한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격한 거부를 보이는 경우다. 경험상 보험을 지인 또는 특정 상황에서 억지로 가입한 경우다. 가끔 귀가 얇은 고객들 중에 이런 경우가 있기도. 쿨럭!

 

#2. “영구 없다~!”

 

아주 오래 전 코미디 코너 중에 영구 없다~”라는 코너가 있었다. 코미디언(지금은 사업실패로 여러모로 피곤하시더군요.)이 우스깡스러운 분장을 하고 뭐라고만 하면 연신 영구 없다~”를 외치던 코너다.

 

어딜 그렇게 다니시는지. 식사는 하시고 다니시죠, 고객님?

 

#3. 먹고 살기 힘들다. “그치?”

 

보험설계사 라는 직업을 사회생활에서 실패한 사람들의 종착역쯤으로 생각하는 경우다. 오죽 할게 없으면 보험이나(?) 팔고 다니냐는 시선으로 위 아래로 훑는다. 내가 보험 왕이면 어쩌실려고?

 

#4. 우리가 남이다!

 

무조건 오케이다. 지인들에게서 보이는 시선으로 뭐 하나라도 크게 하나 계약할 거 같은 분위기로 몰아간다. 너희 회사에 어떤 상품 있냐며, 상품문의로 진도 퐉퐉 나가는 경우.

십중팔구 꽝! 이다. 온갖 핑계로 결국 우리는 남이 된다.

 

#5. 옛다~! 하나 들어줬으면 됐지?!

 

고객들 중에는 보험 가입이 국민의 5(?) 의무쯤으로 생각하는 경우다. 국방, 납세, 교육, 근로, 보험가입(?). 보험 가입하고 그 이후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도 있다. 거참 혹시라도 무슨 일 생기면 제가 도울 수 있게 전화는 받아주시죠.

 

사람들은 이 일이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라 힘들다고 한다. 하지만 사람과 함께 하는 일이기 때문에 편안하고 좋기도 하다. 앞으로는 내가 춤출 수 있는 시선만 마주하길 바라는 건 너무 큰 욕심일까?

 

우리 잘 지내 보아요~!”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컨설턴트 신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KB의 ESG금융 33.2조…지속가능경영이 곧 밸류업”

“KB의 ESG금융 33.2조…지속가능경영이 곧 밸류업”

2025.06.30 16:48:02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2024년말 기준 ESG 상품·투자·대출이 누적 33조2000억원(환경분야 19조2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날 발간된 '2024 KB금융그룹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보면 KB금융의 '지속가능금융 체계'는 금융상품·서비스 전반에 ESG를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자금조달부터 상품·투자·대출까지 모든 과정에서 기후변화 대응, 지역사회 발전, 투명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KB금융은 친환경·녹색금융을 확대하고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KB Green Wave 2030' 전략을 추진중이며 2030년까지 ESG 상품·투자·대출 규모를 총 50조원(환경분야 25조원)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KB금융은 지속가능경영과 밸류업의 선순환 네트워크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투명한 지배구조, 윤리경영, 리스크관리, 지속가능한 금융, 기후위기 대응, 친환경 경영이 곧 주주환원 강화, 지배구조 개선, 주주·이해관계자와 소통강화, 사회적 가치 제고, 자본비율 관리, 본원적 펀더멘털 강화로 이어져 종국에는 기업가치 제고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특히 재무건전성을 판단하는 핵심지표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2024년 설정한 목표(13% 이상)를 상회하는 13.53%를 달성했습니다. 업계 최고 수준입니다. 보통주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 회사의 핵심자본으로 구성되며 CET1비율이 높을수록 향후 주주환원, 신규투자, 사업확장 등 여력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KB금융은 지난해 10월 '지속가능한 밸류업(Value-up) 방안'을 발표하며 국내 최초로 CET1비율과 주주환원을 연계한 '밸류업 프레임워크'를 도입한 바 있습니다. 주주환원의 지속가능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호평받았습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금융은 단순한 자금중개를 넘어 개인의 삶과 기업의 미래, 나아가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반"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러면서 "KB금융그룹은 국민과 함께 성장하고 공존하는 금융을 실천하며 다음 세대에 더 나은 환경과 기회를 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